육신은 재물, 역마, 지위, 학문, 문서, 음식, 언어 등이다. 육친은 부친, 모친, 아내, 남편, 자녀 등이 되겠다.
이를 생극제화로 설명하는 술법이 통변이다.
시 일 월 년 (곤명) 己 辛 戊 庚 丑 巳 寅 子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丁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 자료출처 : 원장 서상원
병원에서 일했음. |
재격패인으로 보인다.
그런데 인수가 겁재를 키웠으니 무정하다. 그러므로 재봉겁으로 논한다.
사중 병화는 축토와 함께 금국을 이룬다. 이로써 인중 병화만이 재를 지키는 역할을 수행 중이다.
그런데 임신운 갑진년,
수국이 인중 병화를 충거했다. 이로써 남편이 2024년 3월에 급사했다.
첫댓글 통변이 깔끔하네요
경신금이 투간하고 사축합작으로 금기 태왕하니 재격에서 겁재를 본 것이 분명합니다
재봉겁~
따라서 사화는 화관위겁으로 변질이 되어 인중 병화를 돕지 못하므로
고관무보가 되겠죠 따라서
정관의 피상운에는 큰 재앙이 올게 될 겁니다
신대운 갑진년에 신자진 삼합 수국으로 병화가 제거가 된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축시가 정확한거 같네요 명식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남편 문제라면 일지 巳화를 다루어야 합니다.
寅 중의 丙화를 다룰 일이 아니지요.
제가 보기엔
丑시 생이 아닌 거 같습니다.
그리고 3월이라면
병인월 또는 정묘월일 텐데
그 월운을 아무리 대입해 봐도 답이 안 나옵니다.
따라서 남편이 사망할 구조가 아닌 사주로 보입니다.
다른 사주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그런가요.
3월 사망이라면
3월초..절기 변경전
3월중..절기 변경후
어느 시기인지 궁금합니다
19일 축시 사망입니다.
@원장 서상원 회신에 대하여
연구를 해보겠습니다
사화가 공망이고
천간에 경신[庚辛]금이 출현했으므로 사축[丑巳]은 화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망된 사화는보지 말고
인중의 병화를 육친성으로 파악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남편은 2번째 남편으로 추정이 되며
무인은 첫번째 남편의 밥그릇
기축은 두번째 남편의 밥그릇..자좌입묘
남편은
1.인중병화를 한번 거치고 이별하고
2.일지 사화를 사망한 남편으로 본다
임신대운에
임이 사중병을 충한다
신이 사신형을 한다
갑진년에는
대운 임신과 년주 경자가
신자진 수국을 이루어 불이 꺼지는 시기이다
정묘월에는
묘가 자를 생하여 수기운이 사화를 극한다
임오일 신축시에는
임이 병화를 극하고
신이 병을 잡고 축에서 밥그릇 기가 입묘한다
수기운이 불을 끄고
기축이 축을 보아 밥그릇이 입묘하여
남편이 갑자기 사망한 것이 아닌가 추정해 본다
사망일자는 갑진년 3월도 가능하고 4월, 8월, 9월 12월 등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데
왜 하필 3월 사망인가
저라면 이렇게 분명히 이야기 했을 겁니다
己 辛 戊 庚/ 甲/ 壬
丑 巳 寅 子/ 辰/ 申
술사: 육친성 정관의 극이 심한 무진월[4월달]을 넘기지 못한다
그렇게 단정하는 이유는
근묘화실에서 년지 자수에 해당하는 기간은 1월에서 3월입니다
삼합이 결성하는 시기는 1월에서 3월까지입니다
그러니까 3월전까지 발생한다고 읽어주면 됩니다
그런데 4월이 무진월이므로 신자진삼합국이 강렬하게 들어서겠죠
그러므로 이 사람에게 4월달을 넘기지 못한다.
이렇게 말해주면 됩니다
배운대로 하시면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