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의 예시 명조풀이는 현대의 시각으로 볼 때 상당히 기이한 것들이 많다.
특히 삼명통회의 명조풀이가 그러하다.
위 명조가 종재일까?
삼명통회에선 종재로서 소개된 명조지만.. 종재로 보기엔 너무 억지스럽다고 본다.
왜냐하면 일간이 지지에서 신술을 지배하여 왕하기 때문이다.
삼명통회는 참고만 하자.
첫댓글 아마도 그당시에도이사람의 삶의수준 사건등 을 참고해서 결과를 가지고 역추론으로 이론을 만들어 설명 한거겠죠논리와 현실이 안맞으면 그냥 놔야 하는데, 그것을 역학의 공백 이라고 해야겠습니다 운명이 아니고 그냥 특이현상 정도.
아무래도 그렇지요.
전형적인 富貴를 타고난 명으로 그 당시 큰 富를 이룬것만 보고, 종재로 본 듯.. 하지만, 경신 일주고 묘술합에 정관격으로 까지 보이는데.. 종재라니.. 이런식으로 간명을 하고 참조를 하면, 백년천년 공부를 해봐야 기초 수준을 못벗어날 수 밖에..
첫댓글 아마도 그당시에도
이사람의 삶의수준 사건등 을 참고해서 결과를 가지고 역추론으로 이론을 만들어 설명 한거겠죠
논리와 현실이 안맞으면 그냥 놔야 하는데, 그것을 역학의 공백 이라고 해야겠습니다
운명이 아니고 그냥 특이현상 정도.
아무래도 그렇지요.
전형적인 富貴를 타고난 명으로 그 당시 큰 富를 이룬것만 보고, 종재로 본 듯.. 하지만, 경신 일주고 묘술합에 정관격으로 까지 보이는데.. 종재라니.. 이런식으로 간명을 하고 참조를 하면, 백년천년 공부를 해봐야 기초 수준을 못벗어날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