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발견 중요한 성조숙증, 혹시 내 아이도?
- 성조숙증 진료인원 연평균 44.9% 증가, 발견 늦으면 성장판 닫혀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최근 5년간(2006~2010년) ‘성조숙증(E30.1)’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6년 6천4백명에서 2010년 2만8천명으로 5년간 약 4.4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4.9%로 나타났다.
• 총진료비는 2006년 23억원에서 2010년 179억원으로 5년간 7.8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7.7%로 나타났다.
• 또한,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인원 중 약물치료를 실시한 인원은 2006년 587명에서 2010년 2,770명으로 4.7배 증가하였다.
※ 성조숙증 진료인원 산출기준
- 주상병이 조발사춘기(E30.1)로 진단받은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함
- 성조숙증이라고 해서 모두 약물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측 성인신장이 충분히 크다면 경과를 지켜보는 경우도 있다.
<성조숙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
① 골연령이 2세 이상 앞서갈 때 / 예측 성인신장이 150cm 미만일 때
② 사춘기의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③ 이른 사춘기로 인해 정서적, 심리적 문제가 있을 때
표1. <성조숙증> 성별 진료인원/약물치료 및 총진료비 현황(2006~2010)
구 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진료인원 (명) | 계 | 6,438 | 9,809 | 14,161 | 21,653 | 28,181 |
남 | 616 | 915 | 1,100 | 1,760 | 2,117 | |
여 | 5,822 | 8,894 | 13,061 | 19,893 | 26,064 | |
약물치료 (명) | 계 | 587 | 1,014 | 2,013 | 3,398 | 2,770 |
남 | 27 | 30 | 49 | 80 | 58 | |
여 | 560 | 984 | 1,964 | 3,318 | 2,712 | |
총진료비 (천원) | 계 | 2,285,684 | 3,793,106 | 7,051,509 | 11,861,342 | 17,892,469 |
남 | 136,479 | 191,753 | 265,102 | 404,341 | 578,221 | |
여 | 2,149,205 | 3,601,353 | 6,786,407 | 11,457,002 | 17,314,248 |
※ 약물치료: 조발사춘기(E30.1)가 주상병으로 기재․작성된 건강보험 명세서 중 치료약제(약품코드: E01860061, E01860411, A04350931, E07560081, A00700671)가 쓰인 명세서를 대상으로 실인원을 추출함.
그림1. <성조숙증>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추이(2006~2010)
□ 성조숙증이 위와 같이 급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소아비만 증가: 비만은 성조숙증과 가장 밀접한 관련.
- TV, 인터넷 등을 통한 성적 자극에 쉽게 노출: 과도한 시청각적 자극이 뇌신경에 영향을 주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줌.
- 환경오염으로 인한 환경호르몬 증가: 환경호르몬은 몸속 호르몬을 균형 있게 만들어주는 ‘내분비계’를 교란시킴.
- 자녀성장에 대한 부모의 관심증가: 과거와 달리 키, 몸무게 등 자녀의 성장에 대한 부모의 관심 증가(사회적 영향)로 성장에 이상 징후 발견 시 즉각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짐.
♣ 성조숙증은 중추신경계 종양이나 뇌 손상 등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과도한 성호르몬 분비로 인한 증상이 대부분이며, 호르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는 영양과다로 인한 비만, 스트레스, 환경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 성조숙증의 성별분석 결과는 2010년 기준 여아의 진료인원이 남아보다 12.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유율은 92.5%였다.(남아 7.5%)
- 연령별로 보면 남아는 10~14세가 68.8%로 가장 많았으며, 여아는 5~9세가 72.1%를 차지하였다.
- 이는 조발사춘기 현상이 나타나는 연령(여아 8세, 남아 9세 이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 남아의 경우 조발사춘기현상을 일반인이 발견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뒤늦게 진단받는 경우가 많아 10~14세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표2. <성조숙증> 성별 점유율 및 구성비(2006~2010)
구 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성비(남아대비여아) | 9.5 | 9.7 | 11.9 | 11.3 | 12.3 | |
점유율 | 남 | 9.6% | 9.3% | 7.8% | 8.1% | 7.5% |
여 | 90.4% | 90.7% | 92.2% | 91.9% | 92.5%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연평균 | ||
전년대비 증가율 | 남 | 48.5% | 20.2% | 60.0% | 20.3% | 37.3% |
여 | 52.8% | 46.9% | 52.3% | 31.0% | 45.7% |
그림2. <성조숙증> 성별 진료인원 추이(2006~2010)
표3. <성조숙증> 연도별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구 분 | 진 료 인 원 (명) | 연령별 점유율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0~ 4세 | 계 | 310 | 441 | 462 | 526 | 650 | 4.8% | 4.5% | 3.3% | 2.4% | 2.3% |
남 | 15 | 16 | 25 | 26 | 48 | ||||||
여 | 295 | 425 | 437 | 500 | 602 | ||||||
5~ 9세 | 계 | 4,376 | 6,845 | 10,481 | 15,663 | 19,996 | 68.0% | 69.8% | 74.0% | 72.3% | 71.0% |
남 | 177 | 253 | 312 | 529 | 618 | ||||||
여 | 4,199 | 6,592 | 10,169 | 15,134 | 19,378 | ||||||
10~14세 | 계 | 1,752 | 2,523 | 3,218 | 5,464 | 7,535 | 27.2% | 25.7% | 22.7% | 25.2% | 26.7% |
남 | 424 | 646 | 763 | 1,205 | 1,451 | ||||||
여 | 1,328 | 1,877 | 2,455 | 4,259 | 6,084 |
그림3. <성조숙증> 성별/연령별 진료인원 점유율(2010)
□ 성조숙증은 발견이 늦을 경우 치료의 효과가 적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 성조숙증은 여아의 경우 8세 이전에 가슴이 나오거나 음모가 발달하는 경우,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등 이차성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
- 여아는 가슴발달 같은 분명한 신체적 변화가 있어 부모의 눈에 쉽게 발견될 수 있지만, 남아는 상대적으로 발견이 어렵다.
- 성조숙증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같은 또래보다 신체성장이 빠르다. 이때 부모들은 흔히 ‘내 아이가 잘 자라고 있다’ 또는 ‘이렇게 잘 크니 나중에 키가 크겠지’ 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조숙증인 경우 성장이 빠른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키 크는 기간이 줄어들므로 최종적인 성인키는 작을 확률이 매우 높다.
- 여자아이는 유방이 발달하면서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고, 육안으로 보기에도 확연한 신체변화를 보인다. 반면에 남자아이는 고환이 커지는 등의 외적인 증상을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부모가 평소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심사결정기준(비급여 제외) ○ 주상병 : 조발 사춘기(E30.1, 조발 월경) 한방 및 약국 제외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성조숙증 진료인원 연평균 44.9% 증가, 발견 늦으면 성장판 닫혀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최근 5년간(2006~2010년) ‘성조숙증(E30.1)’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6년 6천4백명에서 2010년 2만8천명으로 5년간 약 4.4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4.9%로 나타났다. • 총진료비는 2006년 23억원에서 2010년 179억원으로 5년간 7.8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7.7%로 나타났다. • 또한,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인원 중 약물치료를 실시한 인원은 2006년 587명에서 2010년 2,770명으로 4.7배 증가하였다. ※ 성조숙증 진료인원 산출기준 - 주상병이 조발사춘기(E30.1)로 진단받은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함 - 성조숙증이라고 해서 모두 약물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측 성인신장이 충분히 크다면 경과를 지켜보는 경우도 있다. <성조숙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 ① 골연령이 2세 이상 앞서갈 때 / 예측 성인신장이 150cm 미만일 때 ② 사춘기의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③ 이른 사춘기로 인해 정서적, 심리적 문제가 있을 때 표1. <성조숙증> 성별 진료인원/약물치료 및 총진료비 현황(2006~2010)
그림1. <성조숙증>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추이(2006~2010) □ 성조숙증이 위와 같이 급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소아비만 증가: 비만은 성조숙증과 가장 밀접한 관련. - TV, 인터넷 등을 통한 성적 자극에 쉽게 노출: 과도한 시청각적 자극이 뇌신경에 영향을 주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줌. - 환경오염으로 인한 환경호르몬 증가: 환경호르몬은 몸속 호르몬을 균형 있게 만들어주는 ‘내분비계’를 교란시킴. - 자녀성장에 대한 부모의 관심증가: 과거와 달리 키, 몸무게 등 자녀의 성장에 대한 부모의 관심 증가(사회적 영향)로 성장에 이상 징후 발견 시 즉각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짐.
□ 성조숙증의 성별분석 결과는 2010년 기준 여아의 진료인원이 남아보다 12.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유율은 92.5%였다.(남아 7.5%) - 연령별로 보면 남아는 10~14세가 68.8%로 가장 많았으며, 여아는 5~9세가 72.1%를 차지하였다. - 이는 조발사춘기 현상이 나타나는 연령(여아 8세, 남아 9세 이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 남아의 경우 조발사춘기현상을 일반인이 발견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뒤늦게 진단받는 경우가 많아 10~14세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표2. <성조숙증> 성별 점유율 및 구성비(2006~2010)
표3. <성조숙증> 연도별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그림3. <성조숙증> 성별/연령별 진료인원 점유율(2010) □ 성조숙증은 발견이 늦을 경우 치료의 효과가 적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 성조숙증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같은 또래보다 신체성장이 빠르다. 이때 부모들은 흔히 ‘내 아이가 잘 자라고 있다’ 또는 ‘이렇게 잘 크니 나중에 키가 크겠지’ 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조숙증인 경우 성장이 빠른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키 크는 기간이 줄어들므로 최종적인 성인키는 작을 확률이 매우 높다. - 여자아이는 유방이 발달하면서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고, 육안으로 보기에도 확연한 신체변화를 보인다. 반면에 남자아이는 고환이 커지는 등의 외적인 증상을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부모가 평소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