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사가 권하는 인생이 편해지는 유연함의 기술
변화에 완벽하게 대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언제든 유연하게 대응할 연습을 하는 것이 인생을 살아가는 최선의 방법
유연함을 연습할수록 마음은 단단해진다
앞으로 무얼 해야 할지 막막한 와중에 똑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어렵다면 문제의 진짜원인은 낮은 심리적 유연성일 수 있습니다
몸이 뻣뻣하면 건강에 안 좋듯 마음이 뻣뻣하면 인생살이가 힘들어진다 - 아픔은 가장 경직된 부분에서 비롯된다. 유연함을 연습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이다
1장. 유연함을 잃어버린 순간, 문제는 반복되기 시작한다 - 일상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마음속 굳어진 틀 찾기
ㅇ 정신건강의 여섯 가지 뇌 기능 ; ①부정적 감정의 처리. ②긍정적 감정의 관리 ③인지기능 ④사회적 기능 ⑤신체기능 ⑥감각운동
ㅇ 삶의 의미를 찾는 존재의 필수불가결한 아픔 - 삶의 의미를 찾는 일이 쉬운 사람은 없다. 종착지가 아니라 경유지라고 생각하기
ㅇ 몸이 알려주는 뜻밖의 아픔 -우울감은 질환이 아니라 증상. 우울하지 않은 우울장애가 있다. 우울장애에도 유연한 처방을.
ㅇ '워킹맘'의 균형이 깨지는 순간 - 완벽주의와 강박장애는 다르다. 완벽하고 싶다는 욕망이 당신을 힘들게 한다.
ㅇ 나도 성인 ADHD가 아닐까? - ADHD :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그중에는 우울감이 심해 에너지가 부족한 사람도 있고, 걱정과 불안으로 학업에 방해를 받는 사람도 있다
ㅇ 뇌에 새겨진 상처는 어떻게 마음을 망가뜨리는 가 - 아픔의 이유에 '갑자기'는 없다. 뇌에 있는 센서가 과민하게 반응하게 된 원인을 찾고 건강도 조절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2장. 나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면 인생이 편해진다 -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유연함의 기술
ㅇ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마음이면 인생이 편해진다 - 모든 변화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따른다.
ㅇ 인생에서 나이를 먹었다거나 시간이 흘렀다는 이유만으로 익숙해지는 일은 없다
ㅇ 모두에게 최적화된 인생 알로리즘 따위는 없다. 수많은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알고리즘을 설계해나가야 한다.
ㅇ 나의 예민함을 인정하는 순간, 인생이 관리된다.
3장. 마음은 유연함을 연습할수록 단단해진다 - 다양한 관계의 모양 속에서 '의연한 나' 만들기
ㅇ 감정에 똑똑해야 덜 다친다 - 건강한 대화의 시작은 감정을 아는 것부터. 감정에 이름을 붙일 줄 아는 사람이 빨리 회복한다.
ㅇ 관계 문제가 반복된다면 마음의 틀을 바꿔라 -시간이 아니라 고착된 마음이 원인이었다. 변화는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되기도 한다.
ㅇ 비난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세 가지 방법 - 사람들은 원래 남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이상한 사람은 어디에나 있다고 생각하기. 나를 이해하는 사람들과 연대할 것.
ㅇ 수치심에 유연해야 우아해진다 - 수치심도 자연스러운 감정 경험. 가스라이팅을 거부하라.
ㅇ 감정의 다양한 모양을 받아들일 것 - 다정하지 않은 슬픔도 있다.
4장. 다양한 인생살이 속 세상물정의 심리학 - 나를 지키는 최소한의 경계를 만들어야 세상을 바로 보인다
ㅇ 공감과 내로남불은 한 끗 차이 - 갈등은 경험의 차이에서 시작된다. 편협함을 벗어나는 다양한 경험.
ㅇ 건강한 분노와 불만의 조건 - 혐오와 비난으로는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불만과 분노는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ㅇ 완벽한 피해자는 없다 - 힘들 수밖에 없는 것이 피해자. 그래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ㅇ 아무리 가까운 사이어도 감정 전염을 조심하라 - 나를 지키면서 베푸는 사람이 성공한다.
유연성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알고 타인과 사회 변화에 맞춰서 적응할 줄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