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언제나 그자리에서 원문보기 글쓴이: 유니코
순국 선열과 호국 영령들의 묘비 |
현충일(顯忠日)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殉國先烈)과 전몰(戰歿) 장병들을 추모하기 위한 날로서 6월 6일이다.현충일에는 조기(弔旗)를 달고, 대통령 이하 정부요인들, 그리고 국민도 국립묘지를 참배하고,
오전 10시 사이렌이 울리면 전 국민이 약 1분간 순국선열에 대해 묵념을 하게 된다.
지정배경
1956년 4월 19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대통령령 제1145호) 및 "현 충 기념일에 관한 건에서 "현 충 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
1965년 3월 30일 "국립 묘지 령"(대통령령 제2092호) 제17조에 의거 연1회 현충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현충일을 6월 6일로 정한 것은 24절기 가운데 하나인 망종(芒種)에 제사를 지내던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려 현종 5년 6월 6일에 조정에서 장병의 유골을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는 기록도 있다고 한다.
현충일의 의미와 유래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는 기념일.
매년 6월 6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6·25동란을 맞았고 이에 40만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공식적으로 현충일로 개칭되었다.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기념행사를 행하는데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행해진다.
추모대상은 6·25동란에 전사한 국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현충일이 단순히 선열의 넋을 기리고 그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켜져서는 안 될 것이다.
국민이 각자가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행하여야 할 사명을 새롭게 하고, 국민 전체의 화합을 다지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가정에서도 태극기를 조기 게양하시고 우리 친구들에게 현충일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 주시는 것도 나라 사랑하는 하나의 방법일 듯합니다.
♬ 현충일 노래 - 조지훈 작사 / 임원식 작곡
출처:다음
제57회 현충일
그 의미와 유래에 대해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