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전남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 |
높이 | 735m | |
주봉우리 | 동악산 북봉 | |
문화재 | 도림사계곡(지방기념물 101), 도림사(문화재자료 22), 도림사 괘불(전 남 유형문화재 119) |
[동악산 고스락]
660년(신라 무열왕 7) 원효가 도림사(道林寺)와 길상암(吉祥庵)을 세울 때 하늘의 풍악에 산이 춤
췄다고 하여 동악산이라 한다. 도선이 876년(신라 헌강왕 2) 중건한 이 절에는 이름처럼 휴정·유정 등
도인들이 모여 숲을 이루었고, 지환(知還)이 3창한 뒤 조선 말기에 4창하였다.
수석절경이 삼남 제일이라는 청류동(淸流洞)은 도림구곡(九曲),청류구곡으로불린다.제1은 쇄연문(鎖烟門),
제2는 낙악대(樂樂臺), 길상사와 청계동 갈림길에 9곡 별유비인간(別有非人間)이 있다. 임진왜란의 양대박
(梁大樸:1544∼1592)과 병자호란의 김감(金鑑:1566∼1641) 의병장이 활약한 별천지 무릉도원, 천혜의 요새
로 4km에 걸쳐 있는 폭포·소·담이 굽이치는 반석들이 지방기념물 제101호이다.
[동악산 북봉 정상부]
허백련(許百鍊)이 현판을 쓴 도림사 오도문(悟道門)에서 계곡을 향하면 갈랫길이다. 오른쪽은 시인 묵객들
이 노닐던 단심대, 배넘어재와 동악산 쪽이고 왼쪽은 형제봉과 길상암 쪽이다. 배넘어재 넘어 가파른 암봉
서봉을 지나 왼쪽 형제봉(730m:옛이름 聖出峰)까지는 산나물·산꽃이 깔린 전망 좋고 평탄한 능선길이다.
헬기장 지나 자일 잡고 암반 코스를 나오면 형제봉, 하늘로 치솟아 춤추는 듯한 동악산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왼쪽으로 돌면 암봉길이 미끄러운 하산길이다. 철 계단과 자일을 타고 오른쪽 숲으로 내려와 딱따구리 소리
와 물소리 들으며 조릿대 숲과 길상암터를 지나 4시간이면 도림사로 돌아온다. 직등하는 원점회귀 코스는
4시간이 걸리며, 형제봉∼동악산 종주는 7시간이면 충분하다.
[고스락의 곡성읍, 지리산 조망]
주봉에 서면 북동쪽 산줄기가 섬진강까지 뻗어나간 북쪽 사면과 뒤로 솟은 고리봉·삿갓봉·문덕봉이 보인다.
전라선이 섬진강 연안을 따라 달리며, 소백산맥과 마이산에서 발원한 섬진강은 곡성군 압록에서 보성강과
만나 압록유원지를 이룬다. 호남고속도로가 남으로 삼기면을 지나며 도림사 입구까지는 3.5km이다.
도림사계곡(지방기념물 101), 도림사(문화재자료 22), 도림사 괘불(전남유형문화재 119)이 있다. [백과사전]
++++++++++++++++++++++++++++++++++++++++++++++++++++++++++++++++++++++++++++++++
[형제봉에서 건너본 부채바위]
#산행코스
*도림사 -> 형제봉 -> 배너미재 -> 동악산 -> 도림사
주변명소
도림사 : 지방 문화재 자료 22호인 도림사는 '도림사' 라는 이름은 도선국사, 사명대사, 서산대사 등 도인이 많이
모여 들었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도림사는 신라 무열왕 7년인 660년에 원효대사가 사불산 화엄사
로부터 이주하여 지었다고 전해진다. 현재는 웅진당, 지장전, 칠성각, 요사채 등이 있고 절 입구에는
허백련 화백이 쓴 '오도문' 이라는 현판이 있다.
교통
*남해고속도 곡성나들목 -> 60번지방도(곡성방면) -> 곡성읍 ->88올림픽고속도 남원나들목 -> 남원 ->
17번국도(곡성방면) -> 곡성
대중교통
*곡성읍에서 택시가 편함. [samna]
+++++++++++++++++++++++++++++++++++++++++++++++++++++++++++++++++++++++++++++++++
# 참고 사이트 : 동악산 [전라남도]
동악산 [곡성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