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孔子對曰 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곧은 사람을 천거하여 굽은 사람 위에 둔다면 백성들이 복종할 것이고, 굽은 사람을 천거하여 곧은 사람 위에 둔다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셨다.
凡君問, 皆稱‘孔子對曰’者, 尊君也. 錯, 捨置也. 諸, 衆也. 무릇 임금이 물을 적에 모두 ‘공자대왈’이라고 칭한 것은 임금을 높이는 것이다. 錯(조)는 버려둔다는 것이다. 諸는 많다는 말이다.
程子曰: “擧錯得義, 則人心服.” 정자가 말하길, “들어 기용하고 버려둠이 합당함을 얻는다면, 사람들이 마음으로 복종한다.”라고 하였다.
○ 謝氏曰: “好直而惡枉, 天下之至情也. 順之則服, 逆之則去, 必然之理也. 然或無道以照之, 則以直爲枉以枉爲直者多矣, 是以君子大居敬而貴窮理也.” 사씨가 말했다. “곧은 것을 좋아하고 굽은 것을 미워함은 천하의 지극한 정이다. 그것에 순응하면 복종하고, 거스르면 떠날 것이니, 이는 필연적인 이치다. 그러나 혹시 도로써 그것을 비춤이 없다면, 곧 곧은 것을 굽은 것으로 여기고 굽은 것을 곧은 것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게 될 것이니,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공경함에 거하는 것을 위대하게 여기고 이치를 궁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新安陳氏曰 大學云 好人之所惡 惡人之所好 是謂拂人之性 謝氏之論 蓋本於此 至情卽性之發也 신안진씨가 말하길, “대학에 이르길, 좋은 사람이 미워하는 바와 나쁜 사람이 좋아하는 바를 일컬어 사람의 性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사씨의 주장은 대체로 이것을 본뜬 것이다. 지극한 정이란 곧 천성이 발현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居敬窮理者 明吾心以照枉直之本 而居敬又爲窮理之本 本文無此意 乃謝氏推本之論也 大居敬法公羊傳 君子大居正之文 以居敬爲大 而又窮理爲貴也 신안진씨가 말하길, “居敬과 窮理라는 것은 내 마음을 밝힘으로써 굽고 곧은 근본을 비추는 것인데, 居敬은 또한 窮理의 근본이 된다. 본문에는 이러한 뜻이 없지만, 도리어 사씨가 근본을 미루어서 도출한 논리다. 居敬을 위대한 것으로 본다는 것은 공양전의 ‘군자는 올바름에 거함을 위대한 것으로 본다’는 글을 본받은 것으로서, 居敬을 위대한 것으로 보면서도 또한 窮理를 귀한 것으로 보았다.”라고 하였다.
致堂胡氏曰 當時三家專魯 公安得擅擧錯之權哉 使公復問孰爲枉直 而付擧錯之柄於夫子 夫子必有所處矣 民心旣服 公室自張 何至乞師於越而卒以旅死哉 치당호씨가 말하길, “당시는 三家가 노나라를 전횡하고 있었으니, 애공이 어찌 들어 기용하고 내쳐서 버리는 권한을 마음대로 쓸 수 있었겠는가? 만약 애공이 누가 바르고 곧은지를 다시 묻고서, 들어 기용하고 내쳐서 버리는 권한을 공자에게 부여하였다면, 공자께서도 반드시 처리하는 바가 있었을 것이다. 민심이 이미 복종하였다면, 공실은 저절로 그 기세가 펴지는 것이니, 어찌 월나라에 군사를 구걸하다가 결국 旅路에서 죽는 지경에 이르렀겠는가?”라고 하였다.
朱子曰 當時哀公擧錯之權不在己 問了只恁休了 他若會問時 夫子尙須有說 주자가 말하길, “당시의 애공은 들어 기용하고 내쳐서 버리는 권한을 자신에게 갖고 있지 못하였으니, 묻고서는 그저 이렇게 그만이었다. 그가 만약 여럿이 모여서 질문할 때였다면, 공자께서는 여전히 반드시 말하는 바가 있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是便是直 非便是枉 옳은 것이 바로 곧은 것이고, 틀린 것이 바로 굽은 것이다.
問哀公問何爲則民服 往往只是要得人畏服他 聖人却告之以進賢退不肖 乃是治國之大本 而人心自服者 蓋好賢而惡不肖 乃人之正情 若擧錯得義 則人心豈有不服 謝氏又謂 若無道以照之 則以直爲枉以枉爲直矣 君子大居敬而貴窮理 此又極本原而言 若人君無知人之明 則枉直交錯而擧錯未必得宜矣 曰 此說得分明 누군가 묻기를, “애공이 ‘어떻게 하면, 백성이 복종하겠는가?’라고 물으면, 종종 그저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두려워해서 복종할 수 있도록 하라고 하였는데, 성인께서는 도리어 현명한 사람을 들이고 불초한 사람을 물리치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자, 사람들이 마음으로 스스로 복종하는 것이라고 알려주었습니다. 대체로 현명한 사람을 좋아하고 불초한 자를 미워하는 것이 사람의 올바른 실정입니다. 만약 들어 기용하고 내쳐서 버리는 것이 합당함을 얻는다면, 사람들의 마음이 어찌 복종하지 아니함이 있겠습니까? 사씨는 또 말하길, 만약 도로써 비추어줌이 없다면, 곧은 것을 굽은 것으로 여기고 굽은 것을 곧은 것으로 여긴다고 하였습니다. 군자는 경에 거함을 크게 여기고 이치를 궁구함을 귀하게 여긴다는 것, 이것은 또한 본원에 이르러서 말한 것입니다. 만약 임금에게 사람을 아는 밝음이 없다면, 굽고 곧은 것이 서로 뒤섞여서, 들어 기용하고 내쳐서 버리는 일이 반드시 합당하지는 않게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말하길, “이는 아주 분명하게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
3 | ○ 『論語徵』曰: “枉與直不同, 枉者材之反張者也, 直者材之良者也. 蓋以積材之道爲喩, 積材之道, 以直者置於枉者之上, 則枉者爲直者壓而自直矣.” 논어징에 이르길, “굽은 것과 곧은 것은 다른데, 굽은 것은 재목 중에 거꾸로 펼쳐진 것이고, 곧은 것은 재목 중에 좋은 것이다. 대개 재목을 쌓는 방도를 가지고 비유하자면, 재목을 쌓는 도는 곧은 것을 굽은 것 위에 놓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굽은 것이 곧은 것에 의해 눌려서 저절로 곧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