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제주서귀포휴양연수장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시사정보 알림 공간 스크랩 기분 좋은 국제 경제통계-한국은 우등생/ 조갑제닷컴
鶴山 추천 0 조회 30 15.03.20 19:3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기분 좋은 국제 경제통계-한국은 우등생

 

외환수지 통계에서 한국은 연간 928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독일(2864억 달러), 중국(2138억 달러), 사우디 아라비아(1201억 달러)에 이어 세계 4위이다. 일본은 401억 달러, 싱가포르는 588억 달러이다.

 

趙甲濟   

 

나는 정기구독중인 영국 잡지 이코노미스트가 오면 늘 마지막 페이지를 먼저 읽는다. <경제 및 금융 지표>이다. 세계 주요 44개국의 경제통계표이다. 이 표로써 한국 경제 성적을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최근호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3.7%로 예상된다. 올해 예상치는, 중국이 7.2%로 1등이고, 인도가 6.6%로 2등이다. 유럽 국가중에서 한국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은 없다. 아시아에선 대만(3.8%), 태국(4.2%),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각 5.5%)가 한국을 앞선다. 큰 경제 단위에서 한국의 성장률은 높은 편이다. 아베노믹스의 일본은 1.1% 성장률이 예상된다.

한국의 연간 물가 상승률은 1.8%로서 안정적이다. 실업률은 3.8%인데, 그리스는 26%, 스페인은 23.4%, 유로 존 국가 평균은 11.2%이다. 일본은 3.6%이다. 한국은 실업률도 낮은 편이다.

외환수지 통계에서 한국은 연간 928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독일(2864억 달러), 중국(2138억 달러), 사우디 아라비아(1201억 달러)에 이어 세계 4위이다. 일본은 401억 달러, 싱가포르는 588억 달러이다.

국가예산이 흑자로 편성되는 나라는 44개국 중 다섯 나라뿐인데 한국이 여기에 속한다. 독일, 노르웨이, 스위스, 홍콩, 한국이다.

종합하면 한국은 건실한 경제대국이다. 적어도 현재로서는 그렇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근로자들과 소비자들이 다 애쓴 결과이다.
,,,,,,,,,,,,,,,,,,,,,,,,,,,,,,,,,,,,,,,,,,,,,,,,,,,,,,,,,,,,,,,,,,,,,,,,,,,,,,,,,,,,,,
한국의 실력

1. 李明博 정부 출범 이후 껑충 뛴 한국의 경제-복지-정치 랭킹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자매 회사 EIU가 매긴 ‘민주주의 지표’ 랭킹에 따르면 2006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한국은 167개국 중 31등(일본은 20등)으로서 ‘결함 민주국가’로 분류되었다. 李明博 정부 들어 랭킹이 올라 2010년부터 한국은 ‘완전 민주국가’로 분류된다. 그해 조사에서 한국은 20등으로 일본(22등)을 앞섰다. 2011년 조사에선 한국이 일본 바로 다음인 22등이었다. 2012년 조사에선 20등으로 일본을 추월했다.
  
  *삶의 질과 복지 수준을 보여주는 UNDP(유엔개발기구) 발표 ‘인간개발지수(HDI)’ 랭킹에서도 한국은 이명박 정부 이후 크게 올랐다.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2007년에 180여 개국 중 26위, 2008년에 25위를 하다가 2010년에 12위, 2011년엔 15위였다. 2013년엔 15위.
  
  *복지, 경제, 민주 부문에서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제 랭킹이 오른 것은 2008년의 금융위기를 잘 극복한 덕분이다. 당시 李 대통령과 姜萬洙(강만수) 장관도 위기를 잘 넘기면 국제적 위상이 달라질 것이라고 예언했는데 적중하였다.
  
  *2013년 초 현재 외환보유고 1위 국가는 중국으로 3조 5490억 달러, 2등은 일본으로 1조 3510억 달러, 한국은 8등으로서 3192억 달러였다. 이는 미국 CIA의 2012년 통계이다.
  
  *소득 평등도 랭킹에서 한국은 136개국 중 28등이었다. 가장 평등한 나라는 스웨덴이었다.
  
  *예산 흑자율 랭킹에서 한국은 213개 나라들 중 21등. 한국보다 앞선 나라는 거의가 産油國들이다.
  
  *한국은 電力 생산량이 세계 10위이다. 중국이 1등이고 미국, 러시아, 일본, 인도, 캐나다, 독일, 프랑스 브라질, 한국, 영국, 이탈리아 순위이다.
  
  *2013년 경상수지에서 가장 많은 흑자를 본 나라는 독일, 이어서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 한국 순이다. 한국은 약 80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국제투명성기구의 2011년도 부패인식지수 랭킹에 따르면 한국은 청렴도에서 세계 183개국 중 43등이었다. 2009년엔 39등이었다. 가장 깨끗한 나라는 뉴질랜드, 2위는 핀란드. 가장 부패한 나라는 소말리아와 북한으로 공동 꼴찌였다.
  
  *권위있는 국제통계에선 李明博 정부가 경제·복지·민주 발전을 동시에 이룬 것으로 평가되는데 국내에선 종북좌파들이 정부가 독재로 흘렀다고 비난하고 많은 국민들도 이에 동조, 대통령 지지율이 30%를 밑돌았다. 30%라는 수치는 李 대통령이 아니라 한국인들의 분별력 점수일지 모른다.
  
  
  2. 이웃을 침략하지 않고 선진경제와 완전한 민주주의를 이룬 유일한 ‘5000만+’ 국가는 한국
  
  2012년 국제통화기금(IMF)의 구매력 기준 국가총생산(GDP) 랭킹에 따르면 한국은 약 1조6000억 달러로서 세계에서 12등이다. 우리보다 순위가 앞선 나라 중 인구가 우리보다 적은 나라는 없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완전한 민주국가로 분류된다. 우리보다 GDP가 많은 나라중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로 분류된 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뿐이었다. 2012년도 랭킹에서 한국은 민주주의 순위가 20등으로서 미국(21위), 일본(23위), 프랑스(28위), 이탈리아(32위)를 앞섰다. 한국보다 GDP가 많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및 인도와 멕시코와 브라질은 ‘결함 있는 민주국가’로 분류되었다.
  
  요약하면 한국은 인구 5000만 명 이상을 가진 나라 중 선진경제와 완전한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룬 다섯 나라 중 하나이다.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한국이다. 이 다섯 나라 중 한국을 뺀 네 나라는 국가 발전 단계에서 식민지를 경영하였다. 미국도 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았다.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나라 중 한국만이 식민지를 수탈하지 않고도, 즉 이웃나라에 폐를 끼치지 않고, 오히려 식민지가 된 경험을 딛고 선진경제와 완전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룬 유일한 ‘5000만 플러스’ 나라이다.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逆轉劇(역전극)이다. 이런 위업에 가장 큰 공이 있는 사람은 나라를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위에 세운 李承晩(이승만), 그리고 國力(국력)을 조직화하고 능률을 극대화하여 중화학공업을 건설, 국가 발전의 주체역량인 중산층을 만들어낸 朴正熙(박정희)이다. 이 두 사람을 主敵(주적)으로 삼고 있는 것은 좌편향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금성, 미래엔, 두산동아, 비상교육, 천재교육)이다.
  
  <이코노미스트> 조사에 따르면 167개국 중 가장 억압적인 나라는 167등을 한 북한이었다. 좌편향 교과서는 이런 북한을 두둔하기 위하여 한국 민주주의의 두 건설자 이승만과 박정희를 폄하하였다. 가히 정신병적인 記述(기술)이다. 이런 기술을 허용한 대한민국 교육부는 대한민국에서 추방해야 할 조직이다.
  
  
  3. 53년 전 한국의 모습
  
  1961년 朴正熙 소장이 군사혁명으로 정권을 잡고 경제개발에 착수하였을 때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93달러였다. 당시 경제통계 대상이었던 103개국 중 87위로 최하위권이었다.
  
  1위는 2926달러의 미국, 지금은 한국과 비슷해진 이스라엘은 1587달러로 6위였다. 일본은 26위(559달러), 스페인은 29위(456달러), 싱가포르는 31위(453달러)였다. 아프리카 가봉은 40위(326달러), 수리남은 42위(303달러), 말레이시아는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보다 세 배가 많아 44위(281달러)였다.
  
  지금 독재와 가난에 시달리는 짐바브웨도 당시엔 1인당 국민소득이 274달러로 한국의 약 3배나 잘 살았고 46위였다. 필리핀도 과거 한국인에겐 선망의 대상이었다. 한국보다 약 3배나 많은 268달러로서 49위였다. 南美의 과테말라도 250달러로 53위, 잠비아(60위, 191달러), 콩고(61위, 187달러), 파라과이(68위, 166달러)도 한국보다 훨씬 잘 살았다.
  
  필자의 가족은 이 무렵 파라과이로 이민을 가기 위한 수속을 밟았는데 다행히 잘 되지 않아 모두 한국인으로 살고 있다. 낫세르의 이집트도 152달러로서 70위였다. 박정희 소장 그룹의 일부는 이집트의 낫세르를 따라 배우려 했다. 아프가니스탄도 124달러로 75위, 카메룬은 116달러로 77위였다. 캄보디아도 116달러로 78위, 태국은 110달러로 80위였다. 차드 82위, 수단 83위, 한국 87위! 그 뒤 52년간 한국이 얼마나 빨리 달리고 높게 뛰었는지는 설명이 필요없다. 한국은 유신시대로 불리는 1972~1979년에 중화학공업 건설을 본격화하면서 1인당 국민소득 랭킹에서 도약한다.
  
  1972년에 한국은 323달러로 75위, 말레이시아는 459달러로 64위였다. 1979년에 가면 한국은 1734달러로 59위로 오른다. 말레이시아는 63위로 1537달러였다. 말레이시아가 못해서가 아니고 한국이 잘하여 뒤로 밀린 것이다.
  
  2012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명목상 2만 2589달러로 세계 34위, 구매력 기준으론 3만 2800달러로 세계 30위이다. 삶의 질 순위로는 180여 개국 중 12등! 1961년에 한국보다 세 배나 잘 살았던 필리핀은 2611달러로 세계 124위, 이집트는 3112달러로 119위이다. 짐바브웨는 756달러로 158위. 필리핀의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 51년간 약 10배, 한국은 약 250배가 늘었다. 한국인은 필리핀인보다 25배나 빨리 달렸다.
  
  한국은 美, 中, 日, 獨에 다음에 가는 5大 공업국, 7大 수출국, 8大 무역국, 12위의 경제大國(구매력 기준 GDP)이고, 12위의 삶의 질을 자랑한다. 재래식 군사력은 8위 정도. 울산은 세계 제1의 공업도시이다. 維新期(유신기)의 중화학공업 건설 덕분이다. 1970년대 말에 우리는 선진국으로 가는 막차를 탔던 것이다.
  
  
  4. 숫자로 풀어보는 한국의 실력
  
  (1) 울산은 세계 1위의 공업도시이다. 국민평균 IQ도 1위. 대학진학률도 1위. 정치적 선동으로 속는 데도 1등일 것이다.
  (2) 한국의 교육은 핀란드에 이어 2위로 평가된다. 세계은행은 한국의 民事재판 제도를 세계 2위로 평가했다. 자살률도 2위다.
  (3) 삼성전자는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3위의 제조업체이다.
  (5)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5위의 공업국이다.
  (7) 한국은 제7위의 수출국이다. 여성의 평균수명도 7위.
  (8) 한국은 세계 8위의 무역국이다.
  (9) 한국의 군사비 지출은 세계 9위다(兵力은 8위).
  (12) 한국의 GDP(구매력 기준) 규모는 세계 12위. '삶의 질' 순위도 세계 12위.
  (21) 한국은 예산의 건전성이 세계 21위.
  (22)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2012년 조사: 한국의 민주주의 성숙도는 세계 167개국 중 20위로서 ‘완전 민주국가’로 분류된다. 북한은 167등으로 꼴찌.
  (30) 1인당 국민소득(구매력 기준)은 세계 30위이다.
  
  
  5. 국민교양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는 발전을 70년만에 해치운 한국은 그러나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北의 核미사일 위협, 國內의 從北좌파 세력, 선동언론과 이에 넘어가는 국민들, 한글專用에 의한 한국어의 파괴와 교양의 붕괴, 法治의 약화, 과잉복지에 의한 국가財政(재정)의 부실화 등이다. 무엇보다도 평화가 오래 계속되니 국민들이 尙武(상무)정신을 잃고 있다. 전쟁 뒤엔 평화가 오고, 그 평화가 오래 계속되면 전쟁을 부르게 된다는 역사의 법칙이 한국에는 적용되지 않도록 하려면 국민들이 각성하여야 한다. 그 답은 교양에 있다. 교양 있는 국민이라야 간첩과 사기꾼을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으로 뽑지 않는다. 교양은 독서, 예술, 스포츠 등 人文的 교육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법을 지키는 교양인이 정의로운 시민이다.
  
  한국의 발전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덕분이다.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경쟁과 견제를 도입하였으므로 한국인들은 남에게 폐를 끼치거나 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엄청난 생산과 건설을 할 수 있었다. 인간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이 제도를 파괴하려는 세력이 계급투쟁론에 물든 공산주의자들과 종북좌익들이다. 이들을 결정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가 한국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다. 
  

“우리는 일밖에 한 일이 없다” - 광복 70주년 기념 現代史 체험手記 현상모집

[ 2015-03-20, 00:16 ]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