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 지원으로 도시농업모델발굴 해외연수를 일본으로 다녀왔습니다.
제가 보고 느낀 점 저희 회원님들과 김포 도시농부들과 공유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연수 2일차 2번째 방문지는 사카이시에 있는 <포레스트가든>입니다.

포레스트가든은 제가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지역내 도시농업공원의 모델이어서 조성 경위나 운영 방법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번 연수 후기는 현장에서 시청 담당자로 부터 받은 홍보 팜플렛을 번역한 부분과 제가 느끼고 기록한 내용을 위주로 조금은 상세하게 기록하겠습니다. 번역을 도와주신 김포경실련 심영섭 회원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조성 목적과 경과
사카이시에서 지역의 자연환경을 활성화시키면서 농림업 체험이 가능한 사토야마(里山 : 동네에서 가까우며 생활에 밀접한 낮은 산, 동네 뒷산 정도의 의미)의 정비를 실시하여, 농업이나 자연과의 관계를 배우는 장소로 조성하였으며, 또한 남부구릉지역에 남겨진 풍부한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활용을 하여 지역진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94년 6월 4일에 1차 개원했으며, 이후 시민의 호응을 바탕으로 2005년 9월 4일 2차로 확장을 해서 현재 규모는 78,071m² 에 이른다고 합니다.
개원에 앞서 1차 개원시 1990년 ~ 1993년까지 조성작업 실시, 2차 확장 개원시 2002년 ~ 2005년 조성작업을 하였다고 합니다.
포레스트가든은 무엇보다 일반 녹지공원과 시민농장의 결합으로 시민과 도시농부가 함께 즐기고 활용할 수 있는 방편으로 조성하여서, 도시농업공원의 표준 모델인 것 같았습니다.
포레스트가든을 보면서 사카이시는 중장기 계획으로 농업 분야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느꼈으며, 도시농업이 궁극적으로 농업의 발전 방향이라는 시정 방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프로그램 운영과 세부 시설
포레스트가든 안에는 지형·식생 등에 따라 4개로 구분, 공원 연못의 동쪽에는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자연녹지부, 자연유원부(自然遊園部)를 배치했으며, 중앙부에는 휴식장소, 주차장,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서쪽은 대형 시민농장을 갖는 농장녹지부로 조성 되어 있으며, 시민농장규모는 전체 12,415m²로 1구획 면적은 이용도가 높은 소구획 25m² 263구획(시민분양가 15,000엔(약 165,000원))과 대구획 50m² 21구획(시민분양가 30,000엔(약 330,000원)의 2종류가 있으며, 이중 대구획 5구획을 원예복지용구획(장애우 복지시설 전용, 분양가 50% 감면)으로 할용하고 있습니다.
시민농장의 부속시설로 수도시설을 25m 이내에 1개소, 농구창고, 퇴비장, 견본시설(見本園)을 갖추었고, 주차장은 4지점에 총59대(장애우 전용 2대 농장내 설치)를 보유하였습니다.
숲속 평지를 이용해서 목제놀이기구(대형1기, 중소형 13기)를 중심에 설치하여 자연놀이공원 공간으로 조성하였으며, 5개소의 숲속 공간(190m²~370m²)을 돌아다니며 놀 수 있도록 통로를 연결하고 각각을 1)대형 콤비네이션 놀이기구 2)바다의 광장 3)하늘의 광장 4)대지의 광장 5)건강놀이기구 등의 테마로 갖추었습니다.
운영과 관리는 사카이시의 지원을 받는 지역 NPO(비영리민간단체)가 전담하고 있으며, 단체 회원은 50여명 정도로 사카이시로 부터 기본 운영자금 등의 지원을 받고 있었습니다.
공원을 돌아 보며 공원 내 관계망 도로의 포장과 배수시설 정비 등이 잘 되어 있어서 도시민들에게 텃밭농사가 쾌적한 환경으로 인식되는 것 같아서 국내 도시농업공원과 시민농장 조성 계획시 초기비용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 생각 되었으며, 시민농장 토질이 매우 양호한 점이 10년 정도의 토질개선 효과인지는 모르겠으나, 토질의 양호함이 텃밭농사의 기본적인 조건임을 다시 한번 생각햇습니다.
현재 국내 많은 시민농장 들이 규정 없이 복토를 진행하여, 농업에 부적합한 용토로 조성하는 사례는 초보 도시농업인에게 텃밭농사가 어렵다고 인식하게 하여 도시농업의 지속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도내 주말농장이나 시민농장의 토질에 관해서도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하여 양질의 흙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고.
국내 최대 인구 밀집지역인 경기도 도시농업의 중장기(5~10년 단위) 계획을 수립ㆍ추진하는 단계부터 민간단체ㆍ시민과 함께 공유하여 도시농업이 농업의 활성화로 이어진다는 인식 확산을 유도하면 좋겠습니다.

공원 전체 배치도입니다.
안내를 받으며 우선 느낀점은 국내 시민농장은 대부분 평지에 일률적으로 텃밭을 조성 하였는데, 포레스트가든은 구릉지에 조성이 되어 있어, 입체감으로 인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희도 지역내 도시농업공원 입지 선정시 첫번째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른 아침에 도착했는데, 시 담당자와 관리하는 NPO의 임원분들이 마중나와 계셨습니다.
입구에 외부는 자연친화적으로 꾸민 화장실이 있었습니다. 물론 내부는 도시민이 이용하기에 불편하지 않도록 위생적인 시설로 되어 있었습니다.

공원의 비탈진 면에 관리주체 회원분들이 조경을 위하여 식재를 하는 모습입니다.
회원 전체를 만나 보지는 못했지만, 보이는 모든 분들이 노인분들입니다. 사회적인 현상인지? 다른 고민을 해봐야 겠습니다.

창고 앞 농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쌓아 놓는 퇴비장인듯 합니다.
경고 문구의 내용은 ㅠ.ㅠ 제 능력으로 해석불가
이곳은 채소찌꺼기나 잡초를 모으는 곳입니다.
비닐이나 망, 빈병, 페트병 등은 버리지 마시고 개인적으로 가지고 돌아가주세요.
-사카이시 농정부 지정관리자-
ㅋ 게시물 보시고 김포도시농부께서 번역을 해서 알려주셨네요^^

농장 곳곳에 안내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시민들의 소통 게시판으로도 활용되는 듯 했습니다.

농기구 창고입니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다 보니, 구역별로 창고를 나누어 배정하였습니다.
창고 앞 시민은 장애우입니다. 장애우를 위한 텃밭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고 했는데, 그 텃밭에 온 것 같습니다.

창고의 한칸 안 농기구들입니다.



시민농장의 구석구석 풍경입니다.
농장 중간중간에서 시민들이 비닐멀칭을 하기도 해서, 시 담당자에게 농장내 비닐멀칭에 대한 세부 규정이 있는지 질문을 하였습니다. 시 담당자는 제 질문에 대하여 약간 의아하게 받아드리는 눈치던데, 모두들 본인이 취식할 작물을 재배하므로 친환경 재배를 하든 일반 재배를 하든~ 재배하는 시민의 자율적인 의사로 결정한다고 합니다. 한순간 괜한 질문을 했나 했습니다.
저희는 농장에서 비닐멀칭 No, 화학비료 No, 화학농약 No 하는데, 근본적인 사람의 마음까지 규제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니 왠지 씁슬했습니다.

위와 같은 수도 시설이 매 25m 마다 1개소씩 있었습니다.

공원 건너로 인가가 바로 붙어 있습니다.



공원내 체육시설입니다.

어린이 놀이터

공원의 각 파트를 연결하는 길입니다.
어느 둘레길 못지 않게 운치가 있게 조성해 놓았습니다. 사진만 보고 담양에 죽녹원이라고 해도 믿을듯 합니다 ㅋ

공원의 정상부에 있는 원두막 같은 쉼터입니다.
올라가서 전체적인 조망을 하고 싶었지만 다음 일정이 있어서 멀리에서 사진만 남겼습니다.

함께 연수를 마친 분들과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2시간이 넘게 공원에 대한 설명과 관람을 마쳤지만 조금더 자세히 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더군요...
이제 오후 견학지로 이동하려 합니다.
※ 참고자료 - 사카이시 농업진흥 비젼(시 자료)
▶취지 - 사카이시에서는 2007년 3월에 ‘시민과 함께 걷는 건강한 농업·자치도시·사카이’를 기본목표로 한 ‘사카이시 농업진흥비젼’을 정책으로 해서 각종 시책을 전개해 오고 있다.
2007년에 책정되어진 농업진흥비젼은 시책목표(施策目標)를 대략 10년으로 해서 중간 재검토(3~5년)를 시행하는 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비젼에서는 2007년에 책정되어진 농업진흥비젼의 기본목표와 기본방침은 계승하면서 각종시책(施策)의 실시상황이나 근년 농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시정(市政)의 동향 등까지 입각하여 시책(施策)에 관한 사고방식이나 구체적 대처부분에 대해 개정(改訂)하는 것에 있다.
▶비젼의 추진에 대해서
비젼을 원활히 추진하기위해서 PDCA(계획, 실행, 평가, 개선) 사이클에 의한 진행관리를 실행하고 있다.
또, 청내의 관계과로 구성된 (가칭) 비젼청내추진회의를 설치하고, 관계과와 연대, 조정하면서 진행관리를 실행하는 것과 함께, 농업관계자로 구성된 (가칭) 비젼추진회의를 설치해, 외부의 시점(視點)까지 더해 진행관리를 실행한다.
▶사카이시 농업의 기본목표와 기본방침
- 시민과 함께 걷는 건강한 농업만들기를 통해서 농업·농공간(農空間)이 있는 마을만들기에 노력한다.
- 도시와 공존하는 농업·농공간(農空間)만들기를 통해서 순환형사회의 구축에 노력한다.
- 농업자와 지역의 주체성·창의성의 발휘에서 매력있는 농업을 진흥해, 다양한 담당자의 육성확보에 노력한다.
- 지산지소를 추진하고, 안전·안심 식료공급시스템 만들기에 노력한다.
▶사카이시 농업의 5대 전략
- 전략1. 농공간을 지키고 다양하게 활용한다.
시내면적의 약 10%를 점하는 농공간을 지키고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 유휴농지의 해소, 환경보전형농업의 추진, 농업용시설이나 기반시설의 지원, 방채대책사업 등을 추진한다.
-전략2, 농업을 떠받칠 담당인력을 육성한다.
오사카부의 농업산출액의 약 10% 규모를 자랑하는 사카이시농업을 떠받칠 담당자를 육성하기 위해 인정농업자 등의 중핵적 담당자를 육성·지원, 상담이나 매칭(matching)등 신규 취농자로의 지원, 연수회의 개최 등의 여성농업자에의 지원 등을 추진한다.
-전략3. 안전·안심 지산지소를 추진한다.
안전·안심한 지산지소를 더욱 추진하기위해서, 생산자의 증가나 이력 확인이 가능한 집하처의 확대 등, 「사카이의 은혜(주:사카이시 농산물 브랜드 명)」의 충실, 생산자의 증가나 연수회의 개최 등, 오사카에코농산물 「센슈사카이 소다치」의 충실, 사카이산농산물 판매장소 등의 PR · 정보개발 등을 추진한다.
-전략4. 시민의 삶과 농업을 연결한다.
시민의 삶과 농업을 연결하기위해서 시민농원 등 시설의 충실함을 도모하며, 시민이 농업에 친숙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증가시키면서 하베스트의 언덕, 사카이낙농단지, 이지리산 등이 있는 남부구릉지역의 활성화, 학교와의 제휴를 대처방식으로 추진한다.
-전략5. 6차산업화와 농상공제휴를 진행한다.
6차산업화와 농상공제휴를 진행하기위해서, 농가와 식료품점, 식품제조업, 제과점 등의 식품관련사업자와의 매칭을 촉진, 사카이산농산물을 활용한 식품제휴사업자의 증가, 상점가의 이벤트 등에 사카이산 농산물의 활용등를 추진한다.
첫댓글 글을 옮겨가도 좋을지요
네!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