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체인저란 사용자 PC에 감염시켜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DNS(Domain Name System)의 설정을 바꿔놓는 악성코드다. 때문에 특정 사이트를 정상적으로 입력해도 해커가 만든 엉뚱한 사이트로 접속되게 된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DNS 체인저에 감염된 컴퓨터들이 정상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작년 11월부터 DNS 임시 서버를 운영해왔다. 하지만 한국시각 9일 오후 1시 1분에 임시 서버의 운영을 중단하면서, DNS 체인저에 감염된 컴퓨터들은 인터넷 접속에 장애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KISA는 DNS 체인저로 인한 인터넷 접속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감염된 국내 컴퓨터를 파악해 피해 사실을 고지하고, 지난달부터 보호나라(www.boho.or.kr)를 통해 치료용 전용백신을 제공하는 등의 예방조치를 시행해왔다.
그러나 아직 백신 치료가 안 된 일부 컴퓨터, 또는 백신으로 치료했는데도 인터넷 접속이 안 되는 경우에는 컴퓨터 DNS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제어판에서 DNS 주소를 확인한 후 변경해야 하는데, 윈도우7과 윈도우XP에서 DNS 주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 |
||
▲ (자료제공: KISA) |
DNS 주소가 확인되면 아래 표와 같이 올바른 DNS 주소로 변경해야 하고,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별도로 DNS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를 설정하면 된다.
![]() |
||
▲ (자료제공: KISA) |
이 같은 방법으로 DNS 주소를 변경해 인터넷이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반드시 보호나라에 접속해 ‘DNS 체인저 치료용 전용백신’을 내려받아 악성코드를 치료해야 한다.
* 전용백신 다운로드 페이지 : http://download.boho.or.kr/vacc_care/vacc_board_view_frame.jsp?vac_id=VAC20120613002
만일 DNS 설정 방법이 어렵거나, 올바르게 설정했는데도 인터넷 접속이 안 되는 사용자라면, 현재 자신이 가입한 인터넷 회선 업체(KT Olleh ☏100, SK브로드밴드 ☏106, LG U+ ☏1644-7000) 또는 KISA 118 상담센터(☏118)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