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선천성·류마티스성 원인 - 스트레스 받으면 숨 차고 피로감 - 중증 환자 2년내 사망 확률 높아 - 인공판막 삽입 수술 등 꼭 필요 - 80세 이상은 ‘타비’ 우선 고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나눠져 혈액을 온 몸으로 보내는 펌프기능을 한다. 이들 방 사이, 그리고 심장과 대혈관 사이에 문 역할을 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그중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서 심장의 대문 역할을 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이 같은 대동맥판막이 돌처럼 딱딱하고 두꺼워져 판막이 잘 열리지 않는 질환이다. 부산백병원 순환기내과 양태현 교수의 도움말로 이 질환의 원인과 검사,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봤다.
심장은 혈액을 내보내야 하는데 판막이 좁아지면 정상 심장보다 많은 일을 하면서 심장근육이 두꺼워진다. 운동을 많이 하면 전신 근육량이 증가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심장근육이 두꺼워지는 것은 심장이 병들고 있다는 신호이다. 두꺼워진 심장의 부하가 해소되지 않으면 펌프기능도 감소하게 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원인은 퇴행성, 선천성, 류마티스성으로 나뉜다. 그중 노화에 의해 판막이 탄력성을 잃고 칼슘이 달라붙어 딱딱하고 두꺼워지는 퇴행성 협착증이 가장 흔하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대동맥판막협착증 진료 환자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가장 흔한 증상은 숨이 차거나 가슴이 갑갑한 것이다.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차는 말기 협착증을 제외하고, 보통 활동을 하거나 스트레스가 있을 때 증상이 나타난다. 그런데 숨이 차고 가슴이 아픈 것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같은 심장동맥질환과 헷갈리기 쉽다. 두 질환 모두 나이가 들면서 발생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같은 환자에게 대동맥판막협착증과 심장동맥질환이 동시 진단되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두근거림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있다. 진행 정도에 따라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중증으로 진행해 가슴 통증 실신 심부전 증상이 발생했는데 수술(또는 시술)을 받지 않으면 대부분 2년 내 사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