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럭바위 반(磐)자는 의부(義符)로 돌 석(石)자에 성부(聲符)로 돌 반(般)자를 했습니다. 돌 반(般)자는 배 주(舟)자에 창 수(殳)자를 해서 창과 같은 몽둥이로 상앗대를 삼아 배를 노 젓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반정(磐井) 반성평번(磐城平藩) 반성지료(磐城誌料) 반안운봉(磐安云峰) 반안현(磐安縣) 반석(磐石)
버릴 반(拌)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반 반(半)자를 했습니다. 반 반(半)자는 좌우(左右)로 꼭 반을 나눈 형상입니다. 반냉면(拌冷面) 반균(拌勻) 반화(拌和) 교반(攪拌) 반불과(拌不過) 반함채(拌咸菜)
더위잡을 반(攀)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울타리 번(樊)자 아래에 손 수(手,扌,才)자를 했습니다. 명반석 반(礬)자도 울타리 번(樊)자가 들어 있어서 ‘반’으로 읽습니다. 울타리 번(樊)자는 나무를 둘러친 울타리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반상(攀上) 반교(攀交) 반친(攀親) 반공(攀供) 반빙(攀冰) 등반(登攀) 반룡(攀龍)
얼룩 반(斑)자는 성부(聲符)로 쌍옥 각(玨,珏)자를 하고 의부(義府)로 무늬 문(文)자를 했습니다. 나눌 반(班)자는 임금 왕(王)자를 좌우(左右)에 하고 가운데에 칼 도(刀),刂)자를 해서 나눈다는 뜻을 분명하게 했습니다. 이 두 글자는 성부(聲符)로 쌍옥 각(玨,珏)자를 좌우(左右)로 벌리고 가운데에 의부(義府)로 글월 문(文)자를 해서 얼룩 반(斑)자를 만들거나, 칼 도(刀,刂)자를 해서 나눌 반(班)자를 만들었습니다. 반입(斑入) 반환(斑丸) 음반(陰斑) 흑반(黑斑) 황반(黃斑) 홍반(紅斑) 반점(斑點)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