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이형성증
질환주요정보
Ⅰ. 개요
섬유이형성증은 뼈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통증, 골절, 골변형, 혹은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내분비질환이 동반되며 성조숙증을 보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제한된 부위의 뼈에 이환되어 증상이 심하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상당한 장애나 뼈의 통증, 골절, 신경학적, 내분비학적 이상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섬유이형성증의 발병률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소규모 연구들에서 대략 3만 명 당 한명 꼴로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은 섬유이형성증의 가장 심한 형태로 다발성 섬유이형성증, 성조숙증, 밀크 커피색 반점을 보입니다.
Ⅱ. 증상
섬유이형성증은 대개는 무증상입니다. 따라서 우연히 방사선검사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환자들이 뼈의 통증, 뼈의 변형 (특히 두개골), 혹은 골절로 인해 진단받게 됩니다.
대개 첫 증상은 유아기에 발생하나 뼈의 통증이나 골절은 20-30대에 나타납니다. 환자들의 80%에서 첫 증상이 15세 이전에 나타납니다. 뼈의 통증은 대개는 완전 혹은 불완전 골절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의 강도는 매우 다양하며 촉진에 의해 악화되기도 합니다. 병적 골절은 섬유이형성증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증상으로 골절은 주로 대퇴골이나 경골 등과 같은 장골에서 발생하며 장골의 변형도 나타납니다.
이 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은 두개안면골의 변형입니다. 두개안면골의 비대칭적 변형이나 부종이 나타나며 혹은 두개안면골의 과증식으로 인한 골성사자면증 (안면골의 과도한 증식으로 얼굴의 모양이 커지며 변형되는 것)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신경학적 합병증은 섬유이형성증으로 인한 신경 압박으로 인한 증상입니다. 척추에 섬유이형성증이 이환된 환자들은 척수 압박증상을 호소하며, 두개골을 침범한 섬유이형성증 환자들에서는 청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신경학적 증상은 시신경 압박으로 인한 시력 상실입니다. 따라서 안면두개골이 이환된 환자는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을 통해 시신경의 침범 여부를 확인하고, 시력 및 시야 검사를 자주 시행해야 합니다. 시신경의 침범의 경우 장기적인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여 대부분이 시력을 회복하며 영구적으로 시력이 상실되는 경우는 약 5% 정도입니다.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은 섬유이형성증의 가장 심한 형태로 섬유이형성증 환자의 약 5% 미만에서 관찰되며, 다발성 섬유이형성증, 성조숙증, 밀크 커피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섬유이형성증의 밀크 커피색 반점은 신경섬유종증에서 보이는 반점보다 더 불규칙한 경계를 보이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밀크 커피색 반점은 대개 이환된 뼈와 같은 부위에 위치합니다. 그 외에 갑상선 기능항진증, 말단비대증, 고프로락틴혈증 등의 내분비질환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Ⅲ. 원인
섬유이형성증은 출생 전 태아기에 뼈를 생성하는 세포의 유전적 변이에 의해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는 부모에게서 유전된 것은 아니며, 자녀에게 유전되지도 않습니다.
정상적으로 뼈는 살아있는 조직으로 성장을 멈춘 후에도 지속적으로 재생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골세포는 뼈를 재흡수하고 조골세포는 뼈를 생성하는데, 섬유이형성증은 이러한 과정이 균형을 잃고 뼈의 파괴되는 속도가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속도보다 빨라 비정상적인 섬유성의 뼈로 대체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섬유이형성증은 20번 염색체의 GNAS 복합체 가운데 Gs(stimulatory G protein)의 알파소단위(GSα)의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골세포의 이러한 유전자 변이는 세포내의 아데닐산고리화효소를 활성화 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세포내 사이클릭 AMP를 증가시켜 세포 증식을 유발합니다. 즉, GNAS 변이로 인한 골수의 기질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분화가 섬유이형성증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사이클릭 AMP의 증가는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 환자에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됩니다.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에서는 자극 호르몬의 증가 없이도 성장호르몬이나 성호르몬 등 여러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며 이는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의 전형적인 특징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멜라닌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밀크 커피색 반점 이 관찰됩니다.
Ⅳ. 진단
다발성으로 골조직을 침범한 경우나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의 전형적인 증상이 동반된 경우는 진단이 용이합니다.
섬유이형성증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우연히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상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의 통증이나 골절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우선 이환된 부위의 단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합니다.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는 섬유이형성증에 이환된 부위가 불투명하고 흐릿한 비정상적인 골음영 소견을 나타냅니다. 그 이외 질환의 이환 범위 정도를 알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이나 자기공명영상법(MRI 촬영)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또한 섬유이형성증은 다발성으로 나타날 수 있어 침범된 부위를 찾기 위해 골스캔이 도움이 됩니다.
골조직 검사는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는 아니지만 악성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시행하기도 합니다. 혈액 내의 단핵구 세포나 골세포, 혹은 멜라닌 세포에서 GNAS 유전자의 변이를 관찰하는 것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병의 정도가 심할수록 유전자 검사 이상이 발견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
Ⅴ. 치료
병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며 증상에 따라 치료합니다. 골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통증의 완화를 위해 파라세타몰 계통 혹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은 병의 진행을 막지는 못합니다.
최근에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골흡수억제제를 치료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섬유 조직내에 존재하는 파골세포들의 골흡수를 억제하여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아직 대규모의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나 섬유이형성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에서 방사선 소견, 통증의 감소, 생화학적 검사 의 호전을 보인 결과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또한 섬유이형성증과 같은 골형성 장애를 보이는 질환들은 대개 공통적으로 심각한 무기질환의 장애를 동반합니다. 따라서 칼슘, 비타민 D, 인산 등의 보충이 권장됩니다.
골변형이 심하거나 골소실이 심하여 골절의 위험이 있는 경우나 이미 골절이 일어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경우, 이환된 부위의 골조직은 이미 매우 약한 상태이므로 수술적 치료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Chapurlat RD, Orcel P. Fibrous dysplasia of bone and McCune-Albright syndrome.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8 Mar;22(1):55-69. Imel EA, Econs MJ. Fibrous dysplasia, phosphate wasting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23. Pediatr Endocrinol Rev. 2007 Aug;4 Suppl 4:434-9.Parekh SG, Donthineni-Rao R, Ricchetti E, Lackman RD. Fibrous dysplasia. J Am Acad Orthop Surg. 2004 Sep-Oct;12(5):305-13. Kyriakos M, McDonald DJ, Sundaram M. Fibrous dysplasia with cartilaginous differentiation ("fibrocartilaginous dysplasia"): a review, with an illustrative case followed for 18 years. Skeletal Radiol. 2004 Jan;33(1):51-62. Epub 2003 Nov 29. Mansoori LS, Catel CP, Rothman MS. Bisphosphonate Treatment in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of the Cranium: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Endocr Pract. 2010 Jun 21:1-14.Bisphosphonate therapy for fibrous dysplasia. DiMeglio LA. Pediatr Endocrinol Rev. 2007 Aug;4 Suppl 4:440-5.Hong SL, Kim SW, Won TB, Shim WS, Kim YM, Kim JW, Lee CH, Min YG, Rhee CS. Fibrous Dysplasia Involving Paranasal Sinuse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7 Apr;50(4):300-304. Cho EH. A Case of Fibrous Dysplas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0 May;41(5):1260-1264. Korean. http://www.uptodate.comhttp://www.rarediseases.orghttp://www.emedicine.com/orthoped/TOPIC513.HTMhttp://www.mayoclinic.com/health/fibrous-dyspl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