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방송] 세계 3대 테너 도밍고 & 트바로티 김호중의 레전드 무대✨
https://youtu.be/7k2he_9P1J8
[오늘의 사건]
2001년 2월 27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한
김대중 대통령이 2001년 2월 27일 저녁 방한 중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위해
마련한 환영만찬에서 양국 정상이 건배를 하고 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6일 밤 10시 서울공항을 통해 방한했다.
김대중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27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남북간 화해·협력 및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양국이 공동 노력하는 것을 포함한 7개 항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지난해 남북정상회담이 한반도의 평화정착에 기여했으며,
우리 정부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했다고 의견을 모았다.
김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와 북한의 개혁·개방에 러시아가 적극 기여해 줄 것을 요청했고,
푸틴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대북 화해·협력정책을 지지하며, 이를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1972년 체결된 ‘탄도탄 요격미사일 제한 조약’(ABM조약)이
전략적 안정의 초석이며 핵무기 감축 및 비확산에 대한 국제적 노력의 중요한
기반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해, NMD (국가미사일방어) 체제를 추진하기 위해
ABM조약 개정을 원하는 미국과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두 정상은 또 미사일과 미사일 기술의 확산을 규제하는 양자 및 다자적 차원의 노력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반도 내에서의 미사일 개발·수출·배치에 관한 문제가
관련국간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해, 북한의
미사일 문제 가 북·미간 대화를 통해 해결될 것을 촉구했다.
두 정상은 또 남북관계의 진전을 활용해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연결사업, 이르쿠츠크 가스전 개발사업 등 한·러 양국과 북한 간 3각 경제협력을 적극 모색하고,
사할린 등의 석유·가스개발 사업에 한국 측이 참여하는 문제를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양국은 한·러 극동시베리아 개발위원회를 설치, 나홋카 한국 전용공단을 조속히 조성하고,
동북아지역에서의 물동량 증대에 대비하여 ‘교통협력위원회’를 설치키로 합의했다.
[오늘의 인물]
1873년 2월 27일
이탈리아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 출생
이탈리이 출신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
유명한 이탈리아의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가 1873년 2월 27일
나폴리의 빈민가에서 7남매의 셋째로 태어났다
. 집안이 어려워 이렇다 할 음악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어려서부터 남다른
음악적 재능을 보인 카루소가 그나마 노래를 체계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었던 곳은 나폴리 성당의 소년 성가대였다.
여기서 그의 소질을 발견하고 체계적인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해준 이가 굴리엘모 벼르기 네였다.
그의 도움으로 카루소는 1894년 11월 모렐리의 오페라 ‘라미코 프란체스코’로 데뷔할 수 있었고
1900년 마침내 스칼라 무대를 밟았다. 그는 무대마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고 명성은 유럽전역을 열광시켰다.
결국 카루소 붐은 대서양을 건너 뉴욕 메트로폴리탄으로 전해져 메트는 카루소와 1902년부터
1920년까지 계속해서 계약을 갱신했다.
이 기간 동안 무려 607차례의 공연에 출연함으로써 ‘카루소 신화’를 더욱 공고히 했다.
그가 마지막으로 무대에 선 것은 1920년 12월 24일로
늑막염이 심해 더 이상 노래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었다.
1921년 8월 2일 그의 고향 나폴리에서 48세로 사망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6건
ㆍ2015년 · 경기도 화성 엽총 난사 사건
ㆍ2010년 · 칠레, 8.8 강진 발생
ㆍ2006년 · 제20회 토리노 동계올림픽 폐막식
ㆍ2006년 ·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법안 국회 상임위 전격 통과
ㆍ2006년 · 창원지법, 화이트칼라 처벌기준 첫 공개
ㆍ2001년 ·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한
ㆍ1997년 · 콜롬비아 엘 페스카토르 호텔 폭탄테러
ㆍ1996년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북한 신포지역을 경수로 건설부지로 최종 선정
ㆍ1995년 · 한국-안도라 국교 수립
ㆍ1992년 · 영어학자 새뮤얼 이치예 하야카와 사망
ㆍ1991년 · 서해안고속도로(인천~목포) 기공
ㆍ1991년 · 미국 등 다국적군 쿠웨이트시 탈환
ㆍ1990년 · 소련최고회의, 고르비에 막강권력 부여 미국식 대통령제 승인
ㆍ1990년 · 울진 원전 2호기 준공
ㆍ1989년 · 부시 미국대통령 방한
ㆍ1989년 · 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 로렌츠 사망
ㆍ1982년 · 중국, 헌법개정작업 추진
ㆍ1980년 · 로디지아 총선, 애국전선 압승
ㆍ1980년 · 환율, 유동제로 변동실시
ㆍ1979년 · 남북탁구협회, 평양세계탁구대회 단일팀구성협의차 판문점에서 협의
ㆍ1974년 · 남북조절 위 4차 부위원장회의 개최
ㆍ1973년 · 노벨생리의학상 콘라트 로렌츠 사망
ㆍ1973년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실시
ㆍ1968년 · 한국일보 사옥 전소(7명 소사)
ㆍ1968년 · 브라질 리우축제 개막
ㆍ1964년 · 저우포하이 중국 수상, 미국과 화해용의 표명
ㆍ1963년 · 정치지도자, 각군책임자 2.18 성명 지지 정국수습 공동성명
ㆍ1962년 · 호주 요트 크레텔 첫선
ㆍ1959년 · 대법원 진보당사건 판결, 조봉암, 양명산에 사형 선고
ㆍ1953년 · 정부, 독도영유권 성명
ㆍ1939년 · 레닌의 부인 크룹스카야 사망
ㆍ1936년 · 프랑스의 정치가 클레망소 사망
ㆍ1936년 · 조건반사 개념을 발전시킨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 사망
ㆍ1933년 · 독일 베를린 국회의사당 방화사건 발생
ㆍ1932년 · 미국 영화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 출생
ㆍ1926년 · 조선도량형령 공포(미터법 적용)
ㆍ1913년 · 우리나라 추상화의 선구자 김환기 출생
ㆍ1902년 · 미국 소설가 존 스타인벡 출생
ㆍ1899년 · 여성교육자 김활란 출생
ㆍ1894년 · 한성신문 창간
ㆍ1888년 · 독일 소프라노 가수 레만 출생
ㆍ1884년 · 남아프리카공화국 성립
ㆍ1873년 · 이탈리아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 출생
ㆍ1869년 · 한국 신소설 대표작가 이해조 출생
ㆍ1863년 · 도미니카공화국,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ㆍ1844년 · 미국의 금융업자 니콜라스 비들 사망
[출처 :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