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적인 경제 성장 및 중산층 인구 증가로 시장 성장 전망 -
- 가격을 1순위로 고려, 저가형 모델 판매량 多 -
□ 품목: 자동자 및 자동차 부품 (HS Code: 870899)
□ 자동차 및 부품 시장 동향
ㅇ 2018년 자동차 총 판매량 15% 감소
- 필리핀 자동차생산자 협회(CAMPI, Chamber of Automotive Manufacturers of the Philippines, Inc.)에 따르면, 2018년 총 차량 판매 대수는 2017년 473,943대에 비해 15% 떨어진 401,803대에 머문 것으로 집계됨.
- 2018년 자동차 특별소비세 변화에 대비해 2017년 사전 구매자 증가, 국제 유가 상승, 페소 약세화, 인플레이션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거론됨.
- CAMPI의 회장 Rommel Gutierrez는 2019년 자동차 판매량이 작년에 비해 10% 증가할 것이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함. 인플레이션의 안정화, 바뀐 특별 소비세에 대한 소비자들의 적응, 선거철 증가하는 소비성향 등을 이유로 설명함.
ㅇ 필리핀 내 부품 자체생산을 도모하는 PPMA
- 필리핀 부품 생산자 협회(Philippines Parts Makers Association, PPMA)는 “Gawang Pilipino, Para sa Pilipino(필리핀을 위한 필리핀 자체생산)”를 2년 연속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지난 2018년 8월 9일~10일 Philippine Auto & Parts Expo를 개최함.
- 필리핀은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를 보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동차 부품 엑스포 등을 개최하며 필리핀 내 자체생산을 격려하는 모습을 보임.
-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제조 기반으로 인해 단기간 내에 성장은 힘들 것으로 보이며 향후 몇 년간은 현재와 같이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
필리핀 자동차 시장 판매규모 변화 추이
(단위: 대,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판매규모 | 288,609 | 359,572 | 473,943 | 401,803 |
증가율 | 22.78 | 24.59 | 31.81 | -15.22 |
자료원: 필리핀 자동차생산자 협회, CAMPI
□ 수입 동향
ㅇ 필리핀의 자동차 부품 수입 규모
- 2018년의 수입금액은 2017년 대비 1억 4564만 달러 증가한 5억 6865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2017년에 비해 34.43% 증가
- 수입 상위 10위 국가 모두 수입금액이 증가하였으며 태국, 중국, 한국 등이 50%를 넘는 증가율을 보이며 크게 성장함. 한국은 2017년 7위에서 2018년 6위로 한 단계 상승함.
필리핀 자동차 부품 (HS Code 8708)수입규모
순위 | 국가 | 수입금액 (천 달러) | 비중(%) | 변화율 18/17(%)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전 세계 | 474,927 | 423,003 | 568,650 | 100.00 | 100.00 | 100.00 | 34.43 |
1 | 일본 | 189,397 | 167,089 | 193,020 | 39.88 | 39.50 | 33.94 | 15.52 |
2 | 태국 | 99,990 | 103,665 | 172,851 | 21.05 | 24.51 | 30.40 | 66.74 |
3 | 중국 | 54,582 | 31,843 | 53,664 | 11.49 | 7.53 | 9.44 | 68.53 |
4 | 인도네시아 | 32,883 | 41,376 | 51,057 | 6.92 | 9.78 | 8.98 | 23.40 |
5 | 미국 | 18,648 | 16,338 | 17,980 | 3.93 | 3.86 | 3.16 | 10.05 |
6 | 한국 | 16,414 | 10,192 | 15,617 | 3.46 | 2.41 | 2.75 | 53.23 |
7 | 싱가포르 | 17,429 | 10,886 | 13,354 | 3.67 | 2.57 | 2.35 | 22.68 |
8 | 말레이시아 | 12,547 | 8,650 | 11,215 | 2.64 | 2.04 | 1.97 | 29.65 |
9 | 대만 | 7,746 | 4,966 | 7,056 | 1.63 | 1.17 | 1.24 | 42.09 |
10 | 인도 | 2,600 | 5,983 | 6,347 | 0.55 | 1.41 | 1.12 | 6.09 |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 수입규모 동향
- 2018년 기준 필리핀의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수입규모는 1억 5617만 달러로 2017년에 비해 52.23% 성장
- HS Code 8708.99(기타 부품)의 판매량 및 성장률이 가장 높은 모습을 보였으며 제동장치 부품이 2018년 처음으로 수입되었는데 수입규모에서 2위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보임.
- 이는 필리핀 내 한국 자동차의 수입규모가 늘어나면서 동시에 부품의 수입 수요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임.
필리핀의 자동차 부품 수입규모
(단위: 달러)
품목명(HS Code) | 2016 | 2017 | 2018 | 증감률 18/17 (%) | |
|
8708(부분품과 부속품) | 16,414,036 | 10,192,112 | 15,617,199 | 53.23 | |
870899(기타 부품) | 10,694,276 | 3,257,273 | 6,199,665 | 90.33 | |
870830(제동장치와 그 부분품) | 0 | 0 | 3,007,343 | - | |
870840(기어박스와 그 부분품) | 333,644 | 393,540 | 2,454,350 | 523.66 | |
870829(기타 부품) | 520,082 | 1,350,431 | 1,112,853 | -17.59 | |
870810(완충기와 그 부분품) | 552,387 | 828,299 | 752,684 | -9.13 | |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 주요 경쟁기업 및 유통구조
ㅇ 주요 기업
순위 | 기업 | 판매량 | 점유율 | 특징 |
1 | 토요타 
| 152.389 | 37.93% | - 홈페이지: http://toyota.com.ph/ - 가격이 저렴한 모델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모델로는 비오스, 위고, 이노바, 포츄너 등이 있음. |
2 | 미쓰비시 
| 66,081 | 16.45% | - 홈페이지: https://mmpc.ph/ - 토요타와 비슷한 전략으로 저가 모델을 위주로 구성함. 주요 모델로는 미라지, 파제로, 몬테로 스포츠 등이 있음. |
3 | 현대 
| 35,401 | 8.81% | - 홈페이지: https://www.hyundai.ph/ - 상위 5개사 중 유일한 한국기업임. 주요 모델로는 악센트, 이온, 코냐, 스타렉스 등이 있음. |
4 | 닛산 
| 34,952 | 8.70% | - 홈페이지: https://www.nissan.ph/ - 중저가형 승용차 및 SUV를 메인 모델로 구성함. 주요 모델로는 알메라, 주크, 테라 등이 있음. |
5 | 포드 
| 23,571 | 5.87% | - 홈페이지: https://www.ford.com.ph/ - 위 4개사와는 다르게 중고가 SUV 모델을 메인으로 내세우며, 주요 모델로는 에베레스트, 익스플로러, 익스페디션 등이 있음. |
자료원: AUTOINDUSTRIYA
ㅇ 필리핀의 자동차 구매
- 현지 소득수준과 성향 덕분에 저가형 모델이 주로 잘 팔리는 모습을 보이며 이에 따라 저가형 모델의 판매량이 높은 토요타 및 미쓰비시 등이 업게 1,2위를 차지함. 현대도 이에 맞게 한국에서는 판매하지 않는 초저가 소형차 모델인 이온(EON)등을 판매하며 현지 시장공략 중임.
- 필리핀은 자동차 구매 시, 주로 브로커나 매장을 직접 찾아가서 선납금(Down Payment)를 일정부분 납부하고 잔금은 할부로 몇 년간 납부하는 형태가 주로 이뤄짐.
ㅇ 필리핀 자동차 부품 유통
- 필리핀은 한국과는 달리 카센터 프랜차이즈 등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며 주로 로컬 소규모 카센터나 토요타, 미쓰비시, 현대 등 제조사의 직영 수리점을 통해 수리가 이루어짐.
- 부품 유통 시장의 자세한 조사는 통계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으나 차량 판매율은 곧 해당 차량 부품의 수요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유추가 가능함.
- 현지 기후, 환경, 도로 상태 등을 고려 시, 강한 햇빛과 잦은 침수, 열악한 도로 환경 및 에어컨 사용량 등의 특징이 있으므로 해당 조건에 영향을 받는 제품의 수요가 항상 높음.
□ 관련 규제 및 세금
ㅇ 품목별로 적용되는 관세의 종류
- 자동차 특성상 부품이 다양하게 있기 때문에 품목별로 적용되는 관세가 다양함. 일례로 수출품목 2위인 HS Code 870830(제동장치와 그 부분품) 조회 시, 품목의 디테일에 따라 분류가 달라져 관세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수출 전 정확한 품목 분류 및 관세 파악이 중요
- 필리핀 관세위원회에서 HS Code별 관세 조회가 가능함. (홈페이지: http://finder.tariffcommission.gov.ph/)
HS Code 870830(제동장치와 그 부분품) 관세 조회 결과

자료원: 필리핀 관세위원회(Philippines Tariff Commission)
ㅇ 자동차 수입관련 규제 및 담당부서
- 1995년 필리핀 중앙은행(Banko Sentral ng Pilipinas, BSP) 지정법령 Circular 92에 의거 새 자동차의 수입이 전면 허용되었으나, 중고차의 경우 외국인의 수입은 금지품목에 해당됨.
- 필리핀 내 차량 수입 관련 부서: 필리핀 통상산업부(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DTI) 산하 수입서비스 부서(Bureau of Import Services, BIS)에서 차량 및 부품 수입을 담당하고 있으며 연락처는 다음과 같음.(주소: Tara Building, 3F, 389 Sen. Gil J. Puyat Ave, Makati, 1200 / 전화번호: (02) 896 4431 / 이메일: LuisCatibayan@dti.gov.ph)
ㅇ 필리핀 자동차 특별 소비세
- The Tax Reform for Acceleration and Inclusion Law 이하 TRAIN 법은 2018년 1월 1일 이후로 전면 시행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세금개혁이 이루어짐.
- 기존 법과 비교 시, 약 170만페소를 기준으로 이하 금액에서는 기존 법이 세율이 더 낮으며 170만페소를 초과시 개정된 세율이 더 낮은 금액을 납부할 수 있게 됨.
- 필리핀 현지인들의 소득 수준을 감안 저가형 모델의 차량이 가장 많이 팔리는 것을 고려 시, 필리핀인들이 체감하기에는 특별소비세가 올라간 것으로 느낄 수 있음.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와 기름을 둘 다 연료로 쓰는 차량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세금 부과 비율의 50%를 감면하며, 전기차는 자동차 특별소비세 감면 대상임.
개정된 자동차 특별소비세(Excise Tax)
가격 (단위: 페소) | 세금부과비율(%) |
600,000 미만 | 4% |
600,000 이상 to 1,000,000 미만 | 10% |
1,000,000 이상 to 4,000,000 미만 | 20% |
4,000,000 초과 | 50% |
자료원: Department of Finance
□ 전망 및 시사점
ㅇ 저가형 모델의 강세
- T사 관계자 A씨와 인터뷰에 따르면, 필리핀 사람들이 자동차를 구매할 때 가장 고려하는 점은 가격이라고 답변함. 주로 저렴한 모델위주로 팔리며 가격에 신경을 많이 쓰는 만큼 자동변속기어가 아닌 수동기어 상태로 구매를 하거나 옵션을 아예 선택하지 않고 구매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언급
- 필리핀인들의 소득 수준 고려 시, 자동차는 상당히 고가의 품목으로 저가형 모델의 구매가 주로 이뤄지며 이에 따라 해당 모델들의 부품 수요도 자연히 증가함.
- 필리핀 구매자들의 수요에 맞게 저가형 모델로 공략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벤트, 프로모, 할부 정책(Down Payment)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일시적으로 내는 금액을 줄여주는 것이 판매 촉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임. 또한 향후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중산층 인구의 증가로 중고가 모델의 수요도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
ㅇ 수입에 의존하는 시장구조
- 필리핀 자체 제조 기반이 열악해서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형태의 산업 구조로 수입 변화 추이 분석 시, 작년에 비해 총 판매 대수는 감소했으나 부품의 수입은 오히려 증가함.
- 수동 기어 차량의 보급률과 필리핀 도심내의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한 빈번한 브레이크 사용, 열대 기후로 인한 에어컨 사용량 등으로 인해 관련 제품의 수요는 항상 높을 것으로 전망
자료원: 필리핀 자동차생산자 협회 CAMPI, GTA(Global Trade Atlas), AUTOINDUSTRIYA, Department of Finance, 필리핀 관세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