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秦兩漢 -> 法家 -> 韓非子 -> 五蠹
선진양한 법가 한비자 오두
五蠹 : 다섯가지 좀벌래
是故亂國之俗,
어지러운 나라의 풍속은 이와 같다.
其學者則稱先王之道,以籍仁義,盛容服而飾辯說,
以疑當世之法而貳人主之心。
학자들은
선왕의 도를 칭송하고
인의를 내세우면서
용모를 성대히 치장하고 유세를 달변으로 꾸미어
현시대의 법을 의심 나게 함으로써,
군주의 마음을 어지럽게 한다.
貳 : 군주의 마음이 두 가지로 이럴가 저럴가 갈팡질팡
하게 한다
辯說은 遊說(유세)와 같은 의미.
其言古者,為設詐稱,借於外力,以成其私而遺社稷之利。
옛것을 말하는 자들은
거짓말을 늘어놓아 칭송하며
외세의 힘을 빌어
그의 사리사욕은 챙기고
사직의 이익은 가로챈다.
其帶劍者,聚徒屬,立節操,以顯其名 而犯五官之禁。
칼을 차고 다니는 자들은
무리를 모아
절개와 지조를 내세우면서
그의 이름을 드러내고
나라에서 금하는 오관의 법령을 범한다.
其患御者,積於私門,盡貨賂 而用重人之謁,退汗馬之勞。
군주의 측근에 있는 자들은
자신의 집에 재물을 쌓아 가며
뇌물로 재화를 소진한다.
중요 인사들을 알현함으로써 (권력을)이용하여
한마지로의 공을 물리친다.
(전쟁터에서 말이 땀을 흘리도록 고생한 사람들을
물리친다. - 退汗馬之勞-)
患御者 : 암금의 근심까지 알고 있는 자.
곧 가까이서 임금을 모시는 자.
其商工之民,修治苦窳之器,聚弗靡之財,
蓄積待時 而侔農夫之利。
상공(商工)인들은
조악한 기물을 세상에 유통시키어
하차잖은 재기(財器)를 모우고
때를 기다리며서 재물을 축적하여
농부들의 이익을 가로챈다.
窳(열) : 조악(粗惡)하다
苦窳(고열) :조악(粗惡)한 도자기, 거칠고 나쁜 것.
靡(미) ; 쓰러지다. 사치하다. 낭비(浪費)함
공인이 조악한 물건을 만들고
상인은 그것을 사두다가 값이 오르게 되면
그 때 가서 농부에게 비싼 값으로 팔아
(농부의)이익을 착취한다.
此五者,邦之蠹也。
이 다섯가지가
나라의 좀벌레이다.
人主不除此五蠹之民,不養耿介之士,
則海內雖有破亡之國,削滅之朝,亦勿怪矣。
군주가
이 다섯 좀벌레들을 제거하지 않고
정직한 이들을 길러내지 못한다면,
耿介(경개) : 강직하다. 정직하다. 바를고 곧다
천하(海內)가
비록 파산되고 멸망하는 나라가
깎이고 소멸하는 조정이라 하더라도,
削滅(삭멸) : 달아 없어지다. 깍이어 소멸하다.
또한
괴이한 것이 아니다. (당연한 일이다)
국가를 좀먹는 5가지 군상들
첫쨰 : 학자나부랭이 둘째 : 遊說客(유세객) 변설자(달변자) 세째 : 검객들 네째 : 임금 측근들 다섯째 : 상공인들(당시는 1차산업국이었기 때문에 상공인을 죄악시한 것 같음)
오늘날은 이런 군상(群像)들이 없을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