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연석회의' 제안 선 긋는 친명계 "尹대통령에 직접 4자회담 요청하시라"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조 대표는 지난 22일 '전북총선승리보고대회'에서
"이 자리를 빌어 이 대표께
정중히 그리고 공개적으로 제안한다.
범야권 대표 연석회의를 만들어 주도해달라"며
"이 대표가 윤 대통령을 만나기 전에
야권 대표들을 만나 총의를 모은다면
더 큰 힘이 실릴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이와 관련 친명계 좌장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지난 23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국회 운영의 1차적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며
"지금 단계에서 조국혁신당과 사전에
의논할 단계는 아니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에 조 대표는 '범야권 맏형론'을 꺼내 들었는데요.
조 대표는 지난 23일 광주시의회 기자회견에서
"이 대표와 민주당의 발목을 잡겠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바를 전달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이 조국혁신당뿐 아니라
여러 야권의 의견을 수렴하는
'맏형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답니다.
그 뒤 박성준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담은 (대통령과)
민주당과의 회담"이라며
"대통령이 야당 목소리를 듣고자 하면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기본소득당 등
야당 대표와 만나는 시간을
가지면 되지 않나"고 말했답니다.
사실상 조 대표의 연석회의 제안을 거절한 것.
그러자 김보협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지난 2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
공식 거부한 것으로 봐야 할 지 모르겠지만
몇몇 (민주당) 의원과 대변인께서
부정적으로 말씀 주셔서 안타깝고 섭섭하다"며
"조 대표의 진지한 제안을 깊이 고민해 주고
이 대표께서 어떠한 답을 주시면 고맙겠다"고
전했답니다.
정치권에서는 친명계가 잠재적 대권주자인
조 대표를 향한 본격적인 견제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영수회담의 의제를 선정하는 자리인
연석회의 제안을 수용했다가
자칫 조 대표의 체급을 키워주는
모양새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조 대표의 연석회의 제안은
실질적인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지난 24일
"저는 언론인들과 대화를 통해
이 대표에게 적극적으로 제안 사항을 전달하고 있고,
이 대표와 전화하려면 못할 게 뭐 있겠나"라며
"전달할 경로가 있는 상황 속에서
너무 (영수회담) 앞에 여러 이벤트를 달리게 되면
실제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대통령의 교섭단체 대표와의 만남이나
의미 자체가 조금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정 의원도 25일 거듭 연석회의에 대한
절차적 문제를 지적했는데요.
정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연석회의를 한다면 의제가 있어야 하지 않나.
저는 (연석회의에서) 단일한 의제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만약 연석회의에서 영수회담에
필요한 의제들을 논의한다면
이 과정에서 또 파열음이 나지 않겠나"라고
우려를 표했답니다.
친명계 장경태 민주당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조국혁신당이나 개혁신당이
정공법을 썼으면 좋겠다"고 지적하면서면서
"지금 가장 큰 문제는 대통령의 불통"이라며
"그러면 예전 여·야 5자회담,
4자회담처럼 대통령에게
직접 소통하자고 주장하셔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장 의원은 "민주당한테 와서
야당 연석회의하자 (주장하면)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부르고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도 부르고 해야 하나"라며
"형식과 절차가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회의를 별도로 열지 말고
대통령에게 직접 요구하라"고 설명했답니다.
이와 관련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표면적인 명분만 보면 조 대표가 주장하는
연석회의는 필요해 보인다"면서도
"(조 대표가) 선명성 경쟁을 통해
차별화를 시도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연석회의에서 야당 간의 불협화음이라도 난다면
범야권에 192석을 몰아 준 국민들이
기대하지 않은 모습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