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길한 징조가 아닌가 해서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지만
그건 아니다
지난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간 담양군 기온이 영하 19도까지 뚝 떨어졌는데, 그때 푸조나무 새싹 가지가 70% 넘게 동해(凍害)를 입은 것이다.
푸조나무는 난대(暖帶) 수종이라서 기온이 영하 15도 아래로 내려가면 새 잎이 돋아나는 새싹 가지가 얼어붙을 수 있으며 물론 나무 전체가 고사(枯死)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현재 이 나무들은 담양군과 문화재청의 긴급돌봄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4.
맥도날드가 한글을?
전 세계 맥도널드 매장 직원들이 한글이 새겨진 유니폼을 입는다.
오는 26일 미국·캐나다·브라질을 시작으로 6대륙의 49국에서 방탄소년단과 협업한 ‘BTS 세트'를 내놓으면서 한글 마케팅을 진행한다.
티셔츠 왼쪽 상단엔
방탄소년단과 맥도널드의 로고와 한글 자음 ‘ㅂㅌㅅㄴㄷ’ ‘ㅁㄷㄴㄷ’가 새겨져 있다.
방탄소년단과 맥도널드란 뜻이다.
맥도널드가 대중 스타와
협업 메뉴를 여러 나라에서
선보이는 건 처음이다.
역시 수출만이 살길이다
5.
우리나라 기업에서 개발한
샴푸처럼 감으면 염색이 되는 컬러샴푸 ‘글라디올(GLADIOR)’이 출시됐다.
기존에 염색과 샴푸는
서로 상충되는 원리를 갖고 있다. 샴푸는 두피나 모발을 세척하는 기능을 하고 염색은 반대로 모발에 색을 입히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양쪽 기능이 동시에 반응하는 것이 어렵다.
이 제품은 샴푸와 염색을 하는
1제와 2제로 나눠져 있고
1제와 2제를 섞어서 머리에 골고루 발라주고 약 5분 후 샴푸처럼 헹구면 흰머리가 자연스러운 염색이 된다. 한번 사용해도 즉각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사용하면 흰머리나 새치 고민을 해소할 수 있다.
국내 식약처와 미국 FDA의
동시 승인을 마친 이 제품은
다크, 다크브라운, 블랙 세가지 컬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매는 공식판매처 네이버 쇼핑플랫폼 스마트스토어에서 가능하다.
이제 검은머리가
파뿌리 되는건 없는겨?
6.
'도멘 조르주 루미에르 샹볼 뮈지니 프리미에 크뤼 레 자무뢰즈 2001'
(Domaine G.
Roumier Chambolle Musigny
1er Cru Les Amoureuses 2001)
일본 만화 ‘신의 물방울’에
나오는 와인중 하나다.
이름이 길고 거창하다.
풀이해보자면
‘도멘 조르주 루미에르’는
조르주 루미에르 와이너리라는 제조사이며,
여기에 ‘샹볼 뮈지니’는 마을의 이름, ‘프리미에 크뤼’는 1등급 밭,
‘레 자무뢰즈’는 이 1등급 밭 중에서 높은 퀄리티로 특급 밭에 필적하는 밭, 그리고 ‘2001’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든 와인이라는 의미다.
비유하자면 ‘제주도 고씨 할머니가 최고 밭에서 재배한 좁쌀로 빚은 2000년도 산 오메기술’쯤 된다.
프랑스 와인은 지역마다
와인 관련 용어가 조금씩 다르다.
예시로 부르고뉴의 와이너리는 ‘도멘’으로 불리지만, 보르도 지역은 성이란 의미의 ‘샤토’란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여기에 더 심한 것은 지역 및 마을마다 다른 등급체계다.
보르도 지방의 와인 등급은 와이너리에 붙지만, 부르고뉴는 포도밭에 주로 붙는다.
론 지방은 마을에 붙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같은 보르도라고 하더라도 그 안의 메도크, 그라브, 생테밀리옹 등 또 다른 체계의 등급 기준을 갖는다.
이렇게 된 이유는 프랑스 등이 백년전쟁 직후까지도 완벽한 중앙집권 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와인 산지 부르고뉴를 지배한 부르고뉴 공국도 1790년도까지 명맥을 유지했었다. 그렇다 보니 오래된 전통을 가진 지역이면 지역일수록 그 동네의 이름을 끝까지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 와인용 포도 품종까지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더불어 프랑스 전통 와인은 포도 품종 기재를 잘 하지 않는다. 동네 이름만 언급해도
“아 그 동네 와인”이라며 이미 느낌이 온다는 것이다. 마치 포천 막걸리 하면 “아~포천” 하는 느낌과 비슷할 수 있다.
미국, 칠레 등 신대륙 와인은 이러한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 프랑스나 이탈리아와 같이 동네 이름만 대면 아는 이름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1970년대 이후 포도 품종을 적극적으로 기재한다. 품종만 보더라도 어떤 맛인지 가늠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와인!
어렵긴 한데 맛있다....
진정한 사랑은 대상을 가리지 않는다.
7.
[그림이 있는 아침]
프라고나르
(Jean-Honoré Fragonard)
'그네' 1767년作
캔버스에 유채·81×64cm
런던 월리스컬렉션
이몽룡과 성춘향의 서양버전?
8.
[이 아침의 詩]
혼자 웃다 (獨笑)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양식이 있으면 먹어줄 자식 없고
아들이 많으면 주릴까 근심하네
높은 벼슬 한 사람 어리석기 마련이고
재주 있는 사람은 그 재주 펼 데 없네
한 집안엔 완전한 복 드문 법이고
지극한 도(道) 언제나 무너져 버리네
애비가 검소하면 자식이 방탕하고
아내가 영리하면 남편이 어리석네
달이 차면 구름을 자주 만나고
꽃이 피면 바람이 불어 날리네
모든 사물 이치가 이와 같은데
아는 사람 없음을 홀로 웃노라
有粟無人食
多男必患飢
達官必憃愚
才者無所施
家室少完福
至道常陵遲
翁嗇子每蕩
婦慧郞必癡
月滿頻値雲
花開風誤之
物物盡如此
獨笑無人知
9.
오늘의 날씨입니다
10.
재미로 보는 오늘의 운세입니다
정약용 선생의 詩를 보며
김혜자 주연의 드라마
"눈이 부시게"가 떠올랐다
이 세상은 등가교환의 법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슴 먹먹한 대사가 문득 생각났다.
"우리가 뭔가를 갖고싶으면
그 가치만큼의 뭔가를
희생해야 한다 이거야"
김혜자 배우의 대사중에서
공짜가 절대 없는 세상임을
다시 한번 느낄수 있는
오늘 되십시오
오늘 신문은 여기까지 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