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에 맞는 건강진단 프로그램 선택하세요~
실속 있게 건강관리 시작하는 방법
새해가 되면 건강관리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우게 되면서 현재의 건강상태를 확인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집니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지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기 십상입니다. 본인뿐만 아니라 성장기 자녀들과 부모님의 건강도 염려가 된다면, 해당 연령대에서 필요한 검사가 이상적으로 구성된 <연령대별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성빈센트병원의 연령대별 건강검진 프로그램 특징을 소개합니다. 건강관리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청소년 검진(13~18세)
‘청소년기에도 검진이 필요할까?’ 기력이 왕성한 나이이니 건강은 알아서 지켜질 것이라고 여기는 부모님들이 계십니다. 그러나 겉보기로는 잘 판단할 수 없으나, 식이영양평가를 통해 영양섭취 불균형을 발견한다든지 척추 X-선 촬영을 통해 척추측만증이 생겼음을 알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청소년기 잘못된 습관이 평생 건강을 망칠 수도 있으므로 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건강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예비부부 검진
요즘은 예비부부들이 결혼 전 함께 건강검진을 받는 경향이 많습니다. 예비부부 검진은 건강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갑상선초음파 검사는 공통으로 진행되고, 건강한 2세를 위한 검사로 예비신랑은 남성호르몬, 예비신부는 골반초음파와 풍진항체, 엽산수치 등의 검사를 받게 됩니다.
▶ 청장년(20~34세)
청년기와 장년기 초기 연령에서 성인병 예방과 질병의 조기 발견을 위해 준비된 필수 검진 프로그램입니다. 기본종합검진 항목 가운데 위내시경, 복부초음파, 종양표식자 검사, A형 간염 등 20~30대에게 꼭 필요한 핵심적인 항목들만 골라 검진을 받게 됩니다.
▶ 로즈 검진(45~54세)
갱년기라고 말할 수 있는 ‘인생의 전환기’에 계신 분들을 위한 로즈검진은 기본종합검진 항목에 골밀도 및 골대사표지자 검사, 동맥경화도 검사, 마이크로 알부민 검사가 추가되어 진행됩니다. 필요하다면 이 프로그램에 호르몬 변화에 따른 남성호르몬·여성호르몬검사와 소화기 정밀 검진을 추가하여 받아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 골드 검진(55세 이상)
노년기를 앞둔 분들을 위한 골드검진은 기본종합검진에 골밀도 및 골대사표지자 검사, 동맥경화도 검사, 마이크로 알부민 검사, 척추X-선, 활성산소검사 및 남성의 경우 남성호르몬 검사가 추가된 프로그램입니다. 이때는 뇌혈관이나 심장혈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연령대이기 때문에 자신의 위험요인에 따라 심혈관이나 뇌 정밀검진을 함께 받아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효(孝) 검진
부모님이 건강하시길 바라는 자녀들의 사랑이 담긴 효(孝) 검진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특별히 한두 군데가 아픈 것이 아니라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불편감을 스크린해보기에 가장 효과적인 검진항목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입니다. 복부 초음파를 제외한 기본종합검진에 동맥경화도 및 활성항산화검사, 골밀도 및 골대사표지자, 갑상선초음파, 심혈관 3차원 영상 컴퓨터 촬영(MDCT), 저선량 흉부 컴퓨터 촬영(LDCT), 뇌혈관 촬영(MRA), 칼슘스코어링, 복부 및 골반CT가 추가됐습니다. 이외에도 부모님 연령대(60세 이상)에 가장 취약한 부분인 전립선(남)과 유방(여)의 초음파 검사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 기본종합검진이란?
위내시경, 복부초음파, 종양표식자 검사, A형 간염, 당뇨정밀 등 90여 가지 검사를 통해 질병 예방 및 조기진단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기본적인 종합 건장검진 프로그램입니다.

글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 강성구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