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님의 위(位)를 계승(繼承) 받는 진인(眞人)
黃汝一 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 미륵불=明=정도령=구세주=하나님의 아들=진인=春=태을
http://cafe.daum.net/dos1130 黃汝一 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 정도령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s://blog.daum.net/e-one8899 해월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s://cafe.naver.com/pinkpknbt黃汝一 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 정도령
내용을 더 알고 싶으시면 연락주세요.
해월유록 구매 : 010-6275-1750
카페지기에게 문자 : 010-8487-1869
아독적랑(我獨籍浪)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 수 없을까요?”
라고 질문하자.
명산 선생님께서 다시 말씀을 잇기 시작하셨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나온 말인데
제20장 이속장(異俗章)을 보면,
『絶學(절학) 無憂(무우)
학문을 끊으니 근심이 없어지는구나.
唯之與阿相去幾何(유지여아상거기하)
정중하게 예하면 어떻고 조심성이 없어 응하면 어떻단 말인가?
善之與惡相去何若(선지여악상거하약)
선(善)과 악(惡)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人之所畏不可不畏(인지소외불가불외) 畏 : 두려워할 외
남들이 두려워하는 바를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으니,
荒兮其未央哉(황혜기미앙재)
세인(世人)들 논쟁(論爭)에는 그 끝이 없구나.
衆人凞凞(중인희희) 如亨太?(여형태?)
많은 사람은 모두 희희낙락하며, 부족함이 없이 대접받은 것과 같고,
如春登臺(여춘등대)
봄철에 누대에 오르는 것 같거늘,
我獨恒兮其未兆(아독항혜기미조)
나만 홀로 조용히 마음의 동요가 일 기색마저 없고,
如雙兒之末孩(여쌍아지말해)
어린 아이가 아직 옆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과 같고,
乘乘兮若無所的(승승혜약무소적)
꽉 막히고 멸시(蔑視) 받아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구나.
衆人皆有餘(중인개유여)
많은 사람들은 모두 여유가 있는데,
而我獨若遺(이아독약유)
나만 홀로 버려진 것 같구나.
我愚人之心也哉(아우인지심야재)
나는 정말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인가.
沌沌兮(돈돈혜)
분별(分別)할 수가 없구나.
俗人昭昭(속인소소)
세상 사람들은 모두가 영특(英特)한데,
我獨若昏(아독약혼)
나만 홀로 어둡고 우매(愚昧)한 것 같구나.
俗人察察(속인찰찰)
세상 사람들은 날카롭고 신속(迅速)한데,
我獨悶悶(아독민민)
나만 홀로 어리숙한 것이,
忽兮若海(홀혜약해)
넘실거리는 바닷물과 같고
漂兮若無所止(표혜약무소지)
나만 홀로 물결 위에 떠서 머물 곳이 없는 것 같구나.
衆人皆有以(중인개유이)
많은 사람들은 다 유능(有能)하지만,
而我獨頑(이아독완)
나만 홀로 어리석고 촌스럽구나
似鄙(사비) 我獨異於人(아독이어인)
나는 홀로 다른 사람과는 달리,
而貴食母(이귀식모) 』
나의 어머니(하나님)의 양육(養育)받는 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여기의 이 내용은 말세의 하나님의 아들의 심정과 그의 주변 상황을 밝혀주는 글이다.
여기의 아(我)라는 말은 말 그대로 도(道)의 화신(化身)인 정도령, 즉 하나님의 아들을 말하는 것이다.
주인공으로서 아(我)라고 한 것이니, 자기 스스로의 심정을 토로한 말인 것이다.
우선 남들은 다 부족함이 없이 대접받고 즐거웁게 살지만,
하나님의 아들은 홀로 조용히 있는 것이,
마치 주위 사람들이 보면 꼭 어리석어 마치 바보처럼 보인다고 한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다들 영특한데,
홀로 우유부단하고 나약하여 약삭빠르지도 못하니, 무능(無能)한 사람으로 멸시(蔑視)받고 산다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이 보면
어리숙한 것이 어린아기 같고, 꽉 막힌 사람이라 타협도 하지 못한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세상과 잘 타협하여야 유능한 사람이라고 인정받는 세상인데 그렇게 하질 않으니 말이다.
세상 사람들은 여유가 있지만,
나(하나님의 아들)만 홀로 버려진 것 같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머물 곳도 없고 돌아갈 곳도 없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진짜 하나님의 아들의 모습인 것이다.
그의 이러한 참담한 모습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나만 홀로 어리숙한 모습이 넘실거리는 바닷물 위에 떠서 머무를 곳도 없고,
갈 곳도 없이 물위에 떠서 흔들거리며 떠다니는 부평초(浮萍草)와 같다고나 할까,
배와 같다고나 할까, 이러한 모습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하나님의 아들)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홀로 나의 어머니(하나님이 주신 고통)의 양육을 받는 것을, 소중하게 여긴다고 한 것이다.
하나님은 자신의 진짜 하늘의 아들을, 이와 같이 지독하게 고생(苦生)시키지만,
그게 모두 하나님의 자식 사랑으로, 큰 인물(人物)을 키우기 위한,
즉 큰일을 맡기기 위한 교육방법(敎育方法)이라는 것이다.
그 아들이 나중에는 스스로 그 어머니(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소중히 여기게 된다는 말인 것이다.
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속에 있는 내용을 격암유록에서 인용한 것이 되는 것이다.
아독적랑(我獨籍浪),
즉 나만 홀로 파도치는 물 위에 떠있는 궁을십승(弓乙十勝)이라고 한 것이다.
즉 그가 인생을 추수(秋收)하는 사명을 받은 사람인 것이다.
위의 글 즉
격암유록(格菴遺錄) 새(塞) 41장 Ⓟ46에서,
3.8 이북(以北)에서 나온 성인(聖人)인 하나님께서 천명(天命)을 내리시는데,
그 천명(天命)을 받는 사람이 궁을십승(弓乙十勝)이며,
바로 사람 같아 보이지만 사람이 아닌 감나무이며,
하나님의 위(位)를 계승(繼承) 받는 진인(眞人)이라는 것이다.
그가 하나님의 영광(榮光)을 나타낼 자이며,
해도진인(海島眞人)이며, 진주(眞主)로서,
남쪽으로 옮겨가서 자하선경(紫霞仙境)을 이룰 자라고 한 것이다.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7장 30편에,
요순무유야(堯舜無遺野)
요순(堯舜)은 들에 버려지지 않았으나,
건곤유기허(乾坤有棄墟)
건곤(乾坤: 天地將帥 정도령)은 언덕 위에 버려졌구나.
포문란성화(飽聞蘭性化)
많이 들어온 이야기로 난초의 성질은 교화(敎化)하는데 있지만,
편애죽심허(偏愛竹心虛)
편애(偏愛)하는 대나무 속은 비어 있구나.
물의종우망(物議從愚妄)
세상 사람들의 평론이란 나아가 대체로 망령(妄靈)되고 어리석은데,
거지실졸소(渠知實拙疎)
어찌 알겠는가?
열매(實: 乾坤)가 불우(不遇)한 것을 이겨 뚫어 소통시키는 것을,
시간신상사(試看身上事)
그의 일신상에 관한 일을 지켜본다면,
십재일양거(十載一羊裾)
10년이 지나면 크게 상서(祥瑞)로운 옷을 입게 됨을!
이 시(詩)의 내용을 보면
1. 요순(堯舜) 같은 성인도 그들의 부모가 버리지 않았지만,
2. 인간으로 오신 하나님의 아들인 천지장수(天地將帥)인 건곤(乾坤)은
하나님이 언덕에 버려 두었다는 것이다.
어려움을 견디고 스스로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버려 두었다는 것이다.
3. 그래서 치우치게 편애(偏愛)하는 대나무 속은 비어 있게 됨과
난초의 성질(性質)은 잘 가르쳐 교화(敎化)하는데 있다 한 것이다.
우리는 흔히 사군자(四君子)라 하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이야기 한다.
일반적으로 사군자를 군자의 절개, 여자의 정절, 고난극복 등에 비유하기도 하지만,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에서는 단순히 이러한 것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구분(區分)지어 말한다면,
매화는 하나님 장자(長子)인 큰아들을 이야기하고,
난초는 하나님을 상징하고,
국화는 어머니를 뜻하고,
대나무 아우를 상징하는 말이니,
염두(念頭)에 두면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 이 건곤(乾坤)이 불우(不遇)한 것을 견디어 자기 몸에 일어난 일을 돌이켜보아,
자신의 존재(存在)를 깨닫게 되고,
5. 하나님이 돌아가신 다음 10년 뒤에는 천자(天子)로서 등극하게 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해월유록 P298~303 말씀(中)
海月先生文集(해월선생문집) 卷之五(권지오) 3~4장 2편
天地之帥(천지지수) 吾其性賦(오기성부)
천지(天地) 장수(將帥)가 우리의 성(性)이다.
馮馮無極(빙빙무극) 混混至理(혼혼지리)
형체가 없는 혼돈한 무극(無極), 이 헤아리기 어려운 지극한 리(至理),
大㢤至㢤(대재지재) 其天其地(기천기지) 在彼爲帥(재피위수)
㢤 = 哉 (비롯할 재)
크고 지극하도다. 그 하늘(天)과 그 땅(地)이여! 그(천지)가 장수(帥)가 되고,
於吾賦性(어오부성)
우리(나)에게는 성(性)을 부여한다
萬姓之衷(만성지충) 一天之命(일천지명)
모든 사람들의 마음 속에 하늘의 명(命)이 있다.
厥初孰玄而孰黃(궐초숙현이숙황)
그 태초(初)에 무엇을 검다(玄)하고 무엇을 누르다고(黃) 하는가?
此理無始而無終(차리무시이무종)
이 리(理)는 시작도 없고(無始:무시), 끝도 없는 것이다(無終:무종).
先疑獨而磅礡(선의독이방박)
먼저는 아마도 다만 혼탁하여 가득하게 되고,
首五行而流通(수오행이유통)
비로소(首) 오행(五行)이 유통(流通)되나,
諒玄玄兮莫究(양현현혜막구)
참으로 심오하기에(玄玄:현현) 궁구할 수도 없고,
載蒼蒼兮何聲(재창창혜하성)
가득하여 창창(蒼蒼)한데 어떻게 말할 수도 없고
分淸濁而化機(분청탁이화기)
청탁(淸濁)으로 나뉘어 갈려서 화(化)하여
☞청(淸)한 것은 위로 오르니 하늘이 되고, 탁(濁)한 것은 가라앉으니 땅이 됨,
肇方圓兮隨形(조방원혜수형)
비로소 방원(方圓)으로 나뉘어 드러내니,
☞방원(方圓) : 네모난 것은 땅이요, 둥근 것은 하늘
在上者高也明也(재상자고야명야)
따라서 위에 있는 것은 높고(高) 밝은데(明),
無是則頹然而已(무시즉퇴연이이)
그렇지 않은즉 무너질 뿐이다(頹然:퇴연)
在下者博兮厚兮(재하자박혜후혜)
아래에 있는 것은 넓고 두터운데,
非此則亦一塊耳(비차즉역일괴이)
이렇지 않다면 하나의 덩어리(一塊:일괴)일 뿐이다.
天得天而地得地兮(천득천이지득지혜)
하늘은 하늘이 알고 땅은 땅이 아는 것이다.
何莫非此帥之所爲(하막비차수지소위)
어찌 이 장수(帥)가, 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겠는가?
是以(시이) 志在於天(지재어천)
이런 까닭으로 그가 뜻하는 바(志)는 하늘(天)에 있는데,
固知資始之機(고지자시지기)
반드시 의지처(資)인 근본인, 처음(始)의 조화(機)를 알아야 하며,
理在於地 亦爲資生之德 (리재어지 역위자생지덕 )
리(理)는 땅에 있어서, 또한 만물이 천지기운을 받아 생성하는 덕(資生之德:자생지덕)이 되는 것이다.
天地大乎(천지대호) 一理中之細物(일리중지세물)
천지(天地)는 크다 하나, 하나의 리(一理) 가운데의 작은 물(細物:세물)이며,
至理小乎(지리소호)
지리(至理)로서 소(小: 작다, 아기)가,
지극한 리(至理) 즉 성(性)이 소(小 : 아이)인데
實爲帥於兩間(실위수어양간)
하늘과 땅 사이(兩間:양간)에서 열매가 장수가 되는(實爲帥:실위수) 것이다.
즉
실(實 : 열매)이란,
天地父母(천지부모) 乾坤曰(건곤왈) 惟人兮(유인혜)
유일(惟)한 사람(人)으로
건곤(乾坤)인 천지장수(天地將帥)라 하였다.
한마디로
성(性)인 소(小 : 아이)가 실(實 : 열매)로서
건곤(乾坤)인 천지장수(天地將帥)라는 것이다.
즉
소(小 : 아이)가 실(實 : 열매)인 성(性)으로
도(道)를 완성(成之者)하는 천지장수(天地將帥)란 말이다.
우리는 위의글 감결(甘結)에서 감(甘)이
곧 실(實 : 열매)이고 소(小 : 아이)인 성(性)으로
도(道)를 완성(成之者)하는 천지장수(天地將帥)란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體奚二於萬古(체해이어만고)
체(體)는 어찌해서 만고(萬古)에 둘(天地)이 되며,
用歸一於千般(용귀일어천반)
용(用)은 각양각색(千船)에서 하나로 돌아오는가(歸一)?
天覆地載(천복지재)
하늘은 만물을 덮어싸며, 땅은 받아 기른다(天覆地載:천복지재).
覆載雖隔(복재수격) 乾動坤靜(건동곤정) 動靜殊迹中(동정수적중)
하늘과 땅이 비록 떨어져 있어, 하늘은 움직이고 땅은 가만히 있는 것 같지만,
動靜殊迹中(동정수적중)
동정(動靜)을 달리하여 행위를 달리하는 것이다.
天地父母(천지부모) 乾坤曰(건곤왈) 惟人兮(유인혜)
천지(天地)를 부모(父母)로 한 건곤(乾坤)이 오직 홀로 사람으로(惟人兮:유인혜),
雖混然藐然之蚩蚩(수혼연막연지치치)
비록 뒤섞여(混然:혼연)서, 멀고 아득한 것(藐然:막연)이 어지럽게 얽힌다(蚩蚩) 하더라도,
亦良知良能知稟均(역량지량능지품균)
또한 생각하지 않고도 알고, 배우지 않아도 능히 할 수 있는 것(良知良能:량지량능)이 고르게 주어졌다.
天旣性我(천기성아)
하늘이 이미 우리에게 성(性)을 주었고,
而性之具四德(이성지구사덕) 於本然(어본연)
성(性)은 타고날 때부터(本然:본연) 사덕(四德:사덕)을 갖추고 있으니,
奪天地之所帥(탈천지지소수) 爲自家之一天(위자가지일천)
이른바 천지(天地)의 장수(將帥)를 빼앗아서(奪:빼앗을 탈), 자신의 하나의 하늘(一天)을 이룬다.
天行健兮以之(천행건혜이지) 而自强不息(이자강불식)
천체의 운행은 순조롭게(天行健:천행건), 스스로 노력하여 쉬지 않으며,
坤道靜兮以之(곤도정혜이지) 而敬守勿失(이경수물실)
땅의 도(坤道:곤도)는, 정(靜)함으로 삼가 지켜서(敬守:경수) 잃지 않는 것(勿失:물실)이다.
根虛靈而無內受於穆而罔像(근허령이무내수어목이망상)
근본(根本)적으로 밝은 덕이 영묘해서(虛靈:허령), 마음 속에 온화함이 없다면, 망상(罔像)인 것이다.
莫謂天高(막위천고) 在我性上(재아성상)
하늘이 높다고, 나의 성(我性:아성)이 하늘(上)에 있다고 말하지 말며,
莫謂地厚(막위지후) 在吾一己(재오일기)
땅이 두텁다고 해서, 내 한 몸에 있다고 이르지 말라.
天有此帥必與赤子(천유차수필여적자)
하늘 또한 이 장수(天有此帥:천유차수), 분명히 적자(赤子: 갓난아이)와 같은 하나인 것이다.
民有此性必使存養(민유차성필사존양)
사람에게는 이 성(性)이 있어 필히 본심을 잃지 않고, 타고난 착한 성품을 기르게 해준다(存養:존양).
非上天降才爾殊類(비상천강재이수류)
하늘에서부터 내려온 재(天降才)가 아닌 종류를 달리하는,
麰麥之種長肆(모맥지종장사)
보리(麰麥:모맥)의 종자(種)는 크게 방자한 것(長肆:장사)이다.
君子之率性(군자지솔성) 合天地於腔裏(합천지어강리)
군자(君子)의 타고난 본성(率性)은, 몸속에서(腔裏:강리) 천지와 일치(合天地)하게 되는 것이다.
苟喪性亦喪其帥(구상성역상기수)
진실로(苟:진실로 구) 성을 잃으면(喪性:상성) 또한, 그 장수를 잃는 것(喪其帥:상기수)이다.
天自天兮地自地(천자천혜지자지)
하늘은 스스로 하늘이고 땅은 스스로 땅이다.
宜惺惺而直內(의성성이직내)
마땅히 영리하게 마음속을 바로 잡아야 하고,
恒忞忞而秉彛(항문문이병이)
언제나 마음이 어지럽지만(忞:어지러울 문) 인간의 도리를 떳떳이 굳게 지키는 것이(秉彛:병이),
保一身之乾坤(보일신지건곤)
일신의 건곤(一身之乾坤)을 지키게 하고,
致萬物之未備(치만물지미비)
만물(萬物)의 미비(未備)함을 마침내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仁義弸鬯(인의붕창)
인의(仁義)가 활집 속에 가득차고(弸鬯:붕창) 넘쳐서,
面背睟盎(면배수앙)
앞에서 보면 얼굴에 윤기가 흐르고, 등 뒤에까지 윤기가 가득(睟盎:수앙)한
德兮有隣(덕혜유린)
덕(德)이 있는 사람이 가까이 있는데(德兮有隣:덕혜유린),
道兮日章(도혜일장)
그의 도(道)가 날로 밝아지니(日章:일장),
즉 도덕(道德)인 천지장수의 도가 태양과 같이 밝아지니,
同胞兮萬民(동포혜만민) 門庭兮六合(문정혜육합)
만민(萬民)이 동포(同胞)이며, 천지(六合)가 뜰안(門庭:문정)이 되는 것이다.
吾然後知(오연후지)
나도 그렇게 되는 것을 나중에 알았는데,
天地之所帥兮(천지지소수혜) 與吾人之所(여오인지소) 품리(稟理)
이른바 천지(天地)의 장수(帥)와 우리 인간들의 타고난 성품(稟:품)의 리(理)가
雖異而本一(수이이본일)
비록 다르지만(雖異:수이), 본디 하나인 것을 알았다.
一俯仰於千古(일부앙어천고)
천고(千古)에 하늘을 우러러 보고, 세상을 굽어 보는 것(俯仰:부앙)을 한결같이 하고,
幾存性而明德(기존성이명덕)
본성을 잃지 않고 이를 기르는 것과, 흐리지 않은 밝은 덕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니,
堯舜性兮湯武身(요순성혜탕무신)
요순(堯舜) 임금은 성(性)을 바탕으로 성인(聖人)이 되었고,
탕(湯)왕과 무(武)왕은 몸(身)으로 닦아서 실천한 분이다.
固太上性性(고태상성성)
진실로(固:고) 태상(太上: 최상의 것)의 본질(性)이 성(性)이다.
而次習(이차습) 學不厭兮敎不倦(학불염혜교불권)
다음으로 익혀야 할 것은, 성인의 슬기를 배움에 싫증내지 않고, 가르침에 태만하지 않는 것이니,
聖矣夫子(성의부자)
성스럽다 공자여!
持其志兮養其氣(지기지혜양기기)
그 뜻(志)을 바로 잡고, 그 기(氣)를 길렀으니,
醇乎孟氏(순호맹씨)
순수하도다 맹자여!
五百年而必有(오백년이필유)
오백년(五百年)이 지나서 반드시 성인(聖人)의 태어남이 있으니,
吾於濂洛有取(오어염낙유취)
나(吾)는 염(濂洛)에게서 취한 바가 있다.
※즉
염계(濂溪)는 주렴계(周濂界, 1017~1073, 주돈이)가 있고,
낙양(洛陽)에는 정호(程顥), 정이(程頤) 등이 있음
夫何暴棄之輩甘不仁而不義(부하포기지배감불인이불의)
대저 자포자기(自暴自棄)하는 무리들은(輩:무리 배), 인의(仁義)를 따르지 않는 것을 즐기며,
昧相近而日相遠(매상근이일상원)
어리석은 자(昧:매)를 가까이 하고(相近:상근), 덕 있는 자(日)를 멀리하며(相遠:상원),
紛或混而或惡(분혹혼이혹오)
정신이 흐리멍텅하고(紛:어지러울 분), 혹은 혼탁(混)하며, 미워하는 것(惡)을 좋아하니 어찌하겠는가?
彼聖人與我同類(피성인여아동류)
저 성인(聖人)과 나는 동류(同類)이지만,
矢復初而矹矹(시복초이올올)
화살(矢)이 처음의 본성(初)으로 되돌아가게 하여 우뚝히 세우고(矹矹:올올),
服訂頑之格訓(복정완지격훈)
장횡거(張橫渠) 선생의 서명(西銘: 訂頑(정완)-악함을 바로 잡음)의 격훈(格訓)을 따르고,
原所帥之同得(원소수지동득)
근본 자리(原所:원소)의 장수(帥)를, 손에 넣어 하나가 된다는 것이,
知其性則知其天(지기성즉지기천)
그 성을 안다는 것(知其性:지기성)인 즉 그 하늘(天)을 알고
與天地合其德也(여천지합기덕야)
천지와 더불어 그 덕과 하나가 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