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저는 울산교육연수원에서 교육공무직 인사노무연수 강의를 들은 학생입니다.
교육공무직 인사노무 연수를 듣고 연차수당과 관련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희 학교에 2019년 1월 8일부터 근무한 청소 여사님이 있습니다. 여사님에 대한 연차를 구하다가 어려워서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2019.1.8.~2019.8.31. 5시간 근무
2019.9.1.~2022.5.31. 6시간 근무
2022.6.1.~현재 7시간 근무입니다.
-------------------------------------------------------------------
2019.1.8.~2019.2.28. 근무 (10시간 발생)
- 1개월 개근: 1일(5시간) (2019.1.8.~2019.2.7.)
- 비례일수: 15*(1/12) = 1일(5시간)
2019.3.1.~2020.2.29. 근무 (53시간+82.5시간=135.5시간)
- 1개월 개근: 10일 (5시간*7일)+(6시간*3일) = 53시간
2019.2.8.~2019.3.7. - 5시간(1일)
2019.3.8.~2019.4.7. - 5시간(1일)
2019.4.8.~2019.5.7. - 5시간(1일)
2019.5.8.~2019.6.7. - 5시간(1일)
2019.6.8.~2019.7.7. - 5시간(1일)
2019.7.8.~2019.8.7. - 5시간(1일)
2019.8.8 ~2019.9.7. - (5시간*24/31)+(6시간*7/30)=5시간 [2019.9.1.자로 6시간 근무]
2019.9.8.~2019.10.7. - 6시간(1일)
2019.10.8~2019.11.7 - 6시간(1일)
2019.11.8.~2019.12.7.-6시간(1일)
- 2년차: 82.5시간(2019.3.1.~2019.8.31. 184일 / 2019.9.1.~2020.2.29. 182일) - 2019.9.1.자로 6시간 근무로 되었습니다.
15일*(5시간*184일/366일 + 6시간*182일/366일) = 82.5시간
2020.3.1.~2021.2.28. 근무 15일(90시간)
2021.3.1.~2022.2.28. 근무 16일(96시간)
2022.3.1.~2023.2.28. 근무 (2022.3.1.~2022.5.31. 6시간 근무 / 2022.6.1.~2023.2.28. 7시간 근무)
- 16일*(6시간*92일/365일 + 7시간*273일/365일) = 108시간
2023.3.1.~2024.2.28. 근무 17일(119시간)
이런 식으로 계산하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ㅜㅡ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