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사커 월드
 
 
 
카페 게시글
축구게시판(일반) 그냥 중동이라 유럽파 시즌중인 1월달에 열린게 약간의 문제가 될 뿐입니다.
OnlyForBr 추천 0 조회 1,883 10.12.15 00:54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2.15 01:06

    첫댓글 아시안컵이 권위를 찾기 위해서는 열리는 시기등을 고정할 필요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4년주기로 그 해 6월~7월 사이에 한다 등등... 올림픽을 피하기 위해, 다른 메이저 대륙대회를 피하기 위해 어떤때는 4년주기, 어떤때는 3년주기... 어떤때는 7월, 어떤때는 1월....

  • 작성자 10.12.15 01:34

    엄밀히 말해 6~7월에 열리는 메이저 대회의 경우 4월에 시작해11.12월에 끝나는 k리그및 아시아 리그들은 반대로 희생?되는 경우는 또 있긴 하죠.

    그해년도 월드컵이나 아시안컵이 6~7월에 낀경우엔 집중적으로 군소컵대회 위주로 리그일정짜고 프랑스리그처럼 12월 말~1월중순까지 휴식기간 두는거처럼 잠시 휴지기를 가진다들지 이런 방식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고는 있습니다만.

    어찌됐건 이렇게 유럽리그 시즌중에 열리게 되버려 차출도 오랜기간 하기 힘들고 이렇게되면 컵권위도 떨어지는
    측면도 있을텐데 중동에서 열리는 이상 6월~7월에서 열리는건 불가능하다는게 딜레마이긴 하죠.

  • 작성자 10.12.15 01:15

    회색분자님 지적에 관해선 아시안컵 2007년부터 4년주기로 하기때문에 홀수년에만 열리게 되서 예전처럼
    올림픽과 겹치는 일은 없게 일정 조정되긴 했습니다..

  • 10.12.15 01:18

    중동파 afc의 망시안컵 운영.. 그리고 그걸 견제 못하는 Far East Asia 국가들의 능력부재가 아쉽습니다..

  • 10.12.15 01:23

    이미 원칙이 정해져 있습니다. 중동에서 열릴 경우 1월, 아니면 7월.
    그때그때 바뀌는 게 아닌 이상은 권위에 손상을 준다고 할 순 없을 거라고 봅니다.

  • 10.12.15 01:26

    솔직히 문화적, 인종적, 역사적 동질성 및 연관성 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중동과 그냥 "아시아"라는 이름 만으로 묶여져 있다는게 가끔은 비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작성자 10.12.15 01:28

    사실 1월에 열리는 대회는 유럽파 차출기간의 한정으로 인해 이미 팀조직력 강화엔 한계가 분명히 있고 그럴경우 7월에 열리는 대회에 비해 권위의 손상으로 이어질수도 있다고 봅니다. 나라별로 차출거부하는 선수들도 분명 있을거구요. 한국의 경우 아직 그런일은 없지만 앞으로 1월에 열리는중동에서하는 아시안컵의 경우 차출거부하는 케이스 안나오리라는법은 없죠. 이번에 카타르 2022월드컵때 6~7월에 그냥열고 대신 경기장마다 에어컨시스템비슷한거 엄청나게 가동할거라는식으로 말하기도 했다던데..그복안대로라면 6,7월에도 여는건 가능하다는건지 참나..그런데 그것도 회의적이고 결국 2022 카타르월드컵 더위땜에 1월달에 열거라

  • 작성자 10.12.15 01:30

    는 말들이 더 많긴 하더군요..

  • 10.12.15 02:26

    다른 방향에서의 접근이네요. 글과 댓글들 읽고나니 생각해 볼게 많아졌습니다.

  • 10.12.15 11:00

    글쓰신분의 말씀처럼 최상의 전력을 위한 유럽파 제외라면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선수 개인의 보호차원의 차출반대는... 전 이해할수 없네요. 하지만 유럽파 5명의 선수라면 조금 늦은 합류라도 팀전력에 마이너스보단 프러스 효과가 더 있을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어찌되었든 아시안컵은 최고의 선수 최고의 전력으로 임하길 바랍니다.

  • 10.12.15 15:09

    저도 동감합니다. 최상의 전력을 위한 유럽파라제외라면 찬성이지만. 케이블로 유럽축구만 봐서 그런지 언론들의 설레발때문인지. 꼭 필요없는 경우 차출할때는 몰라도 제 생각으로는 아시안 게임 따위와는 비교할 수 없고 올림픽보다도 더, 월드컵 다음의 축구게임인 아시안컵에 왜이리 차출반대 드립인지 모르겠습니다. 다음이나 네이버의 댓글이 좀 망글이긴 하지만 허접 아시안컵에 왜 차출하느냐 이런 엉뚱한 말이나 해대고 있고.

  • 10.12.15 16:07

    음..아시아권 선수들로만 구성해도 충분히 우승권전력이 나올꺼라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해외파까지 다 소집하고도 우승을 놓친다면 감독자리가 위태로울텐데 어떻게 될지 걱정이 되네요 단기토너먼트에서는 무슨일이 일어날지 모르니까요

  • 10.12.15 18:39

    병역특례에서 포인트제 괜찮은거 같은대요 ...월드컵 아시안컵 컨페드컵 월드컵 아시아예선 올림픽 아시안게임 순서대로 포인트 부여해서 일정점수 넘으면 병역특례해주는거 좋을듯한대요......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은 나이제한도 있고 fifa 주관대회도 아니라 이두대회에서만 병역특례주는것보단 포인트제로하는게 좋을듯싶네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