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몽골어로 번역해서 몽골 교회에 보급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일을 하도록 기도 해 주세요^^
서평
교회가 선교(전도)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도 반응이 예전 같지 않은 시대에, 교회는 어떤 모습으로 선교라는 본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인가? 현대 교회가 기독교의 본질에서 벗어나 정체되고 있다는 교회 안팎의 지적 가운데, 신앙은 있어도 교회는 거부하는 탈교회화, 또는 기독교를 떠나는 탈기독교인이 늘어나는 시대에 교회는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가? 다수가 ‘아드 폰테스’,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정작 교회가 돌아가야 할 본질이 무엇이며 그 길은 어디로 가야 갈 수 있는지 물으면 답을 찾기 어렵다. 이런 마당에, 세계적 선교적 교회 운동가이자 이론가로서 첫손에 꼽는 앨런 허쉬가 이 책 《잊혀진 교회의 길》(원제 : The Forgotten Ways)에서 그 이유를 “교회가 원래 가야 했던 길부터 기억에서 잊어버렸기 때문”이라고 단호하게 밝힌다.
교회는 원래 건물도 조직도 체제도 아니었건만, 역사 속에서 교회가 국가의 공인을 받으면서 기독교 세계(Christendom)로서 세상을 지배한 이래, 본래 특성을 잊어버리고 왜곡되어 현대에 이르렀다고 그는 진단한다. 물론 현재의 기독교가 국가와 동일시되던 자리에서는 오래 전에 내려왔으나, 오히려 세상 문화와 결탁하거나 거꾸로 지배당하기도 하면서 교회 본래의 정체성을 더 잃어버렸고, 이제는 아예 그 태생적 속성마저 잊혀졌다는 지적이다. 그리하여 이 시대엔 “예수는 좋지만 교회는 싫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기독교인이면서 교회는 나가지 않는 ‘가나안 교인’이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교회는 성장을 멈추었을 뿐 아니라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다시 기억해내야 할 ‘그 잊혀진 길’은 무엇일까?” 이것은 이 서평의 첫 문단에서 던진 “교회의 본래 기능인 선교적 특성을 어떻게 회복할까?”와 사실 같은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저자는 ‘사도적 특성’(Apostolic Genius) 즉 ‘세상으로 보냄받은 자’를 뜻하는 사도로서의 특성을 다시 발견하는 것이라고 풀어준다.
이때의 ‘사도적’이란 초대 교회 시절 예수의 직계 제자에 국한되는 호칭으로서의 사도가 아니고, 최근 국제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신사도주의자들의 잘못된 호칭도 아니다. 성경 본래의 ‘사도’(apostle)가 가진 의미 그대로 ‘사도적’(apostolic)인 것을 뜻한다. 사도는 ‘보냄받다, 보냄받은 사람’이는 뜻이다. 선교(mission) 또는 ‘선교적’(missional)과 같은 말이다. ‘apostolic’은 신약성경의 언어인 헬라어이며 ‘missional’은 라틴어에서 유래했을 뿐, 뜻은 같다. 저자는 기독교인에게 누구나 이 선교적 특성이 유전자(DNA), 즉 씨앗처럼 심겨진다고 말한다. 그것이 싹을 틔도록 하면 되는 일이지, 무슨 방법이나 행동지침으로 교회가 선교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사도적 특성의 역사적 근거에 대해 초대 교회의 발흥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로드니 스타크와 달리, 하나님 백성의 태생적 선교 능력과 초대 교회부터 현대 교회의 상황까지 관통하는 통찰과 신학적 언어로 풀어냈다. 아울러, 종교가 전면 금지된 20세기 중국 교회에 오히려 기독교가 부흥한 사례가 초대 교회의 그것과 동일한 점을 밝히면서, 그 이유 역시 중국 교회 안에 스스로 가지고 있는 사도적 특성 때문이라고 증거한다.
그런 다음 저자는 사도적 특성을 여섯 가지 ‘운동 DNA’(mDNA)로 해부하며, 우리에게 잊혀진 그 길의 모양과 위치와 거리를 최신 내비게이션처럼 상세하고 친절하게 안내해준다. 여섯 가지는 ‘예수는 주님이시다’, ‘제자 만들기’, ‘선교적-성육신적 추진력’, ‘경계성과 커뮤니타스’, ‘APEST 문화’, ‘유기적 시스템’ 등이다. 때로는 상세하다 못해 매우 전문적이며, 넘나드는 학문과 근거 자료의 범위는 신학과 교회사에서 일반 인문학과 사회학과 자연과학을 넘어 네트워크공학까지 아우른다. 이미 마이클 프로스트와 공저한 《새로운 교회가 온다》 등에서 이 책에서 정리한 원리를 각론처럼 밝혀온 저자는 이 책에 일찌감치 자신의 경험과 학문의 모든 역량을 모조리 쏟아 부었다. 그를 아는 국내외 학자들은 이 책이 앨런의 역저 중에 역저이며, 선교적 교회 운동을 위한 각종 저서들의 뿌리이며 보급창고나 다름없다고 추천한다. 저자가 이 책(개정판)의 초판을 10년 만에 전면 개정하여 펴내느라 국내에는 다른 저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번역되었지만, 이 책은 선교적 교회론 또는 교회 운동에 관한 한 최고의 도서이며 근본 개념을 설명하는 오리지널 선교적 교회 교과서로 평가받는다. 단순한 교회 관리 지침서나 선교 이론서가 아니라, 한국교회가 기독교의 정체성과 정신에 관해 뿌리째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