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 = Xa*Pa0 용매의 증기압은 용액중 용매의 몰분율에 비례한다
dP = X용질 * P용매 증기압력내림은 용질의 몰분율에 비례한다
아래식은 자이스토리에 나온 식인데요 둘다 같은 뜻입니까?
첫댓글 같은 뜻이에요.단 위에꺼는 용액의 증기압이구요아래꺼는 증기압력내림정도 에요. 변화정도라는거죠. 델타값예를들어 A라는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이 100이라고 할때,용질을 넣으면 증기압내림에 의해 90이 됐다고 칩시다.이때 말씀하신 Pa=90 이고,dP=10이 되겠네요.두식을 더해보면 Pa + dP = Pa0 ( Xa + X용질) 이 되고 Xa + X용질은 1이니까90 + 10 = 100성립하죠.용매의 몰분율 관점으로 볼때,용질의 몰분율 관점으로 볼때 차이겠죠?
첫댓글 같은 뜻이에요.
단 위에꺼는 용액의 증기압이구요
아래꺼는 증기압력내림정도 에요. 변화정도라는거죠. 델타값
예를들어 A라는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이 100이라고 할때,
용질을 넣으면 증기압내림에 의해 90이 됐다고 칩시다.
이때 말씀하신 Pa=90 이고,
dP=10이 되겠네요.
두식을 더해보면
Pa + dP = Pa0 ( Xa + X용질) 이 되고 Xa + X용질은 1이니까
90 + 10 = 100
성립하죠.
용매의 몰분율 관점으로 볼때,
용질의 몰분율 관점으로 볼때 차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