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해송과 함께하는 명리명강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공지사항 일간과 다른 간지와의 음양오행론적인 관계가 육친
知命(김학목) 추천 0 조회 152 10.06.30 19:30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0.19 10:10

    첫댓글 여자는 음양이 다른게 아들이아니예요...상관이 음양이 달라서 아들이고 식신은 음양이 같으니..딸아닌가???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 작성자 10.10.19 12:16

    예 물론 그렇게 생각해도 됩니다. 사실 간명시 식상관으로 아들 딸을 정확히 구분하기도 어려워요. 다만 식신을 아들로 보는 것은 편관을 극해 자신을 안전하게 지켜주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들이 그런 역할을 하잖아요. ^<^ .

  • 11.04.07 20:00

    육친에서 각각의 명칭이 나타날 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예를 들면 정인이 있다면 문서, 부모인데 문서로
    해석을 했을때 부동산을 사는 것이 좋다하셨는데요. 그(정인)에 해당하는 천간으로 대운과 맞추어보는 것이 맞는방법인지요? 또 여자에게 정관이 남편이라 했는데 정관이 있으니 어떠하다는 것인지... 또 정관에 해당하는 천간을 대운에 맞추어보는 것인지요? 정관은 직장 명예인데 남자에게 정관이 들었다하면 그자체로 직장이 훌륭하다는 것인지 정관에 해당하는 천간을 대운에 대입시켜 보는 것인지요? 이러한 생각이 황당한 것인지요?^_^

  • 작성자 11.04.09 00:09

    열심히 공부하신다는 증거로 그런 질문을 하시는 거지요. 일반적으로 인성을 문서 어머니 학문 자격 등으로 해석하는데, 정교한 해석을 위해서는 당사자에게 질문을 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사주 구조에 따른 형태가 나타나는데 아직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의문을 가지면 곧 알게 됩니다. 수업 시간에 문서라도 화려한 공간에 있는 문서 또는 외진 공간에 있는 문서 등으로 제가 구분하는 것을 보셨을 것인데, 아마 기억에 없을 것입니다. 기회가 생기면 말씀드리지요. 힌트를 드린다면 간지의 특징과 사주의 구조를 가지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 작성자 11.04.09 19:54

    아! 맞아요. 지난 주에 사주 설명하면서 일주 을묘를 보면서 설명드렸잖아요. 내가 을인데 묘 건록지에 있으니 내 의지를 바깥 어른께 실현하려고 한다고 하면서 또 자오묘유의 특성상 바깥 어른 성격도 만만치 않다고. 조금씩 기초를 알면 알게 되는 것인데, 그것 없이 설명하려면 방법이 없어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