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 문체의 분류 ---
진주향교 경전성독반 정천석 https://cafe.naver.com/bluewk4i7
촉석시사 矗石詩詞 : 네이버 카페
한문은 우리조상들 께서 수천년 사용하시던 우리글 이다 진주성 과 촉석루 관련 시와 부. 사. 여행
cafe.naver.com
古文眞寶는 고문의 참된 보배라는 뜻이다
고문진보 전집은 시집
오언고풍단편 오언고풍장편 칠언고풍단편 칠언고풍장편
長短句 歌 行 吟 引 曲 四 등 十體의 詩 270수
四 六騈儷體
고문진보 후집은 문집
韻文체 문장에 辭 賦 說 解 序 記 箴 銘 文 頌 傳 碑 辯 表 原 論 書 등의 17체 67편이 실려있다
辭
辭는 문체의 일종 근본 초사의 일체로서 離騷 九章 등의 歌詞를 말한다 이소의 체와 같은 것이 正式의 辭라고 하는것이며 한 대 이후의 辭賦 라고 하는 문체와 같은 것이다 屈平의 漁父辭는 散文的인 變體이며 漢 武帝의 추풍사 도연맹의 귀거래사 도 변측에 속한다 古文矜式에 사부의 문은 婉麗함을 귀히 여긴다 하고 辭는 情을 붙임이 깊고 말은 느리다 라고 하였다 (추풍사 어부사 귀거래사)
賦
한 대이후의 부는 운문의 일체로서 초사에서 근원을 발한 이른ㄴ바 사부라고 일컫는 그것이다 예로는 苟卿의 成相 賦 제편과 굴원 송옥의 초사가 있으며 한초에는 가의 .무제때에는사마상여 동방삭 매승 등이 부를 지었다 전한말에는 양웅이 상여에 견주어지고 후한에서는 반고 장형등의 부가 있다 그후 육조에서도 성히 부가 이루어졌는데 당 송에서는 배율적 산문적 부가
되었고 이루어져다 명청이후에는 거의 짓는이가 없어졌다 부의 특징은 서술적인 것에 부는 포진의 뜻으로 해석되며 있는것이니 사물을 잘 형용하는 것으로 사구는 화려 서경 서사 에 뛰어난 것이 있으며 또는 설화나
신화적 공상을 서술하여 낭만적 서정적 감정이 풍부한 작품이 적지 않다
(추성부 조굴원부 아방궁부 적벽부 후적벽부 증창이부 )
⌕ 설
說은 解요 述이다 義理를 해석 하고 자신의 의견을 述懷 하는 것이니
論과 大異 가 없으나 論議 보다는 약간 옅고 평이 하고 상세하게 設盡
하는 것을 주지로 하는 문체다
역의 설괘에서 비롯한 문체로서 다분히 비유에 의하여 설득하는 방법을 쓰고 있으므로 설화의 흥미를 지닌다 한비자의 ㅣ내외제설이며 설림의 제자들의 소품 이래 당 한유의 사설 잡설 유종원의 포사자설 등이 대표적인 작품으로 보인다
⌕해
文體明辯에 解는 釋이니 사람에게 의문이 있으므로 이를 해석 하는 것이다 라 하였다
漢의 揚雄이 비로소 海嘲를 지어 비로소 문체의 이름이 성립되었다 해조는 양웅이 역경을 본따 太玄經을 草하고 있을 때 어떤사람이 玄은 오히려 白이다 한 것을 嘲笑 하였으므로 그것을 辯解 설명한 글이었다 唐 韓태지의 획인해 와 진학해는 海嘲를 본따 지은 것이다
⌕ 序
서란 사물의 차제를 순서를 세워서 서술 하는글이다 書序 後서 壽서등 시경에 대서 소서 상서에도 서문이 있다(書 集傳序)
후서는 책의 뒤에 送序는 지인과 이별할 때 석별의 뜻을 펴는 것
증서는 당대에 일어난 것으로 자기의 의사를 말해보내는 것 이 이종의 서는 한퇴지가 득의로 하는 또 수서는 사람의 수명을 축하하는 것으로 소이후에 일어난 것이다
등왕각서, 창여문집서, 춘야연 도리원서, 송맹동야서,
송이원귀반곡서, 송설존의 서,
⌕ 記
기는 記事의 문으로 설문에는 記를 疏라 하였다
(트일소 트다 통하다 막힐 疏 서투르다 우활하다 서투르다 늦다)
소는 분별하여 기록 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기류는 일의 유래를 사실대로 기술 한다는 것을 본의로 한다
(난정기, 독락원기, 취옹정기, 서금당기, 희우정기, 악양루 기 엄선생사당기, 황주 죽루기, 대루원기, 간원제명기, 소주주학기, 사정기)
2024.12.18. 촉석시사 정천석 입력
箴
문심조룡의 주에 잠이란 질병을 물리치는 것 침 과 같은 뜻이라 하였고 v 설문에 잠은 침과 동이라 하여 경계 하고 풍자 하는 글 문은 情 理는 壯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고 형식은 사언구 격구운 이 多
(唐 장온고의 대보잠, 宋 桯正叔의 시잠 청잠 언잠 동잠의 四箴이 있다)
銘
金石 器物 등에 새겨서 警戒 반성케 함을 주로하는 글을 명이라 한다 후대에는 사람의 공덕을 기려 후세에 남기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釋銘에 銘은 名也 라 하였고 ⌜력기 공미사가칭명야⌟ 라 하였다 事物原始 에 명 은 志야 라 하였고 記名其功也 라 하였으니 같은 뜻이다 文章辨體에는 銘名也 名器器物以自警也 라 하였으니 경계의 뜻을 주로 한다 경계에도 두종이 있으니 자경과 타경이 있다 대학에 보이는 殷 湯 왕의 盤 銘은 자경에 속하고 이러한 것은 고명이다 송찬의 명은 태산명 드이 있으며 비명 묘명 등 사자를 위한 칭술도 있다 형식은 대개 사언의 격구운이나 오래인 것은 삼언 오실언을 혼용한것도 있다
누실명 극기명 고연명
○ 文
문은 문체중의 일종으로서 그특색은 산문이 있는가 하면 운어가 있고 혹은 초사를 본뜨며 혹은 사육 으로 되기도 하며 혹은 신에 맹세 하는 것 풍유를 주로 하는 것 등 다양성을 가진다 제문 조문 등의 류가 많다
( 북산이문, 조고전장문 )
○ 頌
시의 六義에 頌은 容이라 하고 덕을 칭찬하며 일르 형용해 나타내어 서 그 성공을 고 하는것이라 하였다 시경에 商.周. 魯의 삼송이 있으나
이는 조상을 제사 지내는 노래다 후세에는 산문을 사용하는자도 있으며 운문의 소에 산문의 서가 있는것도 있다
( 대당중흥송 주덕송)
○ 傳
문체의 一種으로 사람의 事迹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시하는 것이다 史記에 列傳이 있는 것을 본떠서 史전 家전 託전 小전 別전 外전 등의종목이생겼다 탁전이란 사람에 게 假託하여 자기의 전을 쓴 것으로 東方朔의 非有先生傳 阮籍의 大人先生전 陶淵明의 五柳先生전 등이 대표적이다
(오류선생전 종수곽타타전)
○ 碑
石文이라 하여 사람의 功德을 讚頌하여 돌에 새기는 글이다 묘소에 세우는 것은 후세의 風이요 옜적에는 살아있는 사람의 德을 頌하는 것이 많았다 또 碑文에는 사자만이 아니고 山川 城地 宮室 橋道 기타 紀念을 위해 세워졌고 비문에는 다분히 銘이 따른다 앞에는 序文이 붙고 그러나 碑文만 인것도 있다 敍事가 주며 議論이 섞인 것은 變則으로 친다
조주한문공묘비 소식 潮州韓文公廟碑 蘇東坡 軾
潮州韓文公廟碑 蘇東坡 軾
필부이위백세사
일언이위천하법
시개 유위 삼천지 지화관성쇄지운
○ 辯類
설문에 辯은 죄인이 서로 訴訟하는 것 이라 하였는데 의론을 가지고 사물을구별하여 명백히 하는 것을 변이라 한다 문체 명변에 변응ㄴ 판별이니 대개 그 언행의 시비 진위를 잡아 대의로서 이를 논단 하는 것이다
桐葉封弟辨 유자후
○ 表
군을 움직임을 아뢰는 표다 문선 이서 ㄴ주에 의하면 표는 명,표일의 순서를 밝혀 주상을 깨우쳐서 충을 다할수 있는 것을 표라고 한다 하.은.주 삼대에는 敷奏부주라 하여 秦 에서는고쳐서 표라고 하였다 上奏의 문은
1은 章이라하여 謝恩의 文이 있고
2는 表라하여 事物을 陳述하는 문이 있고
3은 奏주라 하여 政事를 彈劾탄핵하며 검증하는 문이 있고
4는 소라하여 평론하여 일이 있을경우에 올리는 문이있다
이상4종은 육국진한의 시대에 병칭 하여 상서라고 하고 한위 이후에는 전부 표라 하였다
천자에게 올리는 것을 表 제후에 게 바치는 것을 上疏상소라 하였고 魏
이전에 천자에게 올리는 것을 상소라 하였다
출사표 제갈공명
○ 原類
原은 本이다 事物의 根本을 論하는 文章이란 뜻으로 原이라 이름 붙인 것 인데 이는 한퇴지에서 부터 비롯된 것 이다 퇴지의 原道 原性 原毁 原人 原鬼의 5편이 있다 原 이라고는 하나 形式的인 면에서 특별한 論文 形式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抽象的인 것 의 本原을 推論.究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을 이름하여 原이라 한거같다
○論
. 論은 의론체의 문장이다 여러 가지 思想을 分析하여 그 是非를 가리고 바루며 하나의 道理를 세우는 것이다 荀子의 天論 正論 禮論 樂論 이 있어 論文의 처음이 되고 있다 論은 變.議. 設. 難.解.釋.原 등과 同類이며 별로 形式面에서 다름이 있는 것은 아니다
樂志論 仲長統
○ 書
書는 한다는 뜻이니 그 말을 펴서 에 진술하는 문장이다
등 오늘에 우리가 말하는 곧편지를 말하는 것으로 는 그 모든것의 총칭이다 이래 친지의 사이에 하여 합에 쓰였던것이가 書라는 이름은 尙書에 나타나 있는데 글을 사람에 보내어 書라고 했던 것은 春秋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 한다
(與韓荊州書 答張籍書 李太白 )
2024 12 19 네이버 카페 촉석시사, 청계서원.
NAVER Cafe 촉석시사 청계서원 정천석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