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의례를 꼭 따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자식들끼리 협의하여 형편에 맞게 의례를 만들어 가면 될거라 생각한다.
현비유인 수원백씨복자 49재 탈상제 홀기
※낱말풀이 / 국궁_공수, 배_절, 흥_일어서, 궤_꿇어앉아, 평신_제자리, 홀기_시나리오
※역할분담 / 사전에 조율
집례_( ), 집사_( ), 초헌관_자녀 대표( ), 독축관_( ),
아헌관_며느리대표( ), 종헌관_사위 대표( ), 첨작관_손자녀대표( )
※집례가 집사를 겸할 경우 홀기를 읽지 않고 행동으로 한다. 초헌관이 독축관을 겸할 수 있다.
※홀기를 낭독하기가 어색하면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행한다.
※축문은 대개 정해진 형식에 따르며, '어머님께 드리는 편지'나 '추도사'로 대신할 수 있다.
지금부터 유인수원백씨복자 49재 탈상제를 시작하겠습니다.
●강신_자녀 대표 초헌관이 하늘에 향을 세 번 피워 어머니의 혼을 부르고 땅에 술을 세 번 부어 어머니의 백을 부르겠습니다.
_(끝난후) 국궁-배-흥-배-흥-평신
●참신_참사자 모두 혼령을 맞이하겠습니다.
_참사자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초헌_어머님께 첫잔을 올리겠습니다. 자녀들은 모두 앞으로 나오시오.
_초헌관은 꿇어앉으시오
_집사는 초헌관에게 술을 따르고 초헌관은 술잔을 신위 앞에 놓으시오.
○개반계_집사는 밥뚜껑을 여시오.
○독축_독축관이 축문을 낭독하겠습니다.
_참사자 모두, 묵념.
_독축관은 꿇어 앉아 축문을 낭독하시오. (독축후) 참사자 모두, 평신
_자녀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_집사는 잔을 비우시오.
●아헌_어머님께 둘째잔을 올리겠습니다. 며느리들은 모두 나오시오.
_아헌관은 꿇어앉으시오.
_집사는 아헌관에게 술을 따르고 아헌관은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
_며느리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_집사는 잔을 비우시오
●종헌_어머님께 마지막잔을 올리겠습니다. 사위들은 앞으로 나오시오.
_종헌관은 꿇어앉으시오.
_집사는 종헌관에게 술을 70%쯤 따르고 종헌관은 술잔을 신위 앞에 놓으시오.
_사위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_집사는 잔을 비우시오
●첨작_잔을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손자녀들는 앞으로 나오시오.
_첨작관은 꿇어앉으시오.
_집사는 첨작관에게 술을 30%쯤 따르고, 첨작관은 잔을 채우시오.
_손자녀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유식_어머님 혼백의 식사 시간입니다.
○삽시정저_집사는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고른 후 육적에 올리시오.
_모두 잠시 묵념으로 기다리시오. (잠시후)-평신
○점다_숭늉을 올리겠습니다.
_집사는 물을 올려, 밥을 조금씩 말고, 수저를 걸쳐 놓으시오.
○숙사소경_참사자 모두 잠시 묵념을 올리겠습니다. 묵념-(잠시후)-평신
○철시복반_집사는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닫으시오.
●사신_모두 조상님께 하직 인사를 올리겠습니다. 참사자 모두, 국궁-배-흥-배-흥-평신
●분지위_독축관께서는 축문과 지방을 소지하시오.(불조심)
●고이성_(소지후) 이상 49재 탈상제를 모두 마칩니다.
●철찬음복_제사상을 물리고 뒷풀이를 하겠습니다. 모두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읍시다.
(현비유인 수원백씨복자 49재 탈상제축)
維 歲次 甲辰 12月己巳朔 20日戊子
유 세차 갑진 12월기사삭 20일무자
次子勍五 敢昭告于
차자경오 감소고우
顯妣孺人 水原白氏福子
현비유인 수원백씨복자
日月不居 奄及四十九日
일월불거 엄급사십구일
禮當三年 拘於事勢 未能如禮
예당삼년 구어사세 미능여례
今將脫服 夙興夜處 哀慕不寧
금장탈복 숙흥야처 애모불녕
謹以 瀅酌庶羞 哀薦常事 尙
근이 형작서수 애천상사 상
饗
향
유 세차 2025년 1월 19일
딸, 경주 경선 경미와 아들, 경오는 돌아가신 어머님께 고하나이다.
세월이 흘러 어머님 돌아가신지 49일이 되었습니다.
삼년상을 모시는 것이 도리이오나
세속에 따라 오늘 복을 벗고자합니다.
밤낮으로 슬프고 사모하는 마음에 편치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을 차려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