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각>



<해바라기>가 이제 막 꽃을 피우기 시작했네요.


<꽃양귀비>

<한련>




<원추리꽃> 원추리는 대표적인 우리나라 여름 야생화입니다. 7월 중순에 꽃이 피지만 이녀석은 좀 빨리 꽃을 피웠네요.

<국화> 아직 국화가 피기는 이름 계절이지요? 소대 옆에 열기때문에 아마도 일찍 꽃을 피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식물들은 위기가 닥쳐오면 성장을 다 하기전에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습니다.


<능소화> 능소화(凌霄花)는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양반꽃 혹은 금등화(金藤花)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능소화는 하늘을 능멸하다. 능가하다는 뜻입니다. 담벼락이나 나무에 의지해 하늘 높이 올라가는 모습을 그렇게 표현했나 봅니다.


<도라지>꽃이 곧 피겠군요.


<고수>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죠? 고수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무려 고려시대입니다. 주로 사찰에서 먹었기 때문에 최근까지 고수를 몰랐던 사람들도 무척 많습니다.

<고추꽃> 고추의 꽃은 하얀 별모양이었군요.

<쑥갓>

<대추꽃>은 녹색이군요. 제사상에 대추를 올리는 건 자손이 창성하라는 뜻이라죠? 결혼식때 신부에게 대추를 던져주는 것도 같은 의미라 할 수 있겠습니다.



<호박꽃> 강요배 화백의 호박꽃을 아시죠? 그러면 이제 이재금 시인의 호박꽃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호박꽃 / 이재금
장마 끝나고
아침 나절 하늘 걷힌 밭언덕
문 활짝 열어
호박꽃 환하게 피었습니다
거기 벌 나비 풍뎅이까지
춤추며 잉잉거리며
좋아라
좋아라
온몸 구르며 햇살 묻힙니다
남새밭 이랑 위
허리 굵은 순이 엄마
벌써 일 나와 앉아
호박꽃 더 신나게 피었습니다
좋아라
좋아라
온몸 구르며 햇살 묻힙니다
* 이재금(이載金)(1941~ 1997)
밀양출생.
시집<부끄러움을 팝니다> <말똥 굴러가는 날>







노래 "범 내려온다" 이날치
요즘 국악 어떠신가요? 이날치는 조선 후기 10대 명창 중의 한명입니다. 본래 줄타기를 했는데 날치처럼 줄을 잘타서 이날치라 불렸다는군요. 그룹 이날치가 그 이름들 땄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범 내려온다는 수궁가중에 한대목을 현대적으로 편곡한 노래입니다. 토끼를 찾아 육지로 나선 자라는 절벽을 오르는데 짧은 다리는 그닥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군요. 목을 이용해서 겨우 절벽에 올라 토생원을 부른다는 것이 그만 목이 풀려서 호생원 호랑이를 부르고 말았답니다. 그래서 생원 소리를 들은 호랑이가 기분이 좋아서 얼쑹덜쑹 내려온다는 이야기입니다.
춤을 추는 이들은 "엠비규어스 댄스 컴퍼니"의 춤꾼들입니다. 그들은 대개 국악에 맞추어 춤을 춥니다. 실력이 아주 뛰어난 해외공연도 무척 많이 하는 아주 실력있는 춤꾼들입니다.
들어보시죠. 범 내려온다! 범이 내려온다.
첫댓글 평상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야생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스님의 섬세한 감성이 꽃들을 통해서 잘 나타나는 것 같네요.
음악선곡도 좋았습니다.
저라면 쉽게 접할 수 없는 곡이라서 생각의 전환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