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회상적, 감상적, 애상적 |
운율 | 내재율 |
제재 | 가난했던 어린 시절 |
어조 | 엄마를 걱정하고 기다리는 애틋한 어조 |
주제 | 시장에 간 어머니를 기다리던 슬픈 어린 시절 |
1. 표현상의 특징
- 감각적 심상을 통해 외롭고 두려웠던 어린 시절의 가난 체험을 드러냄.
- 상황의 제시를 통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함.
- 유사한 문장의 반복과 변조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의미강조
: ‘안 오시네’, ‘엄마 안 오시네’. ‘안 들리네’
- 각 시행은 비종결 어미로 끝을 맺음으로써 유년기의 고통을 현재까지 연장시키는 효과.
-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엄마’의 고된 삶과 ‘나’의 정서를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 ‘해는 시든지 오래’, ‘찬밥처럼 방에 담겨’,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2. 시의 짜임
|
| 찬밥, 어둠, 금간 창틈, 고요한 빗소리 |
|
|
|
| ↓ |
|
|
1연 어린 시절 (과거) | - | 시장에 나가신 엄마를 빈방에서 홀로 기다림 | - | 외로움, 두려움, 쓸쓸함, 슬픔 |
↑ 회상 |
|
|
|
|
2연 어린이 된‘나’ (현재) | - |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눈시울을 붉힘 | - | 안타까움, 애틋함, 그리움 |
|
| ↑ |
|
|
|
| 내 유년의 윗목 |
|
|
3. 시의 정서와 분위기를 살려 주는 소재
‘찬밥, 금간 창, 빗소리, 빈방, 윗목’ 쓸쓸하고 외로운 분위기
: 춥고 을씨년스러운 느낌, 쓸쓸하고 외로운 느낌, 세상과 단절되어 외톨이가 된 느낌
기형도 시인의 엄마걱정은 시장에 간 어머니를 기다리는 아이의 애틋한 마음을 그려내고 있다. 시적 화자는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엄마를 홀로 기다리며 방에 혼자 남은 화자는 엄마를 기다리는 시간동안 숙제를 하지만 엄마의 발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어두운 방에서 무서워진 ‘나’는 울음을 터뜨리게 되는데, 먼 옛날의 기억임에도 불구하고 엄마를 기다리던 그 마음은 여전히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상황과 정서를 감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