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케어』 추진 실태와 우리의 대책
1.새로운 시대 노인돌봄의 주요 테마로 떠오르고 있는 『커뮤니티케어』(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현재 진척사항 및 이에대한 우리의 대책임
2.관련 법안
-.2024.3.의료요양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년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2026.3 본격시행
-.자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요양 등 돌봄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내용이 핵심
3.현재 추진실태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한국의료사협)주관하에 23년에 10개,24년에 10개의 시범사업을 추진한데 이어 25년에 23개소에서 추가 추진 예정
-.의원 22개소. 건강검진센터 11개. 가정간호센터 6개. 한의원 14개. 치과의원 11개. 재가장기요양센터 11개. 주간보호센터 6개소가 동참
※.25.1.16 심포지움을 통해 상세 추진실적 발표
☞.한국의료사협은 지역주민과 의료인의 협동하에 설립된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24.9 현재 산하에 30개 회원조합 구성
4.커뮤니티케어 주요 추진 내용
-.방문의료와 재택의료를 중심으로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건강지킴이등으로 구성된 추진단 활동
-.다양한 의료분야가 통합된 다학제적 의료 돌봄과 주민 참여하에 이루어지는 통합의 커뮤니티케어 시행
-.커뮤니티케어 활동의 일환으로 케어 B&B(bed and breakfirst) 사업추진
5.케어 B&B 사업개요
-.뇌병변이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병원에서 퇴원후 바로 집으로 가기 어렵거나 수술후 재활중인 노인들이 잠시(최대 6개월) 지낼 수 있는 정거장 격 중간집
-,일본에서 시행 성공을 거둔 사례를 본받아 살림의료사협 주관하에 서울 은평구에서 LH 및 서울시와 협조 현재 추진 중
6.평가
-.과거 노인요양원 중심의 돌봄은 노인들의 기피와 인권문제등으로 인해 AIP(살고있는 집에서 늙어가기) 개념의 새로운 Community Care 시스템 등장
-.최초에는 의료 단가문제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되었으나 법제화가 이루어지고 뜻있는 많은 의료인들의 동참과 지자체의 적극적노력으로 상당히 진척된 상황
7.우리의 대책
-.커뮤니티케어(지역사회통합돌봄)은 최초 예상과는 달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노인들에 대한 새로운 돌봄시스템으로 빠르게 정착될 것으로 예상
-.따라서 커뮤니티케어에 웰다잉 문화를 접목시켜 노인케어를 단순 돌봄에서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 라는 차원으로 업그레이드 시키는 노력 긴요
☞.커뮤니티케어를 주도하고 있는 한국의료사협과의 MOU 체결등 협력을 추진하고 특히 『케어B&B』 거주 노인들 대상 웰다잉 교육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