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необходи́мость noun, feminine, inanimate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2,000)
necessity or need
7. взгляну́ть verb, perfective
Often used word (top 800)
to glance, to look at
8. ещё Daily used word (top 100)
still, even, more, else, yet
что ещё? - what else?
Example: нет ещё, ещё год наза́д
not yet, as long as a year ago
ещё один: another
Не могли́ бы Вы удели́ть мне ещё не́сколько минут?
Could you give me a few more minutes?
11. смочь verb, perfective
мочь / смочь
Often used word (top 500)
be able, can
Наде́юсь, мы вскоре смо́жем рабо́тать вместе.
Hope we can work together soon.
15. вско́ре
Often used word (top 1,000)
soon, shortly there after, before long
13. наде́яться verb, imperfective
наде́яться / понаде́яться
Often used word (top 800)
to hope, rely
14. понаде́яться verb, perfective
наде́яться / понаде́яться
Very rarely used word (top 30,000)
to hope, rely
12. вме́сте
Daily used word (top 300)
together
Вместе с тем:
along with that
10. мочь verb, imperfective
Daily used word (top 100)
be able, can, may, might, could have, might have
9. не́сколько Daily used word (top 200)
some, a few, several
Он извинился и пошел было в вагон, но почувствовал
необходимость еще раз взглянуть на нее – не пото-
му, что она была очень красива, не по тому изяществу
и скромной грации, которые видны были во всей ее
фигуре, но потому, что в выражении миловидного ли-
ца, когда она прошла мимо его, было что-то особенно
ласковое и нежное.
He begged pardon, and was getting into the carriage, but felt he must glance at her once more; not that she was very beautiful, not on account of the elegance and modest grace which were apparent in her whole figure, but because in the expression of her charming face,
Э́та шко́ла была́ основана в 1650 году.
This school was founded in 1650.
5. год noun, masculine, inanimate
Daily used word (top 100)
year
4. основа́ть verb, perfective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5,000)
found, base, to establish
3. шко́ла noun, feminine, inanimate
Often used word (top 400)
school, schoolhouse, academy, university
1. почу́вствовать verb, perfective
Often used word (top 700)
feel, have a sensation, sense
2. извиня́ться verb, imperfective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4,000)
apologise
С привычным тактом светского челове-ка, по одному взгляду на внешность этой дамы, Вронский определил ее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к высшему свету.
Chapter 13
None but those who were most intimate with Alexey Alexandrovitch knew that, while on the surface the coldest and most reasonable of men, he had one weakness quite opposed to the general trend of his character. Alexey Alexandrovitch could not hear or see a child or woman crying without being moved. The sight of tears threw him into a state of nervous agitation, and he utterly lost all power of reflection. The chief secretary of his department and his private secretary were aware of this, and used to warn women who came with petitions on no account to give way to tears, if they did not want to ruin their chances. ‘He will get angry, and will not listen to you,’ they used to say. And as a fact, in such cases the emotional disturbance set up in Alexey Alexandrovitch by the sight of tears found expression in hasty anger.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와 가장 가까운 사람들 외에는 아무도 몰랐다. 겉으로는 지극히 냉정하고 신중해 보이는 이 사람이 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일반적인 그의 기질과는 반대되는 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어린아이나 여자의 눈물을 무심하게 보고 듣지 못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는 눈물만 보며 어찌할 바를 모르며 판단력을 완전히 상실하곤 했다. 그의 사무장과 서기는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여자 청원자들에게 일을 그르치고 싶지 않다며 절대 울지 말라고 미리 귀띔을 해 주곤 했다. <그 분은 화를 내며 당신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을 겁니다.> 그들은 이렇게 말했다. 사실 그런 경우 눈물이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에게 불러일으킨 정신적 혼란은 초조한 분노로 표현되곤 했다.
‘I can do nothing. Kindly leave the room!’ he would commonly cry in such cases. When returning from the races Anna had informed him of her relations with Vronsky, and immediately afterwards had burst into tears, hiding her face in her hands, Alexey Alexandrovitch, for all the fury aroused in him against her, was aware at the same time of a rush of that emotional disturbance always produced in him by tears. Conscious of it, and conscious that any expression of his feelings at that minute would be out of keeping with the position, he tried to suppress every manifestation of life in himself, and so neither stirred nor looked at her. <난 못합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그만 나가 주십시오> 그런 경우, 대개 이렇게 소리쳤다. 경마장에서 돌아오는 동안 안나가 그에게 그녀와 브론스키의 관계를 털어놓고 곧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린 채 울기 시작하자,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마음속에 그녀에 대한 적의가 솟구치는 것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눈물이 늘 그에게 불러일으키던 정신적 붕괴가 밀려드는 것을 느꼈다. 그는 그것을 알았기에, 그 순간 그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지금의 상황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기에, 생명의 온갖 현상들을 억누르려고 애쓰며 조금도 움직이지 않았고, 그녀를 쳐다보지도 않았다.
This was what had caused that strange expression of deathlike rigidity in his face which had so impressed Anna. When they reached the house he helped her to get out of the carriage, and making an effort to master himself, took leave of her with his usual urbanity, and uttered that phrase that bound him to nothing; he said that tomorrow he would let her know his decision. His wife’s words, confirming his worst suspicions, had sent a cruel pang to the heart of Alexey Alexandrovitch. That pang was intensified by the strange feeling of physical pity for her set up by her tears. But when he was all alone in the carriage Alexey Alexandrovitch, to his surprise and delight, felt complete relief both from this pity and from the doubts and agonies of jealousy. 이런 이유 때문에 그의 얼굴에는 시체와도 같은 기이한 표정이 떠올랐고, 이 표정은 안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들이 집에 도착하자, 그는 그녀를 마차에서 내려주고 자신을 억누르며 언제나처럼 정중하게 그녀와 작별인사를 나누고는 자신에게 어떤 의묻 지우지 않을 몇 마디의 말을 남겼다. 그는 내일 그녀에게 자신의 결정을 알리겠다고 말한 것이다. 그의 최악의 의혹이 사실임을 확인해 준 아내의 말은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가슴속에 지독한 고통을 불러일으켰다. 그 고통은 그의 기이한 감정으로 인해, 즉 그녀의 눈물이 그에게 불러일으킨 그녀에 대한 육체적 연민으로 인해 더욱 더 강해졌다. 하지만 마차 안에 홀로 남게 된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이런 연민으로부터 요사이 그를 괴롭히던 의심과 질투의 고통으로부터 자신이 완전히 해당되었음을 느끼며 놀라기도 하고 기뻐하기도 했다.
He experienced the sensations of a man who has had a tooth out after suffering long from toothache. After a fearful agony and a sense of something huge, bigger than the head itself, being torn out of his jaw, the sufferer, hardly able to believe in his own good luck, feels all at once that what has so long poisoned his existence and enchained his attention, exists no longer, and that he can live and think again, and take interest in other things besides his tooth. This feeling Alexey Alexandrovitch was experiencing. The agony had been strange and terrible, but now it was over; he felt that he could live again and think of something other than his wife. ‘No honor, no heart, no religion; a corrupt woman. I always knew it and always saw it, though I tried to deceive myself to spare her,’ he said to himself. And it actually seemed to him that he always had seen it: he recalled incidents of their past life, in which he had never seen anything wrong before-now these incidents proved clearly that she had always been a corrupt woman. ‘I made a mistake in linking my life to hers; but there was nothing wrong in my mistake, and so I cannot be unhappy. It’s not I that am to blame,’ he told himself, ‘but she. But I have nothing to do with her. She does not exist for me. . .’ 그는 오랫동안 앓던 이를 빼 사람이 너꼈음 직한 감정을 맛보았다. 지독한 고통과 자기 머리보다 더 큰 거대한 무언가가 턱에서 쑥 뽑히는 느낌을 맛본 후, 아직 자신의 행복을 믿지 못하는 환자가 문득 이제는 자신을 그토록 오랫동안 괴롭히고 모든 주의를 스스로에게 쏠리게 하던 무언가가 존재하지 않으며 다시 자신의 이에만 관심을 쏟지 않아도 생활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느낄 때의 그런 감정이었다. 아픔은 낯설고도 지독했다. 그러나 이제 슬픔은 사라져 버렀다. 그는 다시 삶을 되찾았고 아내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명예심도, 마음도, 종교도 없는 타락한 여자 같으니! 비록 내가 그녀를 가련하게 여기며 나 자신을 속이려고 노력하기는 했지만, 난 언제나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었고 늘 눈으로 보아왔다 그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제로 그에게는 자신이 그 사실을 항상 지켜보았던 것처럼 느껴졌다. 그는 지난날의 삶을 속속들이 떠올려 보았다. 예전에는 그에게 추악한 것으로 보이지 않던 모습들이었다. 그런데 이제 그 세세한 점들은 그녀가 언제나 타락한 여자였음을 분명히 보여 주었다. 내 삶을 그녀의 삶과 결합하다니, 나의 실수다. 하지만 나의 실수에 나쁜 점은 전혀 없었다. 그러니 내가 불행할 리는 없다. 잘못을 저지른 건 내가 아니라. . . 그는 혼잣말을 했다. 그녀니까, 하지만 난 그녀와 아무 상관없다. 그녀는 나에게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 .
Everything relating to her and her son, towards whom his sentiments were as much changed as towards her, ceased to interest him. The only thing that interested him now was the question of in what way he could best, with most propriety and comfort for himself, and thus with most justice, extricate himself from the mud with which she had spattered him in her fall, and then proceed along his path of active, honorable, and useful existence. ‘I cannot be made unhappy by the fact that a contemptible woman has committed a crime. I have only to find the best way out of the difficult position in which she has placed me. And I shall find it,’ he said to himself, frowning more and more. ‘I’m not the first nor the last.’ 그녀와 아들-아들에 대한 감정도 그녀에게 그랬던 것처럼 똑같이 변하고 말았다-에게 닥칠 그 모든 것도 더 이상 그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지금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한 가지는, 그녀의 타락으로 그에게 틘 진흙을 떨어내고 자신의 활동적이고 정직하고 유익한 살의 길을 계속 걸어 나가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고 가장 점잖고 가장 편리한, 즉 가장 정당한 방식이 될까 하는 문제였다. ‘멸시받아 마땅한 여자가 죄를 지었다고 해서 내가 불행해 질 수는 없지. 내가 할 일은 오직 그녀가 내게 지운 이 괴로운 상황을 벗어날 가장 좋은 출구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난 그것을 찾아낼 것이다. 그는 얼굴을 찌푸리며 속으로 중얼거렸다. 내가 처음도 마지막도 아니지 않은가.
And to say nothing of historical instances dating from the ‘Fair Helen’ of Menelaus, recently revived in the memory of all, a whole list of contemporary examples of husbands with unfaithful wives in the highest society rose before Alexey Alexandrovitch’s imagination. ‘Daryalov, Poltavsky, Prince Karibanov, Count Paskudin, Dram.... Yes, even Dram, such an honest, capable fellow...Semyonov, Tchagin, Sigonin,’ Alexey Alexandrovitch remembered. ‘Admitting that a certain quite irrational ridicule falls to the lot of these men, yet I never saw anything but a misfortune in it, and always felt sympathy for it,’ Alexey Alexandrovitch said to himself, though indeed this was not the fact, and he had never felt sympathy for misfortunes of that kind, but the more frequently he had heard of instances of unfaithful wives betraying their husbands, the more highly he had thought of himself. ‘It is a misfortune which may befall anyone. 그러자 역사적인 예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아름다운 헬레나>로 인해 모든 사람들의 기억에 새롭게 떠오른 메넬라오스를 비롯하여 부정한 아내를 둔 오늘날 상류사회의 남편들이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머릿속에 차례차레 떠올랐다. ‘다리얄로프, 폴타프스키, 카리바노프 공작, 파스코진 백자가, 드람. . ., 그래, 드람. . ., 그토록 정직하고 유능한 사람이. . . 세묘노프, 챠긴, 시고닌.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그들의 이름을 기억해 냈다. 가령 그 사람들에게 어떤 불합리한 조소가 쏟아진다고 하자. 하지만 난 그 속에서 불행 외에 아무것도 보지 않았고 언제나 그들을 동정했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그는 결코 그런 종류의 불행에 동정을 보낸 적이 없으며, 남편을 배신한 아내들의 예가 많아질수록 스스로를 더욱더 높이 평가했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불행이다.
And this misfortune has befallen me. The only thing to be done is to make the best of the position.’ And he began passing in review the methods of proceeding of men who had been in the same position that he was in. ‘Daryalov fought a duel. . .’ The duel had particularly fascinated the thoughts of Alexey Alexandrovitch in his youth, just because he was physically a coward, and was himself well aware of the fact. 그리고 그러한 불행이 나에게 닥쳤다. 문제는 다만 어떻게 하는 것이 이 상황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냐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과 똑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의 행동 방식을 세세하게 떠올리기 시작했다. ‘다리얄로프’는 결투를 했지. . . 젊은 시절, 결투는 특히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마음을 끌었다. 그것은 바로 육체적인 면에 자신이 없었고 그 자진도 이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Alexey Alexandrovitch could not without horror contemplate the idea of a pistol aimed at himself, and never made use of any weapon in his life. This horror had in his youth set him pondering on dueling, and picturing himself in a position in which he would have to expose his life to danger. Having attained success and an established position in the world, he had long ago forgotten this feeling; but the habitual bent of feeling reasserted itself, and dread of his own cowardice proved even now so strong that Alexey Alexandrovitch spent a long while thinking over the question of dueling in all its aspects, and hugging the idea of a duel, though he was fully aware beforehand that he would never under any circumstances fight one. ‘There’s no doubt our society is still so barbarous (it’s not the same in England) that very many’-and among these were those whose opinion Alexey Alexandrovitch particularly valued-‘look favorably on the duel; but what result is attained by it?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자기를 겨눈 피스톨을 생각할 때마다 늘 공포에 떨었고,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무기를 사용해 본 적이 없었다. 이러한 공포는 젊은 시절부터 그로 하여금 결투에 대하 자주 생각하게 만들었고, 자기의 생명을 위험에 처하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익숙하도록 이끌었다. 인생에서 확고한 지위와 성공을 거둔 후, 그는 오랫동안 이 감정을 잊고 있었다. 하지만 감정의 습관이 다시 제자리를 차지했다. 이제는 자신의 소심함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나 강해졌기 때문에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결투에 대한 문제를 오랫동안 모든 면에서 곰곰이 생각하며 이 문제를 상념으로 부드럽게 애무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어떤 경우에도 결투를 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의심할 여지없이, 우리 사회는 아직도 너무나 야만적이어서 (영국과 달리) 대다수의 사람들이-그 가운데는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가 특별히 훌륭한 견해를 가진 사람으로 높이 평가하는 이들과 있었다-결투를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Suppose I call him out,’ Alexey Alexandrovitch went on to himself, and vividly picturing the night he would spend after the challenge, and the pistol aimed at him, he shuddered, and knew that he never would do it-‘suppose I call him out. Suppose I am taught,’ he went on musing, ‘to shoot; I press the trigger,’ he said to himself, closing his eyes, ‘and it turns out I have killed him,’ Alexey Alexandrovitch said to himself, and he shook his head as though to dispel such silly ideas. ‘What sense is there in murdering a man in order to define one’s relation to a guilty wife and son? I should still just as much have to decide what I ought to do with her. But what is more probable and what would doubtless occur-I should be killed or wounded. I, the innocent person, should be the victim-killed or wounded. It’s even more senseless. But apart from that, a challenge to fight would be an act hardly honest on my side. Don’t I know perfectly well that my friends would never allow me to fight a duel-would never allow the life of a statesman, needed by Russia, to be exposed to danger? Knowing perfectly well beforehand that the matter would never come to real danger, it would amount to my simply trying to gain a certain sham reputation by such a challenge. 가령 내가 결투를 신청한다고 하자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마음속으로 계속 생각했다. 그리고 결투 신청 후 자신이 보내게 될 밤과 자신을 겨눈 피스톨을 생생하게 그려 보고는 몸서리를 쳤다. 그는 자신이 결코 결투를 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가령 내가 그에게 결투를 신청한다고 하자. 사람들이 내게 그 방법을 가르쳐 준다고 하자 그는 계속 생각했다. ‘그들은 날 정해 진 위치에 세우고, 난 방아쇠를 당긴다’ 그는 눈을 감으며 속으로 중얼거렸다. 내가 그를 죽였음이 밝혀진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혼잣말을 하고는 이런 어리석은 생각을 떨쳐버리기 위해 머리를 흔들었다. 죄를 지은 아내와 아들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하려고 사람을 죽이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여전히 나는 아내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해 야 할 것이다. 하지만 훨씬 가능서이 높고 틀림없이 일어날 만한 일은. . .내가 죽거나 상처를 입는 것이겠지. 내가, 아무 죄도 없는 내가, 희생물인 내가 죽거나 상처를 입는 것이다. 이는 더욱더 무의미한 일이다. 하지만 그뿐이 아니다. 내 쪽에서 결투를 신청하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다. 내 친구들이 내가 결투를 하도록 절대로 내버려 두지 않으리라는 것을, 내가 과연 모른다고 할 수 있을까? 그들은 러시아에 없어서는 안될 한 정치가의 생명이 위험에 처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난 상황이 결코 위험할 정도로 치닫지 않으리라는 것을 이미 알면서도 이 결투 신청을 통해 그저 거짓된 광채를 스스로에게 부여하기만 바라는 셈이 된다.
That would be dishonest, that would be false, that would be deceiving myself and others. A duel is quite irrational, and no one expects it of me. My aim is simply to safeguard my reput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uninterrupted pursuit of my public duties.’ Official duties, which had always been of great consequence in Alexey Alexandrovitch’s eyes, seemed of special importance to his mind at this moment. Considering and rejecting the duel, Alexey Alexandrovitch turned to divorce-another solution selected by several of the husbands he remembered. Passing in mental review all the instances he knew of divorces (there were plenty of them in the very highest society with which he was very familiar), Alexey Alexandrovitch could not find a single example in which the object of divorce was that which he had in view. 이것은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고 위선이다. 다른 사람들과 나 자신에 대한 기만이다. 결투라니, 있을 수도 없는 일이다. 아무도 내게 그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나의 목표는 아무런 방해 없이 활동을 계속하는 데 필요한 나의 명예를 지키는 것이다. 공직 활동은 예전에도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눈에 큰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였지만, 지금의 그에게는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결투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고 이를 거부한 후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이혼, 즉 그가 떠올린 남편들 가운데 몇몇 사람이 선택한 또 다른 출구로 주의를 돌렸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세간에 알려진 이혼 사례들(이혼의 사례는 그가 잘 알고 있는 상류사회에 너무나 많았다.)을 차례차례 떠올려 보았지만, 이혼의 목적이 그가 생각하는 목적과 같은 경우를 단 하나도 발견할 수 없었다.
In all these instances the husband had practically ceded or sold his unfaithful wife, and the very party which, being in fault, had not the right to contract a fresh marriage, had formed counterfeit, pseudo-matrimonial ties with a self-styled husband. In his own case, Alexey Alexandrovitch saw that a legal divorce, that is to say, one in which only the guilty wife would be repudiated, was impossible of attainment. He saw that the complex conditions of the life they led made the coarse proofs of his wife’s guilt, required by the law, out of the question; he saw that a certain refinement in that life would not admit of such proofs being brought forward, even if he had them, and that to bring forward such proofs would damage him in the public estimation more than it would her. 모든 경우, 남편들은 부정한 아내를 양도하거나 팔아넘겼다. 그리고 자신의 죄로 인해 결혼할 권리를 잃은 그 여자들은 새 배우자와 더불어 합법적인 척 행세하는 허구의 관계를 맺었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자신의 경우에 합법적인 이혼, 즉 죄를 지은 아내가 버림받는 것에 그치는 그런 류의 이혼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알고 있었다. 그가 속한 삶의 복잡한 조건들은 법이 아내의 죄를 드러내기 위해 요구하는 그런 추잡한 증거가 세상에 버젓이 제시되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그는 설사 그런 증거가 있다 하더라도 이런 생활에 깃든 어떤 세련된 속성이 그 증거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An attempt at divorce could lead to nothing but a public scandal, which would be a perfect godsend to his enemies for calumny and attacks on his high position in society. His chief object, to define the position with the least amount of disturbance possible, would not be attained by divorce either. Moreover, in the event of divorce, or even of an attempt to obtain a divorce, it was obvious that the wife broke off all relations with the husband and threw in her lot with the lover. And in spite of the complete, as he supposed, contempt and indifference he now felt for his wife, at the bottom of his heart, Alexey Alexandrovitch still had one feeling left in regard to her-a disinclination to see her free to throw in her lot with Vronsky, so that her crime would be to her advantage. 이혼을 시도하는 것은 단지 그의 높은 사회적 지위를 헐뜯고 비방하려는 적들에게 좋은 기회를 주치는 수치스러운 법정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목적, 즉 최소한의 소동으로 상황을 마무리 짓는 것은 이혼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없었다. 게다가 이혼을 하거나 시도하기만 해도, 아내는 분명 남편과의 관계를 끊고 자기의 연인과 결합할 것이다. 그리고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는 지금 자신이 멸시에 가까운 완전한 무관심으로 아내를 대한다고 생각했지만, 그의 마음속에는 아내에 대한 감정이 아직 한 가지 남아 있었다. 그것은 바로 그녀가 방해에 부딪히는 일 없이 브론스키와 결합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감정, 그녀의 죄가 그녀에게 오히려 이익이 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감정이었다.
The mere notion of this so exasperated Alexey Alexandrovitch, that directly it rose to his mind he groaned with inward agony, and got up and changed his place in the carriage, and for a long while after, he sat with scowling brows, wrapping his numbed and bony legs in the fleecy rug. ‘Apart from formal divorce, One might still do like Karibanov, Paskudin, and that good fellow Dram-that is, separate from one’s wife,’ he went on thinking, when he had regained his composure. But this step too presented the same drawback of public scandal as a divorce, and what was more, a separation, quite as much as a regular divorce, flung his wife into the arms of Vronsky. ‘No, it’s out of the question, out of the question!’ he said again, twisting his rug about him again. ‘I cannot be unhappy, but neither she nor he ought to be happy.’ The feeling of jealousy, which had tortured him during the period of uncertainty, had passed away at the instant when the tooth had been with agony extracted by his wife’s words. But that feeling had been replaced by another, the desire, not merely that she should not be triumphant, but that she should get due punishment for her crime. 이 한 가지 생각이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를 어찌나 지독하게 괴롭혔던지, 그는 이 생각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내적인 고통에 신음 소리를 내며 마차 안에서 벌떡 일어나 자리를 바꿔 앉고 말았다. 그러더니 그는 추위에 약한 앙상한 다리를 푹신한 덮개로 감싼 채 오랫동안 인상을 찌푸렸다. 정식으로 이혼하는 것 외에, 카리바노프와 파스쿠진과 그 착한 드럼처럼 행동하는 방법도 있다. 즉 아내와 별거하는 것이다. 그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계속 생각에 잠겼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이혼과 마찬가지로 치욕이라는 불편이 뒤따랐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 방법 역시 정식 이혼과 똑같이 그의 아내를 브론스키의 품속으로 던져 주는 셈이 된다는 것이다. ‘아니, 그렇게 할 수는 없어. 그렇게는 안 돼! 그는 다시 덮개를 쥔 채 안절부절못하면서 큰 소리로 내뱉었다. <난 결코 불행해질 수 없어. 하지만 그녀도, 그도 행복해져서는 안 돼> 그가 이 사실을 모르는 동안 그를 괴롭히던 질투심은 아내의 말로 인해 이가 고통스럽게 뽑혀 나간 그 순간 싹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다른 감정이 이 감정을 대신하였다. 그것은 그녀가 승리하지 않기를, 그녀가 자신의 죄에 대해 보복을 받기를 바라는 열망이었다.
He did not acknowledge this feeling, but at the bottom of his heart he longed for her to suffer for having destroyed his peace of mind-his honor. And going once again over the conditions inseparable from a duel, a divorce, a separation, and once again rejecting them, Alexey Alexandrovitch felt convinced that there was only one solution,-to keep her with him, concealing what had happened from the world, and using every measure in his power to break off the intrigue, and still more-though this he did not admit to himself-to punish her. ‘I must inform her of my conclusion, that thinking over the terrible position in which she has placed her family, all other solutions will be worse for both sides than an external status quo, and that such I agree to retain, on the strict condition of obedience on her part to my wishes, that is to say, cessation of all intercourse with her lover.’ 그는 이 감정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그녀가 그이 평온과 명예를 파괴한 대가로 고통 받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래서 다시 결투, 이혼, 별거의 조건들을 하나하나 떠올려 보고 또다시 그것들을 차례차례 거부한 끝에,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방법은 오직 하나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즉 이미 일어난 일은 사교계에 알려지지 않도록 은폐하고 두 사람의 관계를 끊어 놓기 위해, 무엇보다 그녀를 벌하기 위해-그 자신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았지만-그가 취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강구하면서 그녀를 자기 옆에 붙잡아 두는 것이었다. 난 내 결심을 알려야 한다. 그녀가 가족에게 안긴 그 괴로운 상황을 곱씹어 생각해 본 결과, 양쪽 입장을 고려할 때 어떤 방법을 취하든 표면적인 ‘현 상태’만 못하다는 것, 또한 나로서는 그러한 것을 지키는 데 동의하지만 그녀 쪽에서 나의 의지를 실행한다는, 즉 애인과의 관계를 끊겠다는 엄격한 조건 아래서만 그렇게 하겠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When this decision had been finally adopted, another weighty consideration occurred to Alexey Alexandrovitch in support of it. ‘By such a course only shall I be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dictates of religion,’ he told himself. ‘In adopting this course, I am not casting off a guilty wife, but giving her a chance of amendment; and, indeed, difficult as the task will be to me, I shall devote part of my energies to her reformation and salvation.’ Though Alexey Alexandrovitch was perfectly aware that he could not exert any moral influence over his wife, that such an attempt at reformation could lead to nothing but falsity; though in passing through these difficult moments he had not once thought of seeking guidance in religion, yet now, when his conclusion corresponded, as it seemed to him, with the requirements of religion, this religious sanction to his decision gave him complete satisfaction, and to some extent restored his peace of mind. 이 결심을 확증하며 최종적으로 그것을 채택하려는 순간, 문득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에게 중요한 생각이 하나 더 떠올랐다. ‘오직 그렇게 결정할 때에만 나의 행동이 종교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이런 결정을 통해서만 난 죄지은 아내를 내치지 않고 그녀에게 개선의 기회를 줄 수 있다. 그리고 나로서는 너무나 괴로운 일이 될 테지만, 난 그녀의 개선과 구원을 위해 내 힘의 일부를 바칠 것이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자신이 아내에게 도덕적 영향을 끼칠 수 없다는 것과 그녀를 개선시키려는 이러 시도로는 거짓 이외에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이 괴로운 몇 분을 보내는 동안, 그는 종교에서 지침을 찾아낼 생각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의 결정이 종교의 요구와 부합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 지금, 그의 결정에 대한 이런 종교적 승인은 그에게 충만함 만족과 어느 정도의 평정을 안겨 주었다. 이처럼 중요한 인생사에 대해서도 그가 종교의 교리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거라고 생각하자 그는 기뻤다.
He was pleased to think that, even in such an important crisis in life, no one would be able to say that he had not a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at religion whose banner he had always held aloft amid the general coolness and indifference. As he pondered over subsequent developments, Alexey Alexandrovitch did not see, indeed, why his relations with his wife should not remain practically the same as before. No doubt, she could never regain his esteem, but there was not, and there could not be, any sort of reason that his existence should be troubled, and that he should suffer because she was a bad and faithless wife. ‘Yes, time will pass; time, which arranges all things, and the old relations will be reestablished,’ Alexey Alexandrovitch told himself; ‘so far reestablished, that is, that I shall not be sensible of a break in the continuity of my life. She is bound to be unhappy, but I am not to blame, and so I cannot be unhappy.’ 그는 기뻤다. 그는 사람들의 무관심과 냉대 속에서도 언제나 종교의 기치를 높이 들지 않았던가! 세부적인 적들을 좀 더 생각하는 동안,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자기와 자기의 아내의 관계가 왜 예전과 거의 같은 모습으로 남을 수 없는지조차 깨닫지 못했다. 의심할 여지없이 그는 결코 그녀를 다시 존중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로서는 그녀가 품행이 나쁘고 부정한 아내라는 이유로 자신의 생활을 망치거나 괴로워할 이유가 전혀 없었고, 또는 그런 일은 있을 수도 없었다. ‘그래, 시간이 흐르면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시간이 흐르면 관계도 예전처럼 회복되겠지’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혼잣말을 했다. ‘그러니까, 내가 생활하면서 불쾌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는 회복될 것이다. 그녀는 불행해져야만 해. 하지만 난 죄를 짓지 않았으니 절대로 불행해질 수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