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 도 자 료 | ||
배포일시 | 2020. 3. 5.(목) / 총 7매(본문 3매) | ||
담당 부서 | 국토정보정책과 | 담 당 자 | ∙과장 한동민, 사무관 이선영, 주무관 문지영 ∙☎ (044) 201-3465, 3466 |
보 도 일 시 | 2020년 3월 6일(금)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3. 6.(금) 06:00 이후 보도 가능 |
3D 디지털국토 관리 가시화된다
- 2020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발표 -
◈ 3차원 공간정보 확충, 국민생활 안전, 산업지원 등에 4천억 원 투자 ◈ [중앙부처]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디지털 지적재조사 확대 등 추진 ◈ [지 자 체] 3차원 공간정보 구축과 행정분야 활용 등 추진 |
□ 올해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지자체들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사업 등 953개 공간정보사업(4,035억 원 규모)이 본격 추진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0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3월 6일 발표했다.
* 국토부장관, 기재부‧과기부‧산업부 차관 등 중앙부처, 지자체 및 민간위원 총 30명
ㅇ 시행계획에 따라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착수, 국토전용위성(금년 1호 발사) 운영 준비, 디지털 지적재조사 대폭 확대(156억→450억, 20만필지 정비),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 구축(서울, 대구, 성남 등) 등이 추진된다.
* 3차원 공간정보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데이터경제 등 새로운 성장산업들의 엔진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산업의 핵심기반이다.
ㅇ 이와 함께, 국민생활 안전을 위한 지하공간 3D 통합지도(수도권 25개 시) 확장,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민간개방과 창업지원 등 산업 육성 등도 일관되게 추진될 계획이다.
□ 이번 계획에는 중앙부처 72개 사업(2,753억 원), 전국 지자체 881개 사업(1,463억 원)이 포함되어 있다.
ㅇ 국토부는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국토전용위성, 지적재조사, 지하공간 통합지도 등 51개 사업을 추진하며,
* 지하공간 통합지도는 굴착공사 시 관로 등 지하시설물 파손 사고를 예방하고 재해·재난 시 지하공간정보를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 추진된다.
ㅇ 해수부는 연안해역 조사 사업, 환경부는 자연환경 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 농림부는 팜맵(Farm-map) 갱신 및 활용서비스 구축, 산림청은 산사태 위험지도 구축 등도 추진한다.
《중앙부처 주요사업》
사업명 (부처 / 예산) | 주요 사업내용 |
국토전용위성 탑재체 개발 (국토부 / 22,051백만 원) | ․탑재체(광학용) : 1호기 발사(’20.하반기) / 2호기 개발(’20.1~’21.3) ․R&D : 국토전용위성 영상 수집․처리․활용 기술 |
지적재조사 (국토부 / 45,000백만 원) | ․대상 : 217개 지자체(국고보조금 교부, ‘20.3~) * 규모 : 20만필지, 141백만㎡(19년 : 8만필지, 70백만㎡) |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국토부 / 9,358백만 원) | ․지하공간통합지도(3차원) 구축 : 화성, 청주, 창원 등 27개市(53억) ․R&D :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기술 등(40억) |
3차원 지도 시범구축 (국토부 / 200백만 원) | ․시범구축 : 건물, 도로, 지형의 3차원 지도(여의도, 대구, 시흥) * 방법 : 기존 2차원 지도의 원천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제작 |
해양공간정보체계 고도화 (해수부 / 22,363백만 원) | ․연안해역조사 : 수심측량, 해저면조사 등(영광, 마산, 인천) ․전자해도 제작 : 300개 Cell 갱신(전체 1,200개 Cell 관리 중) |
산림공간정보체계 고도화 (산림청 / 9,961백만 원) | ․DB 갱신 : 산림입지토양도(839ha), 임상도(전국, 인공변화지역) ․시스템 개발 : 드론 영상을 활용한 정사영상 자동제작 |
환경공간정보체계 고도화 (환경부 / 6,532백만 원) | ․DB 갱신 : 취신 위성영상을 이용한 전국 토지피복지도 현행화 ․시스템 개발 : AI 기술을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분류 자동화 |
스마트농정 통계체계 구축 (농림부 / 1,490백만 원) | ․팜맵 갱신 :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농경지 변화분석 및 갱신 (강원, 경북, 경남,전남, 제주, 부산, 대구, 울산, 광주 등) |
ㅇ 지자체는 행정 활용을 위해 3D Virtual Seoul 시스템(서울), 3D 공간정보 제작(대구), 무인비행장치 활용 열지도 구축(경기 성남), 드론 활용 재난위험지역 관리체계(충북 청주) 등 881개 사업(1,463억 원)을 추진한다.
《지자체 주요사업》
사업명 (부처 / 예산) | 주요 사업내용 |
3D Virtual Seoul 시스템 (서울시 / 2,018백만 원) | ․실내공간정보 구축 : 건축물 59개소(IoT 소방 시설물 연계) ․시스템 고도화 : 바람길, 대기질 시뮬레이션 기능 개발 |
3D 공간정보 수정‧제작 (대구시 / 400백만 원) | ․3D 공간정보 갱신 : 대구 동구‧서구‧북구 지역(294㎢) * 정사영상, 3D 지형정보, 건물모델링(12만 4천동) |
드론 활용 열지도 구축 (성남시 / 167백만 원) | ․드론 촬영 : 3cm급 정밀사진 촬영(도심지역 80㎢) ․열지도 구축 : 폭염 대비 열지도 구축(10㎢, 지하철역 인근 등) |
드론 활용 재난위험지역 관리 (청주시 / 140백만 원) | ․드론 촬영 : 3cm급 정밀사진 촬영(산사태 취약지 등 29개소) ․3D 공간정보 구축 : 정사영상 및 3D 지형정보(29개소) |
□ 산업계 발전을 위한 국가지원사업도 개선되어 추진된다.
ㅇ 공간정보 활용기반 확충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민간 개방, 공간정보 드림 활용환경 개선 등이 추진되며
ㅇ 산업계 육성을 위해 창업지원사업, 해외진출 지원 로드쇼 등 산업지원사업도 강화된다.
《산업계 지원 주요사업》
사업명 (부처 / 예산) | 주요 사업내용 |
공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국토부 / 1,217백만 원) | ․민간 개방 : 現 내부시스템을 대민서비스 플랫폼으로 전환(‘20.5) ․시스템 고도화 : 속도향상, 대표분석모델 구현(의료이용지도 등) |
공간정보 드림 플랫폼 (국토부 / 1,553백만 원) | ․기능 개선 : 건축 경관심의 시, 3D 공간정보 활용 기능 ․공유 SW : 기관별 DB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전문 S/W 보급 |
공간정보 창업지원 (국토부 / 150백만 원) | ․단계별 지원 : 사업모델→판로‧마케팅→대기업‧투자기관 연계 ․전략캠프 : 전문가(투자, 홍보)와 기업 간 1:1 매칭 컨설팅 지원 등 |
해외진출 진출 로드쇼 (국토부 / 140백만 원) | ․사업모델 개발 : LX-기업 간 신규사업 모델 공동개발 추진 ․로드쇼 : 중점 수주국(2개국)에 기술 전시 및 사업 컨설팅 |
□ 국토교통부 손우준 국토정보정책관은 “전국 3차원 지도 시범사업과 국토전용위성 운영준비 등 핵심사업이 성과를 내도록 잘 관리하고, 데이터경제와 첨단기술 등 사회경제 여건에 맞춰 공간정보 산업계를 키워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과 이선영 사무관(☎ 044-201-3465)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1 | 2020년도 국가공간정보사업 투자계획 |
□ (규모) 약 4,035억원, 953개 사업 *‘19년 대비 707억원 증가, 175개 증가
《국가공간정보사업 시행계획 예산 규모》
(단위 : 억원)
□ (기관별) 중앙부처 약 2,573억원, 지자체 약 951억원
(단위 : 억원)
관리기관(중앙) | 예산 | 관리기관(지방) | 예산 |
국토교통부 | 2,104.3 | 서울특별시 | 33.3 |
부산광역시 | 23.4 | ||
해양수산부 | 236.1 | 대구광역시 | 53.6 |
인천광역시 | 51.9 | ||
환경부 | 65.3 | 광주광역시 | 29.1 |
대전광역시 | 16.3 | ||
농림축산식품부 | 14.9 | 울산광역시 | 99.7 |
세종특별자치시 | 29.3 | ||
산업통상자원부 | 2.6 | 경기도 | 272.2 |
강원도 | 82.6 | ||
산림청 | 99.6 | 충청북도 | 129.5 |
충청남도 | 129.9 | ||
통계청 | 46.9 | 전라북도 | 48.8 |
전라남도 | 130.4 | ||
문화재청 | 3.0 | 경상북도 | 191.9 |
경상남도 | 111.6 | ||
제주특별자치도 | 29.1 | ||
합 계 | 2,572.7 | 합 계 | 950.8 |
붙임 2 | 3차원 지도 시범사업 및 국토관측위성 개요 |
□ (3차원 지도 시범사업) 기존 2차원 지도의 원천데이터(도화성과)를 이용하여 LOD 1(Level of Detail, 총 4단계) 수준의 3차원 지도 신속 구축
□ (국토전용위성) 영상해상도 50cm(흑백 50cm, 칼라 2m)
붙임 3 | 2020년도 주요 국가공간정보사업 |
중앙부처 주요사업
부처명 | 사업명(예산) |
국토교통부 |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정밀도로지도 갱신(8,900백만원), 3차원 건물·도로 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0백만원), 3차원공간정보 수치표고모형(DEM) 구축 사업(1,669백만원) |
<국가 기본공간정보> 1/1,000 수치지형도 제작(10,000백만원), 국가기본도 수정(25,000백만원),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공간정보 전용위성 탑재체 개발(18,285백만원), 위성정보 활용센터 설립 운영(3,766백만원), 국가기준점관리(16,063백만원), 지적재조사(45,000백만원) | |
<생활안전 공간정보> 지각변동감시체계 구축(1,000백만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4,048백만원), 실내공간정보 구축(300백만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및 굴착현장 안전관리지원 기술개발(5,310백만원), 지하정보 변화 모니터링 및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5,100백만원) | |
<공간정보 활용·산업지원> 공간정보 품질관리(600백만원), 공간정보 산업육성(14,390백만원), 국토공간정보 인력양성(1,344백만원), 자율주행 지원 도로변화 탐지(4,275백만원) | |
산림청 | 드론영상 빅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2차)(1,667백만원), 산림공간정보 조사 구축(6,399백만원), 산사태위험지도 구축 기반 마련(1,200백만원) |
해양수산부 | 연안해역조사(12,350백만원), 공간정보DB 구축 기초자료 생산(5,565백만원) |
환경부 |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유지관리(2,572백만원),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구축사업(2,632백만원) |
통계청 | S-GIS DB 구축(4,183백만원), 원격탐사 활용 남북한 농업면적조사(390백만원) |
농림축산식품부 | 팜맵 갱신 및 활용서비스 구축(1,490백만원) |
산업통상자원부 |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KMRGIS) 구축(258백만원) |
문화재청 | 문화재 공간정보활용체계(GIS) 구축(300백만원) |
지자체 주요사업
지자체명 | 사업명(예산) |
서울특별시 | 3D Virtual Seoul 시스템 구축(2,018백만원), 2020년 지하시설물 통합정보시스템 재개발(322백만원) |
부산광역시 | 2020년 1/1000 수치지형도 수정제작(300백만원), 2020년 항공사진촬영(344백만원) |
대구광역시 | 항공사진 전산화(850백만원), 항공사진 촬영(549백만원) |
인천광역시 | 2020년 상수관로 공공측량 사업(2,310백만원), 2020년 항공사진 촬영판독 및 공간정보 구축용역(350백만원) |
광주광역시 | 2020년 광주광역시 하수도 GIS DB 정확도 개선사업(1,125백만원), 수치지형도(1/1,000) 제작 및 갱신사업(1,000백만원) |
대전광역시 | 2020년 항공사진 판독용역(290백만원), 하수도시설물관리시스템 고도화사업(441백만원) |
울산광역시 | 수치지형도 수정 제작(울산북구, 중구 일부 지형변화지역)(250백만원), 울주군 공간정보 협업·지원서비스「공간다듬이」운영(422백만원)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시 교통정보시스템 유지관리(1,034백만원), 연서면 농어촌생활용수개발사업 GIS DB 구축 용역(455백만원) |
제주특별자치도 | 2020년 항공사진 촬영 및 정사영상 제작(700백만원), 산림정보통합시스템(FGIS) 기능 고도화사업(429백만원) |
경기도 | 경기도 도로대장 전산화(175백만원), 성남 MMS 활용 도로DB구축(721백만원), 무인비행장치 활용 열지도 구축(87백만원) |
경상남도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2,350백만원), 김해시 3차원 도시공간정보 구축(450백만원) |
경상북도 | 공간정보시스템 통합유지보수(194백만원), 문경시 공간정보기반 소통행정 공간플랫폼 구축 2차(1,280백만원) |
전라남도 | 민간 빅데이터(통신,카드) 활용 공간정보분석시스템 고도화(100백만원), 영광군 수치지형도 제작사업(976백만원) |
충청남도 | 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구축(674백만원), 도로·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2단계(2,780백만원) |
충청북도 | 스마트 충북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사업(1,200백만원), 영동군 행정 공간 빅데이터 플랫품구축(460백만원) |
강원도 | 강원도 토지·공간정보시스템 유지보수사업(154백만원), 양구군 상하수도 등 지하시설물 전산화 용역(2,680백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