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서예[3037]李白(이백)-姑孰十詠(고숙십영)-1.姑孰溪(고숙계)
姑孰十詠(고숙십영)
李白(이백)
1.姑孰溪(고숙계)
愛此溪水閑(애차계수한),乘流興無極(승류흥무극)。
漾楫怕鷗驚(양즙파구경),垂竿待魚食(수간대어식)。
波飜曉霞影(파번효하영),岸疊春山色(안첩춘산색)。
何處浣紗人(하처완사인),紅顏未相識(홍안미상식)。
나는 이 시냇물의 그윽함을 좋아하여
그 흐름을 타노라니 흥이 끝이 없네.
노를 저으며 갈매기 놀랄까 두려워하고
낚싯대를 드리우고 물고기가 먹기를 기다리네.
물결에 새벽노을 그림자 일렁이고
강 둔덕 봄 산에는 봄빛이 겹겹이라네.
어느 집안의 빨래하는 여인인가?
아리따운 얼굴의 모르는 아가씨라네.
<원문출처> 姑孰十詠/作者:李白 唐
全唐詩·卷181
-----------------------------------
○ 姑孰溪(고숙계) : 지금의 고숙하(姑孰河)로 고포(姑浦)라고도 한다.
고숙(姑孰)은 옛 현이름으로 고숙계는
태평부(太平府) 당도현(當涂縣) 남쪽 2리 밖에 있으며,
당도현(當涂縣)을 관통하여 장강으로 들어간다.
○ 漾楫(양즙) : 노를 젓다
○ 垂竿(수간) : 낚싯대를 드리우다.
○ 波飜(파번) : 파도가 일렁이다.
○ 浣紗(완사) : 빨래하다
○ 紅顏(홍안) : 젊고 고운 여자의 얼굴. 소녀
--------------------------------------
이 시는 <전당시>에 실려 있으며 당나라의 시인 이백이 지은 시로
이백이 천보(天寶) 후기에서 상원(上元), 보응(寶應) 연간에 지은 시로 추정된다.
<전당시>에서는 작가가 ‘이적(李赤)’이라고도 한다.
고숙십영은
1.고숙계(姑孰溪), 2.단양호(丹陽湖), 3.사공택(謝公宅),
4.능효대(陵歊臺), 5.환공정(桓公井), 6.자모죽(慈姥竹),
7.망부산(望夫山), 8.우저기(牛渚磯), 9.영허산(靈墟山),
10.천문산(天門山)의 10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제1수는 고숙현의 10개의 경관인 고숙계에 대해 노래하였으며
봄날 강에 배를 띄워 낚시를 하는 한가로운 모습과 주위의 풍경을 묘사하였다.
--------------------------------------
<원문> 姑孰十詠/作者:李白 唐
全唐詩·卷181
姑孰溪
愛此溪水閑,乘流興無極。
漾楫怕鷗驚,垂竿待魚食。
波飜曉霞影,岸疊春山色。
何處浣紗人,紅顏未相識。
丹陽湖
湖與元氣連,風波浩難止。
天外賈客歸,雲間片帆起。
龜遊蓮葉上,鳥宿蘆花裏。
少女櫂歸舟,歌聲逐流水。
謝公宅
青山日將暝,寂寞謝公宅。
竹裏無人聲,池中虛月白。
荒庭衰草徧,廢井蒼苔積。
惟有清風閑,時時起泉石。
陵歊臺
曠望登古臺,臺高極人目。
疊嶂列遠空,雜花間平陸。
閑雲入窗牖,野翠生松竹。
欲覽碑上文,苔侵豈堪讀。
桓公井
桓公名已古,廢井曾未竭。
石甃冷蒼苔,寒泉湛孤月。
秋來桐暫落,春至桃還發。
路遠人罕窺,誰能見清徹。
慈姥竹
野竹攢石生,含煙暎江島。
翠色落波深,虛聲帶寒早。
龍吟曾未聽,鳳曲吹應好。
不學蒲柳凋,貞心嘗自保。
望夫山
顒望臨碧空,怨情感離別。
江草不知愁,巖花但爭發。
雲山萬重隔,音信千里絕。
春去秋復來,相思幾時歇。
牛渚磯
絕壁臨巨川,連峰勢相向。
亂石流洑間,迴波自成浪。
但驚羣木秀,莫測精靈狀。
更聽猨夜啼,憂心醉江上。
靈墟山
丁令辭世人,拂衣向仙路。
伏鍊九丹成,方隨五雲去。
松蘿蔽幽洞,桃杏深隱處。
不知曾化鶴,遼海歸幾度。
天門山
逈出江山上,雙峰自相對。
岸暎松色寒,石分浪花碎。
參差遠天際,縹緲晴霞外。
落日舟去遙,迴首沈青靄。
[출처] [全唐詩(전당시)] 姑孰十詠(고숙십영) : 1.姑孰溪(고숙계) - 李白(이백)|작성자 swings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