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불교인연법 원문보기 글쓴이: 수호천사
법정 스님은 많은 저서와 법문을 통해 세상이 지쳐 있을 때는 용기를 북돋아 주고, 흥청거릴 때는 따끔한 질책을 했다. 늘 "이 순간을 놓치지 말라"고 강조했던 스님이 남긴 어록을 모았다.
◆소유에 대하여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에 비로소 온 세상을 다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무소유(無所有)의 또 다른 의미이다."(〈무소유〉 중에서)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富)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산에는 꽃이 피네〉 중에서)
"흔히 마음을 맑히라고, 비우라고 한다. 마음이란 말이나 관념으로 맑혀지고 비워지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인 선행을 실천했을 때 마음은 맑아진다. 선행(善行)이란 다름 아닌 나누는 일이다. 내가 잠시 맡아 가지고 있던 것을 되돌려 주는 것이다."(1994년 강연)
"텅 빈 항아리와 아무것도 올려 있지 않는 빈 과반(菓盤)을 바라보고 있으면 바라보는 내 마음도 어느새 텅 비게 된다. 무념무상(無念無想). 무엇인가를 채웠을 때보다 비웠을 때의 이 충만감을 진공묘유(眞空妙有)라고 하던가. '텅 빈 충만'의 경지다."(〈홀로 사는 즐거움〉 중에서)
"먼 길을 가려면 짐이 가벼워야 합니다. 버리기는 아깝고 지니기에는 짐이 되는 것들은 내 것이 아닙니다."(2005년 10월 운문사)
"놓아두고 가기! 때가 되면, 삶의 종점인 섣달 그믐날이 되면, 누구나 자신이 지녔던 것을 모두 놓아두고 가게 마련이다. 우리는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나그네이기 때문이다."(〈아름다운 마무리〉 중에서)
"인생에서 무엇이 남습니까? 집? 예금? 명예? 아닙니다. 몸뚱이도 두고 가는데, 죽고 난 후라도 덕(德)이 내 인생의 잔고(殘高)로 남습니다."(2008년 11월 17일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수행이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만큼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산에는 꽃이 피네〉 중에서)
"기도는 하루를 여는 열쇠이고, 하루를 마감하는 저녁의 빗장이다."(〈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중에서)
"생사가 어디에 있습니까?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생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2003년 하안거 결제)
"어떤 특정한 날에만 부처님이 오신다면 대단한 일이 아닙니다. 언제 어디서든 부처님이 오셔야 합니다. 그 자리가 바로 정토(淨土)요, 극락세계(極樂世界)입니다."(2003년 부처님 오신 날)
◆나와 이웃은 하나다
"단 한 사람을 위해서라도 인생은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2003년 12월 길상사 창건 기념)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종교는 친절이라는 것을 마음에 거듭 새겨 두시기 바랍니다. 작은 친절과 따뜻한 몇 마디 말이 이 지구를 행복하게 한다는 사실 역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2004년 하안거 결제)
"용서는 가장 큰 수행입니다. 남에 대한 용서를 통해 나 자신이 용서받게 됩니다."(2004년 10월)
"우리에게는 그립고 아쉬운 삶의 여백이 필요합니다. 무엇이든 가득 채우려고 하지 마십시오. 그리움이 고인 다음에 친구를 만나야 우정이 더욱 의미 있어집니다."(2007년 4월)
"내 안의 샘에서 아름다움이 솟아나도록 해야 합니다. 남과 나누는 일을 통해 나 자신을 수시로 가꾸어야 합니다."(2007년 10월)
"50년을 밥이며 집이며 옷이며 공짜로 얻어 쓰고, 심지어 자동차까지 타고 다니면서 많은 빚을 졌습니다. 내가 세상을 위해서 한 일보다는 받은 것이 더 많구나, 앞으로 남은 생애 동안 이것을 기억하고 은혜 갚는 일에 좀 더 노력해야 되겠구나 하고 생각하게 됐습니다."(2008년 8월 하안거 해제)
◆자연에 따르라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산방한담〉 중에서)
"직선은 조급하고 냉혹하고 비정합니다. 곡선은 여유와 인정과 운치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곡선(曲線)의 묘미'에서 삶의 지혜를 터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2005년 10월)
"추울 때는 추위가 되고, 더울 때는 더위가 되어야 합니다."(2008년 동안거 결제 법어)
...........................................................................................................................
11일 입적한 법정스님은 ’무소유’, ’산에는 꽃이 피네’ 등 여러 권의 산문집과 법문을 통해 지친 사람들을 위로하고 깨달음을 전하는 주옥같은 말을 남겼다.
특히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라는 말은 스님이 설파하던 ’무소유’의 정신을 압축한다.
1997년 길상사 창건 당시 “길상사가 가난한 절이 되었으면 합니다”로 시작하는 창건 법문도 이러한 무소유 정신과 맞물려 널리 회자됐다.
그런가 하면 말년인 지난 2008년 낸 산문집 ’아름다운 마무리’에서는 “아름다운 마무리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며 마지막 모습까지 귀감이 되기도 했다.
다음은 법정스님의 주요 어록.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뜻이다.(’무소유’ 중)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잠잠하던 숲에서 새들이 맑은 목청으로 노래하는 것은 우리들 삶에 물기를 보태주는 가락이다.(’산방한담’ 중)
▲빈 마음, 그것을 무심이라고 한다. 빈 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 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 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 있는 것이다. (’물소리 바람소리’ 중)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 아름다움이다.(’버리고 떠나기’ 중)
▲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밖에 없는 존재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다는 것은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음이다.(’홀로 사는 즐거움’ 중)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산에는 꽃이 피네’ 중)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산에는 꽃이 피네’ 중)
▲내 소망은 단순하게 사는 일이다. 그리고 평범하게 사는 일이다. 느낌과 의지대로 자연스럽게 살고 싶다. 그 누구도, 내 삶을 대신해서 살아줄 수 없다. 나는 나답게 살고 싶다. (’오두막 편지’ 중)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 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이때이지 시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봄여름가을겨울’ 중)
▲길상사가 가난한 절이 되었으면 합니다. 요즘은 어떤 절이나 교회를 물을 것 없이 신앙인의 분수를 망각한 채 호사스럽게 치장하고 흥청거리는 것이 이 시대의 유행처럼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풍요 속에서는 사람이 병들기 쉽지만 맑은 가난은 우리에게 마음의 평화를 이루게 하고 올바른 정신을 지니게 합니다. 이 길상사가 가난한 절이면서 맑고 향기로운 도량이 되었으면 합니다. 불자들만이 아니라 누구나 부담없이 드나들면서 마음의 평안과 삶의 지혜를 나눌 수 있있으면 합니다.(1997년12월14일 길상사 창건 법문 중)
▲삶의 순간순간이 아름다운 마무리이며 새로운 시작이어야 한다. 아름다운 마무리는 지나간 모든 순간들과 기꺼이 작별하고 아직 오지 않은 순간들에 대해서는 미지 그대로 열어둔 채 지금 이 순간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아름다운 마무리는 낡은 생각, 낡은 습관을 미련 없이 떨쳐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마무리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아름다운 마무리’ 중)
▲행복할 때는 행복에 매달리지 말라. 불행할 때는 이를 피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받아들이라. 그러면서 자신의 삶을 순간순간 지켜보라. 맑은 정신으로 지켜보라. (’아름다운 마무리’ 중)
▲모든 것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소유하지 않아야 한다. 모든 것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되지 않아야 한다. 모든 것을 가지려면 어떤 것도 필요도 함 없이 그것을 가져야 한다. 버렸더라도 버렸다는 관념에서조차 벗어나라. 선한 일을 했다고 해서 그 일에 묶여있지 말라. 바람이 나뭇가지를 스치고 지나가듯 그렇게 지나가라. (’일기일회’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