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일과 혐한의 기원 - 한국의 선진국화를 위한 남은 과제
작년부터 한국에서는 대통령의 광복절 연설을 비롯하여 '한국은 선진국이 되었다'라는 담론이 한창이다. 경제지표를 보면 틀린 말이 아니다. 한국에 40년 넘게 살고 있는 필자도 그것을 실감한다. 그러나 선진국이란 개념은 경제지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것은 현대 중국의 현실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한국이 진정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대일 감정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에서 한류 붐이 일어나는 한편으로 혐한 무드도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이전엔 보지 못한 반한 데모까지 일어나는 실정이다. 이 모두가 한국의 존재감이 커졌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지금 일본에서 일어나는 반한이나 혐한은 그동안 한국에서 엄청나게 일어난 반일에 대한 응분의 대가도 있다
'역사에서 벗어나려는 일본', '역사에 매달리는 한국'
일본인 대다수는 발전한 한국에 대해 속죄의식으로 말미암은 양보와 배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역사에 매달리는 한국은 여전히 자신을 일본이 영원한 피해자로 규정짓는 역사 카드를 구사하면서 대일관계를 헤쳐 나가려고 한다.
불가사의한 한국인의 역사관 : '있었던 역사'가 '있어야 했던 역사'로 둔갑
미국 학자가 말해준다 - 지금까지 일어난 남북 간의 경제적 역전과 현저한 격차는 1960년대 이후 박정희 정권하에서 추진한 급속한 공업화에 의한 고도성장의 귀결이다.
개인보상을 스스로 거부한 한국! - 국교 정상화 교섭과정 중 보상문제에 대해 일본 측은 먼저 개인보상(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한국 측이 그것을 거부하고 정부의 일괄 수령을 요구하면서 그렇게 타결되었다. 한국정부는 청구권자금을 개인보상으로 각자에게 나눠주기보다는 정부가 일괄 수령하여 경제건설에 사용하는 쪽이 더욱 효과적일 거라고 판단했다
5억 달러의 청구권자금 사용 - 포항제철 건설, 경부고속도로 건설, 소양강 댐 축조 등 각종 프로젝트에 사용
1960년대 5억 달러의 규모 : 한국은 1인당 GNP 100달러에도 못 미치는 세계 최빈국의 하나였고, 일본 역시 외화보유고가 약 20억 달러에 불과했다
위안부문제는 일본에 대한 도덕적 우월감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으로선 좀처럼 버리지 못할 카드라 할 만하다
일본의 민간협력 베스트 3 : 인스턴트 라면, 야쿠르트, 롯데백화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