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기제)와 차례===
1. 기제와 차례란? 1) 날 :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차례는 명절 2) 시간 : 기제는 밤, 차례는 낮 3) 대상 : 기제는 돌아신 조상과 그 배우자만, 차례는 자기가 받드는 모든 조상. 4) 장소 : 기제는 장자손의 집, 차례는 사당이나 묘지이나 지금은 장자손 집에서도 함 5) 제수 : 기제에는 메(밥)와 갱(국)을 차리지만 차례에는 명절 음식을 올리는 예이므로 밥과 국을 차리지 않고, 명절 음식(설날-떡국, 한식-화전·쑥떡, 한가위-송편)을 올림. 기제에는 해(?:생선젓·조기)를 올리지만 차례에는 그 자리에 혜(醯·식혜 건더기)를 차림. 6) 지내는 절차 - 기제에는 술을 3번 올리지만 차례는 1번만 올린다. - 기제에는 잔반을 내려 술을 따라서 잔반을 올리지만 차례는 주전자를 들고 제상위의 잔반에 직접 술을 따른다. - 기제는 적을 술을 올릴 때 마다 바꾸어 올리지만, 차례는 3가지 적을 제상을 차릴 때에 함께 올린다. - 기제는 합문·계문을 하지만 차례는 않는다. - 기제에는 숙수(숭늉)를 올리지만 차례에는 올리지 않는다. - 기제에는 반드시 축문을 읽는데 차례에는 읽지 않는 사람도 많다. - 기제는 숫가락을 밥그릇에 꽂지만 한가위 차례는 밥이 없기 때문에 숟가락은 없고, 젓가락만 가지런히 골라서 시접 위에 올려 놓는다.
2.차례 지내는 법
제수 마련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식에 조상이 좋아했던 음식을 따로 준비하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음식을 뜻하는 전(煎), 고기 생선 두부 등을 기름에 지지거나 석쇠에 구워 꼬치에 꿴 적(炙) 등 품이 들어가는 음식은 차례 하루 전에 미리 마련해둔다. 파, 마늘, 고춧가루 같은 짙은 양념은 쓰지 않는 게 원칙이다.
차례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냅니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대상이 됩니다. 1) 차례 명칭 : 고례에는 차례란 말이 없고, 민속 명절 음식을 올린다고 했다. 그것을 차례의 유래는 확실한 기록은 안보이나 중국의 고례에 조상을 가장 간략하게 받드는 보름에 차 한잔만 올리는 것을 차례라 말하게 되었고, 따라서 우리가 조상을 가장 간략하게 받드는 것이 명절의 예이기 때문에 “차례”라 하게 된 것으로 믿어진다. 2) 차례 대상 :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3) 봉사 자손 : 장자손이 주인이되고 주인의 아내가 주부가 된다. 4) 차례 일시 : 고례에는 모든 명절에 차례를 지냈으나, 한때는 4대 명절인 설날, 한식, 단오, 한가위에만 지내더니 요사이에는 설날, 한식, 한가위(추석)에만 지낸다. 지내는 시간은 가묘에서 지낼 때는 아침 해뜨는 시간이고, 묘지에서 지낼 때는 그 날 중에 지낸다. 5) 차례장소 : 가묘(사당)를 모실때는 가묘에서 지내고, 성묘할때는 주과포만 묘지 앞에 차리고 성묘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그러면 중복 행사라해서 설날은 집에서만 지내고, 한식과 추석에는 반드시 성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묘지에서 지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형편에 따라 집에서 차례를 지낼 때도 차례를 지낸 후에 성묘를 한다. 성묘하기 조상의 묘지를 살피는 일을 성묘라 하는데 성묘의 시기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설날, 한식, 추석, 섣달 그믐에 성묘한다.
? 설날성묘 : 살아계신 조상에게 세배를 올리면서 돌아가신 조상이 묻힌 묘지에 세배를 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대개 정월 중에 성묘한다. ? 한식성묘 : 언 땅이 풀리고, 초목의 생장이 시작되는 때이다. 겨울 사이에는 눈 사태나 나지 않았을까, 땅이 녹으면서 무너지지는 않았을까 염려되어 반드시 성묘를 해야한다. 또 초목이 생장하는 때이므로 묘지를 수축하고, 옮기고, 돌을 세우고, 나무나 떼를 심는데 최상의 시기이므로 묘지를 손보는 사초를 한다. ? 한가위(추석)성묘 : 장마철이 지나고 초목의 생장이 멈추는 계절이다. 장마에 산사태로 무너지지 않았을까, 웃자란 잡초나 나뭇가지가 뒤덥지나 않았을까 염려되어 성묘를 한다. 또 웃자란 풀을 깎고, 나뭇 가지를 치는 일을 벌초라한다. (벌초는 한가위 전에 하기도 한다.) ? 섣달 그믐날의 성묘 : 묵은 해를 보내면서 조상에게 한 해의 가호(加護)하심에 대한 보은과 묵은 세배를 드리는 것이다.
추석차례상
음식 장만 '초보탈출' 프로젝트
올해 갓 결혼한 주부 이현주씨(30)는 다가오는 추석이 두렵다. 처음으로 친정이 아닌 시댁에서 명절을 맞는 것이기도 하고 할줄 아는 명절음식도 없기 때문이다. 주부경력 10년차 홍경옥, 백상아씨가 살림비법을 풀어낸 '돈되는 e짠순이 절약테크 따라잡기(영진닷컴)'에서 처음으로 명절을 맞는 신세대 주부들을 위해 음식장만 노하우를 공개했다.
▶초스피드 전 부치기 차례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전'. 그러나 주 재료 손질에 밀가루를 묻히고, 계란 옷까지 입혀 부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간다. 이럴 땐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합쳐보자. 소금간을 알맞게 한 후 계란을 노른자와 흰자가 잘 섞이도록 풀어준 다음, 계란의 1/2~1/3분량의 밀가루를 섞어준다. 여기에 동태 등의 재료를 담궜다가 달궈진 프라이팬에 부치면 끝난다.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 왕 간단 동그랑땡 각종 야채와 고기를 다져 만드는 동그랑땡은 전과 마찬가지로 한입크기로 떼어내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차례로 입혀 부쳐야 한다. 그러나 동그랑땡 반죽에 밀가루와 계란을 직접 넣어 섞은 뒤 숟가락으로 한 수저씩 떠서 달궈진 프라이팬에 지지면 조리과정과 시간을 30% 절약할 수 있다. 섞인 계란과 밀가루는 다진 고기와 야채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 열명 일손 안 부러운 부채뒤집개 명절음식은 맛도 맛이지만 모양도 중요하다. 명절에 많이 먹는 전과 동그랑땡, 부침개 등은 뒤집어 익힐 때 특히 조심해야 한다. 기존 조리기구를 이용해 뒤집다 보면 시간도 많이 걸릴뿐더러 자칫 속도가 늦어 골고루 익히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부채를 이용한 넓은 뒤집개를 사용해보자. 부채에 호일을 감싸기만 하면 끝. 한꺼번에 많은 양을 뒤집을 수 있어 시간절약뿐 아니라 모양유지에도 그만이다.
▶ 기름기를 몽땅 흡수해버리는 신문지 앞치마 하루 종일 음식장만을 하다보면 기름이 여기저기 튀어 옷을 버리기 일쑤다. 앞치마를 해도 기름때가 잘 빠지지 않아 얼룩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럴 때 기름기 흡수가 뛰어난 신문지 앞치마를 이용하면 좋다. 신문지 앞치마는 직사각형 신문지를 긴 쪽으로 1/4접고, 가로로 반 접는다.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잘라내고 구멍난 부위에 머리를 넣어 착용하면 된다. 신문지의 면적만큼 몸을 커버해줘 옷과 몸에 기름이 튀지 않는다. 신문지의 휘발성 냄새로 옷에 기름냄새도 배지 않는다.
지방쓰기
한문으로 지방을 쓸 때에는 여러 가지 규칙이 있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에 벼슬이 없으면 학생(學生)을 쓰고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쓴다.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살아생전에는 부라 하고 사후에는 고라 한다.
여자의 경우는 유인(孺人)이라 쓰며 그 다음에 본관성씨를 쓰게 된다. 여자지방의 비(?)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모라 하며 사후에는 비라 한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의 지방을 모실 때에는 왼쪽에 남자 지방을, 가운데에 본비의 지방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모시게 된다.
지방쓰기 예시
- 평민으로 사신 부(父)의 지방 :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 평민으로 사신 모(母)의 지방 : 현비유인000씨신위(顯비孺人OOOO씨 神位)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父)의 지방 : 현조고학생부군신위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母)의 지방 : 현조비유인000씨신위
차례상 차리기
다음은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하는 차례상 차리는 법입니다.
차례상 차리기
다음은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하는 차례상 차리는 법입니다.
☞ 홍동백서 상차림 보기
과일을 놓는 줄 (그림의 1번 줄)
조율이시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
반찬을 놓는 줄(그림의 2번 줄)
좌포우혜라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탕을 놓는 줄(그림의 3번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최근들어 한가지 탕으로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적과 전을 놓는 줄(그림의 4번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번철에 지진 음식(부침개).
술잔과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그림의 5번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그림은 양위를 모시는 모습.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
향로 향합등
향상에는 축문, 향로, 향합을 올려 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술)등을 놓는다.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
좌포우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어동육서; 동쪽(앞에서 보아 우측)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를 놓는다.
동두서미;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린다.(조율시이도가능)
차례음식 조리할 때
조리하기전 몸 가짐을 단정히 하여 정갈하게 조리를 합니다.
차례에 쓰지 않는 음식;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
식혜,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합니다.
설 차례는 메 대신 떡국을, 추석차례는 메 대신 송편을 올립니다.
차례 지내는 순서
진설(進設)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린다.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붙인다.
(지방쓰기 참조)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살라 향로에 꽂고 재배한다. 왼쪽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른다.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른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한다. 제주는 재배한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 하나 원래는 4배였다.
진찬(進饌)
주부가 설 차례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을 제상에 올린다.
헌다(獻茶)
왼쪽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또는 茶)을 받아, 먼조상 남자조상 순으로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한번 만 올린다.
계반개(啓飯蓋)
주부나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린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다. 가정의례준칙에서는 제례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있다.
삽시(揷匙)
주부나 집사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는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는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주는 재배한다.
사신(辭神)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는 동안(수분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주부가 약한 기침을 하고 숟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담그고 젓가락은 시접아래 내려놓고 모두가 재배한다. 신위는 제자리에 모시고 지방인 경우에는 향로위에서 사른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것으로 차례는 끝난다. | 추석음식의 의미
대 추
왕이 될만한 후손이 나오라는 뜻이다. 대추가 지니고 있는 깊은 의미를 아는 집안은 ("왕" "도인" "성현")이 나올 수 있다. 대추는 태양이 속해있는 대 은하계 모형을 나타낸 것이므로 전설 상에 있어서 으뜸이다.
밤
밤은 三 정승이 나오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밤은 3알이 한 밤송이가 된다. 가운데 있는 밤은 "영의정" 오른쪽에 있는 밤은 "우의정" 좌측에 있는 밤은 "좌의정"이라는 의미가 되며 밤송이 1개(1석)속에 3톨(3극)에는 각기 특유의 기질을 가지는 5기가 들어 있으며, 바로 그 五 氣는 인간의 성질을 나타낸다.
첫 째: 가시는 내유 외강의 성질(추진력) 둘 째: 껍질은 단단하고 강한 기질(방어력)
세 째: 껍질 속의 털은 포근함을 나타낸다.(보호력) 네 째: 속 껍질의 떫은맛은 인생살이의 떫은 맛(인내력)
다섯째: 속 알의 고소한 맛은 깨달음의 참 맛을 나타낸다. (중화,깨달음)
감
감은 씨가 6개로 六조 판서의 서열을 의미한다. 집안에 육조판서 감이 나오는 정도를 점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씨가 6개인 것은 천부경의六생 七 八 九운의육감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우리 몸의 물리적 몸의 작용 즉 오감세계를 벗어난 영적인 의미를 말한다.
사 과
사과는 자비, 사랑을 뜻하며 모양이 하트형으로 "사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집안의 화목과사랑의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과의 모양은 우주의 五기가 생성되어 돌아가는 모형이며 사랑하는 마음(+플러스) 발상 등이 영적 성장을 하는 의미이다.
배
배는 색깔이 황금색으로 깨달음 집안의 정신적인 성장정도를 알아보는 측도이다. 배는 수분이 많으며 이 수분은 지혜를 의미한다. 지혜로운 삶을 살아서 깨달음의 정신으로 가라는 뜻으로 황금색은 깨달음의 색 오행의 土에 해당하고 숫자로는 5,10, 土, 중앙, 중용, 완성의 뜻이 있다.
호 두
우리의 뇌를 의미한다. 호두는 지혜가 발달되고 영특하며
뛰어난 자손이 되라는 의미이다.
머리가 영특해야 깨달음에 이르고 깨달음에 밝아야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 식
다식은 우주의 五 行을 의미하고 그 다식의 문양은
五 氣의 작용을 도식화 시킨 것으로 가정의 가족간
합심. 이별, 파괴, 결합, 재물, 후손의 출산 등을 의미하고
이것이 작용하는 의미를 알아 보고자 꿀물에 재료를
버무려 가지고 다식을 찍는데 그때 잘 만들어 지는 것과
부서지는 것을 가지고 한해동안 집안의 운세를
점치는데 사용하게 했던 것이다.
은 행
은행은 비행접시 우주선을 의미한다. 앞에서 말한 대로 머리가 영특하고 지혜로우면 그들이
과학을 발달 시키게 되고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세계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는 인류(지구)역사를 알려
주고자 했던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포 도
조직을 의미한다. 한송이에 많은 열매 등이 달려
있어서 이것은 조직을 뜻한다. 집단, 조직, 국가,등을 의미하며 이런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정비가 잘된 많은 조직들이 있어야 된다.
(각 과일들도 각기 뜻이 있다.) 첫 번째 과일 줄이 개인의 성장과 조직구성을 의미한다면,
두번째 줄은 운동으로 문화를 바꾸어가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시금치
시금치는 道 를 구하는 마음을 지금 이 시간부터
주저하지 말고 행하라는 의미 입니다.
도라지
도(道)를 알아라는 뜻이다. 도를 알지 -> 돌아지 -> 도라지道(도,도) 我(나,아)
知(알,지)(나를 알아가는 도를 말함)
고사리가 일이라면 도라지는 일의 목적을 나타낸다. 도를 알지 운동이다. (도를 알지=나를 알아가는 도)
콩나물
콩은 깨달음을 의미한다. 한알의 콩속에 두쪽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도에는 음과
양이 있다는 뜻이고 이 콩에서 발이 나온 것은 도를
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콩나물에 잔발이 많이
달리면 道를 구하는 일심에서 다른 마음을 먹으면
안된다는 의미에서 콩나물에 잔발을 다듬어 주는 것이며
또한 콩나물에서 콩껍질을 벋기는 이유는 도의 본체가
어떻게 되어 있나를 살펴보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고사리
이치에 닿는 높은 사고의식으로 일을 하라는 의미이다. 고사리는 하늘로 뻗어가는 기운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손의 모습과 흡사하다. 그래서,
고사리손 즉 일의 시작을 의미한다.
고사리(高事理)는 높은 이치가 담긴 일을 한다는 뜻이며
고사리의 모양은 하늘 세계로 기운이 피어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듯이 옛날 유물 또는 벽화에서 보아도
고사리 모양 문형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氣의 발생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숙주나물
숙주나물은 음식이 빨리 변하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道를 구하는 마음이 숙주나물처럼 변할까 염려되어
경각심을 주기 위함입니다. 하늘 마음은 일시적이고 한순간
생각하는 작심에 불과할까 두려워 경계의
마음을 전해주는 것입니다.
도(道)는 일생을 바쳐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수많은
겁생을 통해 구해도 구해지기 힘들 정도의
인생사의 최고의 가치 기준입니다.
명 태
인류 진화를 의미함. (지구 최초의 생명은 바다에서 시작) 우리의 영은 하늘에서 왔고 우리의 육체는 땅에서 왔으며
땅에서 온 이 육체는 지구 최초에 기에서 미생물이 발전,
진화하여 어류, 육류로 진화 인간의 몸을 형성해
나왔음을 알려주는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문 어
도의 원리를 알려주는 것으로 깨달음 원을 닮은 머리와
문어발 10개는 천기의 흐름의 종류로서
천(天)간(干) 10干을 의미한다.
발에 달린 별 모양의 접착구(빨판)는 하늘의 별들을
의미하며 문어 발을 칼로 오려주는 것은 기운의 흐름을
표현할 문양이며 구름 연기 같은 기운이
피어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오징어
원방각의 원리를 설명한다. (로켓을 의미함) 살아서 움직이고 먹물을 쏘면서 도망가는 오징어는
마치 로켓발사의 모습이며 발에 붙은
접착구(빨판) 역시 별을 의미한다.
탕 (天,地,人)
3탕을 많이 쓴다. 탕은 기본 되는 三탕 또는 五탕을
두며 삼탕은 天, 地, 人을 의미하고 五탕은 오행(五行)을
의미한다. 옛말에 빈곤함에 제사를 못 모실 경우라
하더라도 삼탕은 놓고 제를 올리라. 그래도
어려우면 정한수라도 떠올리라 하였다.
水는 하늘의 생명수이고 우주 근원의 초기 생명이다. 탕은 나열의 어, 육, 체로 되는데 우리 육체가 어류에서
진화하여 기류동물로 진화 발전하고, 농법을 이용하고
정착 농경 생활이 발달해 왔다는 간편한 우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떡
떡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다. 먼저 설 명절의 대표적인
가래떡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가래떡이란 혼의 성장세월의 의미이며 혼이란 뿌연색을
지니게 되기 때문에 혼백을 모시는 지방을 쓸때에도
뿌연 문종이에 쓰듯이 이 색깔과 유사한 색깔이 쌀(곡기)이며
곡기란(기운을 저장하고 있다)라는 의미다. 우리는
흔히 허기진다라는 말을 많이 하듯이 허기란 기가
허하다 기가 없다라는 의미인데 기가 비어서 허하면
곡기로 배를 채워야 기운이 되살아 난다. 가래떡은
혼의 세월이 긴 세월을 통해 성장한다는 의미를
전하기 위해 가래떡을 길게 뽑는 것이다. 세월 흐름을 하루 또는 한해를 표현한 것이 가래떡을
썰어서 만든 떡이며 이 떡꾹을 먹게 되면 나이를 먹는다고
하는데 나이란 세월을 뜻하는 것으로
그 세월은 혼의 성장 세월이다.
====설차례상====
제주가 차례상(신위를 모시는 쪽)을 바라보아 앞쪽이 북, 오른 쪽을 동, 왼쪽을 서로 한다. 지역이나 집안의 전통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보통 차례상은 5줄로 진설하는데, 제주 앞쪽에서부터 과일, 반찬, 탕, 적과 전, 술잔과(앞에서 보아 왼쪽에) 명절음식을 놓는다.
1번줄 : 술잔과 명절음식을 놓는 줄로 앞에서 볼 때 명절 음식은 오른쪽에 술잔은 왼쪽에 올린다.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은 단위제 (한분을 모신)인 경우에는 앞에서 볼때 왼쪽에 위치에 놓으며, 양위 합제(두분을 모신)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놓는다. 신위가 있는 쪽부터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 반서갱동(飯西羹東)의 원칙에 따라 놓는다. 설에는 일반 제상의 메(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2번줄 : 적과 전을 놓는 줄로 육적(고기류 적), 어적(생선류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어동육서”의 원칙에 따라 생선은 오른쪽, 고기는 왼쪽에 놓는다. 생선은 머리가 오른쪽으로 배가 신위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적은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 양념하여 구은 음식이며, 전은 밀가루를 묻혀서 지진 음식(부침개)를 말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의 원칙에 따라 적과 전을 놓는다.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동쪽(오른쪽)으로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의 원칙이다. 3번줄 : 탕을 놓는 줄로 보통 육탕(육류), 소탕(두부와 채소류), 어탕(어패류)의 순으로 올리며 요즘에는 한 가지 탕으로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4번줄 : 반찬을 놓는 줄로 “좌포우혜”라 하여 왼쪽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오른쪽 끝에는 식혜류(수정과)를 놓는다. 그 중간에 삼색 나물을 놓는데 푸른색은 시금치·쑥갓, 갈색은 고사리·고비나물, 흰색은 무·숙주·도라지 나물 등이 적당하며, 간장과 침채(동치미) 등은 그 다음에 올린다 어포를 쓸 때는 생선 배가 아래로 향하게 담는다. 가운데는 숙채(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를 둔다. 간장도 가운데 놓는다. 식혜는 건더기만 담아야 한다. 5번줄 : 과일을 놓는 줄로 “조율이시”라 하여 동쪽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거나, “홍동백서”라 하여 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은 순서가 없으나, 나무과일, 넝쿨 과일 순으로 놓는다. 과일 줄의 끝이나 가운데에 과자류를 놓는다. 고례에는 어떤 예서에도 과실별 위치가 명시 되지 않았는데 이유는 계절과 지방에 따라 과일이 다르기 때문이다. 과일은 반드시 홀수로 올린다.
*차례상에 올릴 음식 ① 밥(반 飯)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습니다. 예전에는 밥 외에도 국수를 올렸으나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② 국(갱 羹) 신위의 수대로 대접 또는 주발을 담고 뚜껑을 덮습니다. 재료는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입니다.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은 쓰지 않습니다. ③ 떡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도 껍질을 빗겨 내어 가급적이면 흰 빛깔이 되게 합니다. ④ 탕(탕 湯) 오늘날의 찌게라고 할 수 있다. 쇠고기, 생선, 닭고기 중 한가지를 택하여 조리하나 한 번에 여러 재료를 넣고 끓여 나누어 담아도 무방합니다. 양념에 파, 마늘, 고추 등은 쓰지 않습니다. 탕의 수는 1, 3, 5로 하고, 탕기에 담을 때는 건더기만 추려 담습니다. ⑤ 전(전 煎)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육전과 어전 두 종류를 준비합니다. 옛날에는 적과 함께 계산하여 그릇 수를 홀수로 만들기 위해 전은 반드시 짝수로 만들었습니다. 전과 적을 합하여 홀수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재료가 고기, 생선 등 천산(天産)이기 때문에 양수인 홀수에 맞춘 것입니다. 육전은 쇠고기를 잘게 썰거나 다져서 둥글게 만들어 계란을 묻혀 기름에 부칩니다. 어전은 생선을 저며 계란에 무치고 기름에 부칩니다. ⑥ 적(적 炙) 적은 구이로서 제수 중 특별식에 속합니다. 옛날에는 육적, 어적, 계적의 3 적을 세 번의 술잔을 올릴 때마다 그때 그때 바꾸어 구워서 올렸습니다. 오늘날에는 한 가지만 준비해도 무방합니다. 육적은 쇠고기를 2~3등분하여 길게 썰어 소금구이하듯이 익히고, 어적은 생선 2~3마리를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익힙니다. 이때 머리는 동쪽으로 하고 배는 신위 쪽으로 가게 담습니다. ⑦ 나물(숙채 熟菜) 익힌 채소로 한 접시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 등 3색 나물을 곁들여 담거나 한 접시씩 따로 담습니다. ⑧ 김치(침채 沈菜) 희게 담근 백김치, 나박김치 등을 씁니다. 고춧가루를 쓰지 않습니다. ⑨ 과일류 전통적으로 제사에 쓰는 과일은 대추, 밤, 감(홍시 또는 곶감), 배이므로, 이것들은 꼭 준비하고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나는 사과, 수박, 참외, 석류, 귤 등의 과일을 1~2종 준비합니다. 옛날에는 과일이 지산(地産)이라 하여 그릇 수를 음수인 짝수로 하였습니다. ⑩ 포(포 脯) 보통 북어포를 사용합니다. -축문, 향로, 향합은 차례상 앞에 따로 마련한 향상위에 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술) 등을 놓는다. 차례는 제사와 달리 술을 한번만 올린다.
*설날?한가위 차례 지내는 순서 ① 묘지의 앞, 집에서는 깨끗한 곳에 제의 기구를 올려 놓는다.(병풍, 의자, 제상, 향상, 술상, 촛대, 모사, 자리) ② 자손들이 정한 위치에 평상시의 공수를 하고 선다. ③ 제주수축(題主修祝) : 지방은 모든 조상을 내외분씩 따로 쓰고, 축문은 한 장으로 쓰는데 봉사자는 제일 웃조상과의 관계를 쓰고, 차례 대상은 웃조상부터 차례로 쓴다. ④ 설위진기(設位陳器) : 4대 봉사의 경우 신위쪽을 보아 왼쪽부터 고조고·비, 증조고·비, 조고·비, 고·비 순으로 배설한다. ⑤ 식어도 상관 없는 음식을 제상위에 차린다. (과실, 포, 식혜, 나물, 김치, 간장, 시접, 술잔, 식초) ⑥ 신위(지방)를 의자위에 모신다.(묘지에서는 필요 없다.) ⑦ 강신분향(降神焚香) '신주라면 먼저 참신을하고 다음에 강신을 한다.'고 했으나, 참신을 먼저 했으면 그 다음에 강신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참신을 먼저하고도 강신을 하는 고례의 제도로 보아 먼저하는 참신은 신주를 뵙는 것이지 조상을 뵙는 것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당연히 강신을 먼저해야 한다. · 분향은 향긋한 향을 태워 하늘에 계실지도 모르는 조상의 신령이 향기를 타고 오시라는 상징적인 행사이다. · 주인이 향안 앞에 북향해 읍을하고, 꿇어 앉는다. ·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열고, 향합 남쪽에 놓는다. ·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에 넣어 태우기를 3번하고,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덮고 오른손으로 향합 뚜껑을 덮는다. · 주인은 일어나서 한발 뒤로 물러나 읍하고 두 번 절한다. ⑧ 강신노주(降神?酒) : 기제와 같으나 웃대 조상부터 차례로 모신다. 뇌주는 향그러운 술을 땅바닥에 부어 적셔서 지하에 계실지도 모를 조상의 혼백을 모시는 절차이다. ? 동집사는 주가 앞으로 가서 술병의 뚜껑을 열고 행주로 술병 주둥이를 깨끗이 닦은 다음 주전자에 술을 붓는다. (술을 따르기 편한 술병이면 주전자가 필요 없다.) ? 동집사는 주전자를 두 손으로 받쳐 들고 주인의 오른쪽 앞에서 서쪽을 향해 선다. ? 서집사는 소탁 앞으로 가서 강신잔반을 두 손으로 받쳐들고 주인의 왼쪽 앞에서 동쪽을 향해 선다. ? 주인은 읍하고, 주인과 두 집사가 함께 꿇어 앉는다. ? 서집사는 강신 잔반을 주인에게 주고 주인은 두 손으로 강신 잔반을 받아서 받쳐 든다. ? 동집사는 주인이 든 강신잔반에 술을 따른다. ? 주인은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집어 모사에 서쪽에서 동족으로 3번에 나누어 술을 모두 지운다. ? 주인은 잔을 잔대 위에 올려 놓고, 잔반을 서집사에게 주고, 서집사는 두손으로 받는다. ? 주인과 두 집사가 함께 일어 난다. ? 동집사는 강신잔반과 주전자를 원자리에 놓고 제자리로 물러난다. ? 주인은 한 발 물러나서 읍하고,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물러난다. ⑩ 참신(參神) : 주인?주부 이하 모든 참례자가 조상에게 뵙는 절차이다. 여러 조상을 모시더라도 남자는 재배, 여자 4배를 한 번만 하면 모든 조상에게 하는 것이 된다.⑪ 뜨겁게 먹어야 하는 음식을 차린다. 모든 제수를 올린다. ⑫ 진찬(進饌) : 적을 적의 자리에 서쪽부터 육적, 계적, 어적·적소금의 순서로 동시에 차리고, 기제에서 메와 갱을 올리는 자리에 서쪽에 고위 떡국, 동쪽에 비위 떡국을 올리는 것이 다르다. ⑬ 헌주(獻酒) : 주인이 향안 앞에 나가 읍하고 주전자를 들고 웃대 고위와 비위의 잔반부터 아랫대까지 제상 위의 잔반에 차례대로 모두 술을 가득 따르고 재배한다. ⑭ 삽시정저(揷匙正箸) : 주부가 향안 앞에 나가 몸을 굽혀 예를하고 웃대 조상부터 차례대로 계반개를하고 고위 떡국에 숟가락을 꽂아 담그고 시접위에 젓가락을 걸치고 이어서 비위도 그렇게 한 다음 향안 앞에서 4배한다. ⑮ 축문을 읽으려면 이 때 읽는다. ? 시립(侍立) : 주인 이하 모든 참례자가 7~8분간 공수하고 공손히 서 있는다. ? 낙시저(落匙著) : 주부가 삽시 정저의 순서로 낙시저하고 집사는 모든 뚜껑을 덥는다. ? 주부는 제상의 서쪽으로 가서 고위에서 숟가락을 뽑아 시접에 담고 고위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담는다. ? 이어서 제상의 동쪽으로 옮겨 비위의 시저도 그렇게 한다. ? 이대 시저로 시접바닥을 굴르거나 밥을 떠서 숙수(숭늉)에 말거나 젓가락을 다른 제수위에 올려 놓는 일은 하지 않는다. ? 사신(辭神) : 주인 이하 남자는 재배, 주부 이하 여자는 4배한다. ? 납주(納主) : 신주는 봉주할 때와 반대로 가묘에 모신다. ? 분축(焚祝) : 독축자는 지방과 축문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21) 철찬 (撤饌) : 제상 위의 제수를 내린다. (22) 음복 (飮福) : 참례한 자손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23) 철기구(撤器具) : 모든 제의 기구를 원자리로 치운다.
3. 제사 지내는 법 *준비하기. 1) 분향강신(焚香降神).향을 피우고 신께서 내려오시기를 기다린다. (신명께 고함) 2) 참신(參神),신께서 오셨다는 뜻이니 “어서 오십시오.” 인사 하고 술을 조금씩 따라 향을 쏘인 후 퇴주그릇에 붓고 절을 한다. (이것은 조상님에게 술을 올린다는 것보다는 천지신명께 “조상님의 제를 올리고자하오니 굽어 살피소서”라는 의식인 것이다. 산에 가서 묘제를 지낼 때에도 먼저 산신께 제를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어서 오십시오. 인사하기 3) 독축(讀祝), 축을 읽는다는 뜻이다. 유세차 모월모일 효손OO 감소고우, 현조고학생부군 현조비유인 충주최씨 維歲次 某月某日 孝孫OO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孺人 忠州崔氏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모월모일 효성스런 손자00은 할아버님 할머님영전에 감히 고합니다. 해가 바뀌어 제삿날이 돌아오니 하늘과 같은 은혜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 드리오니 드시옵소서. 인 것이다. (요즘은 독축을 하지 않는다. 神이라 다 아시고 와 계시는데 구태여 “오셔서 드십시오.”라고 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 술대접 4) 초헌(初獻).첫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제주가 잔을 올리고 절을 하고. 5) 아헌(亞獻).두번째 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둘째가 올리고 절을 하고. 6) 종헌(終獻).마지막 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셋째가 잔을 올리고 절을 하고,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천지인(天地人)의 3을 이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따라서 조상님에게 술을 올리는데도 3잔을 올림으로서 완전히 올렸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7) 첨작(添酌).첨부해서 더 올린다는 뜻이니, 자손들 모두가 술을 조금씩 올려 철철 넘치게 하고 절을 하고 *식사대접 8) 계반삽시(啓飯揷匙).밥그릇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뜻이니, 밥그릇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고 절을 하고, 9) 합문(闔門).문을 닫는다는 뜻이니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모두가 나가고 문을 닫는 것이다. (나가있는 시간은 수저를 9번 드시는 시간인데 이것도 3을 3번 더한 뜻으로서 많이 잡수실 때까지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5. 물, 커피 10) 계문헌다(啓門獻茶).문을 열고 들어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니, 방에 들어가 탕은 내가고 물을 올리는 것인데, 이때에도 “물에 말아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절을 하고. 6. 작별인사 11) 사신(辭神).신을 보낸다는 뜻이니 “안녕히 가십시오.” 속 인사를 하고 지방을 불사르고 12) 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는 뜻이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고. 13) 철상음복(撤床飮福).제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는 뜻이니, 모두가 음식을 먹음으로서 복을 받는 것이다
* 술잔을 향불 위에서 돌리는 것도 향을 바르게 많이 쏘인다는 뜻에서 正方向(시계방향)으로 3번 돌리는 것이 좋다. 지방에 따라 제사를 지낸 후, 제사 음식을 조금씩 덜어다 대문밖에 내놓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도 잘못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초상집에서 저승사자를 위해 내어놓는 것인데, 제삿날에나 차례 날에는 저승사자가 따라오지 않기 때문이다.
* 지방 쓰는 법. 조상님들 한분 한분을 돌아가신 날밤에 따로따로 모실 때에는 각기 다르게 현 고조 학생부군 신위나, 顯 高祖 學生府君 神位라는 식으로 써야했지만, 설날과 추석 그리고 문중대제와 같이 전 조상님을 한 번에 모셔 놓고 지낼 때에는 모두 현 조상님 여러분신위 라고 쓰던가. 顯 先代 全祖上님 神位 라고 쓰면 되는 것이고, 부모님 제삿날에도 현 아버님 어머님 신위라고 쓰면 되는 것이다. (단, 야외에서 제사를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지 않는다.)
4. 합설과 각설에 대하여 국조오례의 진설도는 考(남자조상), 비(여자조상)위를 한 상에 차리는 것이 현대의 진설법과 같으나, 신분에 따라 다르고, 율곡 제의초, 사계의 가례집람, 도암의 사례편람 등 진설각설을 정리해 보면 현대 감각에 맞는 통일된 진설법이 요구 된다. 그러려면 먼저 문제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 합설과 각설 : 고례에는 고비각설(考비各設)이었으나, 현대는 모두 고비합설(合設)을 한다. 그러려면 무엇을 따로 차리고 어떤 것을 함께 담을 것인가를 정한다. ● 각설(各設) : 산 사람도 따로 담아서 먹는 메(밥). 갱(국). 술. 국수. 떡. 숭늉은 따로 담아야 할 것이다. ● 합설(合設) : 반찬과 과실은 한 접시에 담고, 수저도 시저거중(匙箸居中)의 원칙을 지켜 한 접시에 신위수 대로 시저를 담아 신위 앞의 중앙에 놓는다.
5. 기타(축문 등)
[문] 차례 등 제사에서 4대조까지 합설 제향하려면 축문식과 봉사손 문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답] 윗 조상부터 차례로 내외분씩 열기하여 부모가 끝이 되게 쓰고, 봉사손은‘孝玄孫(효현손)○○敢昭告于(감소고우)로 쓰면 됩니다. -윗글 내용을 보면서 의아한게 -1 차례에서는 합설 가능하나 축문이 없으며 -2 제사시 축문은 있으나 각기 기일날 모시는바 합설이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귀하께서 의아하게 생각하신 점에 대해 소견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1. 요사이 명절의 차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원래는 축문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다만 현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사람이 많을 따름일 뿐이다. 차례 축문(한글 서식)을 예로들면, "이제 단군기원 2004년 설날에 큰아들 ㅇㅇ향교 ㅇㅇ갑돌은 아버님 ㅇㅇ ㅇㅇ어른과 어머님 부인 ㅇㅇ ㅇ씨 어른 산소에 감히 밝혀 아뢰 나이다. 계절이 바뀌어 이미 햇수를 고쳤으니 산소를 우러러 뵈오며 슬픈마음 하늘과 같아 끝간데를 모르겠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니 어여삐 여기사 흠향하옵소서"
기일 제사의 축문을 참고해 사실대로 격에 맞게쓰되, 위의 예시는 설날에 묘지에서 지내는 경우 이므로 집에서 지낼 때에는 "설날"을 "한식" 또는 "한가위" 등으로 고치면 될 것이고 "어른 산소"에를 집에서 위패를 모시고 지낼 때는 "앞에"라고 쓸 것이며, "이미 햇수를 고쳤으니"는 설날의 경우 이므로 한식에는 "이미 비와 이슬이 내렸으니"로 단오에는"만물이 자라 울창하니" 한가위에는 "이미 찬이슬이 내렸으니"라 쓰면 될 것이다. "산소를 우러러 뵈오며" 묘지의 경우므로, 집에서는"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새롭게"로 "슬픈마음 -끝간데를 모르겠나이다"는 부모의 경우 이므로 조부모 이상에게는 "기리는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로 아내에게는" 슬픈마음 이기지 못하나이다." 아랫사람에게는"가슴 아픔을 이기지 못한다.로 "공경...받들어 올리니"는 웃어른 에게만 쓰고 아내와 아랫 사람에게는 "마음을 다해 상을 차렸으니"라고 쓰며, "흠향 하옵소서"는 웃어른께만 쓰고, 아내에게는 "흠향하소서" 아랫사람에게는"흠향하라" "어여삐 여기사"를 배우자나 아랫 사람에게는 "두루"라 쓰면 될것이다. |
첫댓글 좋은 정보입니다.
저희집은 초짜들이라 매번 헥갈렸는데 좋은자료 잘 보고 따라할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