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는 검은 새인가’
총명한 선비에게 기이하게 생각하는 것이 없으나 무식한 사람에게는 의심스러운 것이 많다. 그야말로 견문이 적으면 괴이하게 여김이 많다는 격이다.
무릇 총명한 선비라고 해서 어찌 일일이 물건을 제 눈으로 봐야만 아는 것이라! 한 가지를 들으면 눈에 열가지가 형상화되고 열 가지를 보면 마음에는 백 가지가 설정되어 천 가지 괴이한 것과 만 가지 신기로운 것에 대해, 그 물건의 본질에 충실하여 객관적으로 보려 하되 주관을 섞지 않는다. 그런 까닭으로 마음에 여유가 있어서 응수를 무궁무진하게 할 수 있다.
본 것이 적은 사람은 해오라기를 가지고 까마귀를 비웃고 물오리를 들어서 핵의 자태를 위태롭게 여긴다. 그 사물 자체는 전혀 괴이하다 생각하지 않는데 자기 혼자 성을 내어 꾸짖으며 한 가지라도 제 소견과 틀려도 천하 만물을 다 부정하려 든다.
아아! 저 까마귀를 바라보자. 그 날개보다 더 검은 색깔도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햇빛이 언뜻 흐릿하게 비치면 얕은 황금빛이 돌고 다시 햇빛이 빛나면 연한 녹색으로 되며 햇빛에 비추어보면 밝은빛으로 솟구치기도 한다. 눈이 아물아물해지면 비취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푸른 까마귀라고 불러도 옳으며 붉은 까마귀라고 불러도 역시 옳을 것이다.
그 사물에는 애초부터 정해진 색깔이 없건만 그것을 보는 내 가 눈으로 색깔을 먼저 결정하고 있다. 어찌 눈으로 색깔을 결정하는 것 뿐이랴! 심지어 보지도 않고 미리 마음속으로 결정해버리기도 한다.
아아! 까마귀 검은 색깔에다 봉쇄시키는 것 쯤이야 그래도 괜찮다. 이제는 천하의 모든 빛깔을 까마귀의 검은 색 하나에 봉쇄시키려 한다.
까마귀가 과연 검은색으로 보이긴 하지만 소위 푸른 빛, 붉은 빛을 띤다는 것은 바로 검은 색 가운데 푸르고 붉은 빛이 난다는 사실을 의미함을 그 누가 알고 있으랴! 검은 색을 어둡다고 보는 사람은 까마귀만 모를 뿐 아니라 검은 색조차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이래서 그러한가! 물은 검붉기 때문에 능히 비출 수 있고, 옻칠은 까맣기 때문에 능히 비꾸어 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색깔이 있는 것치고 광채가 없는 것은 없고, 형체가 있는 것치고 맵시가 없는 것이 없다.
아름다운 여인을 관찰할 수 있다면 시(詩)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여인의 고개 숙인 모습에서 그녀가 부끄러워하고 있음을 보고, 턱을 괸 모습에서 그녀가 원망하고 있음을 보고, 눈썹을 찡그린 모습에서 그녀가 수심에 차 있음을 보고, 난간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고 그녀가 누구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고, 파초 잎사귀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고 그녀가 누구를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그녀가 제(齊)를 올리는 중처럼 가만히 서 있지 않고 진흙 소상처럼 우두커니 앉아 있지 않는다고 책망한다면 이는 양귀비에게 치통을 앓는다고 꾸짖고, 전국시대의 미인 번희에게 쪽을 찌지 말라고 금하는 꼴이며, 미인의 맵시 있는 걸음걸이를 요망하다고 나무라고, 춤추는 자태를 경망하다고 질책하는 격이다.
세상에 총명한 선비는 적고 무식한 사람들은 많으니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잠자코 있는 것이 옳으리라. 그런데도 말을 거치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어허! 연암 노인이 연상각(煙湘閣)에서 쓰노라.
-菱洋詩集序(능양시집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