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 16:5]
또 저의 교회에게도 문안하라 나의 사랑하는 에베네도에게 문안하라 저는 아시아에서 그리스도께 처음 익은 열매니라..."
저의 교회 - '저의 교회'는 브리스가와 아굴라의 로마 가정 교회를 말한 것으로 보인다. 바울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독립된 교회 건물보다는 성도들의 가정집을 정규적인 회합(會合)의 장소로 사용한 것이 보편적이었으며 몇 개의 가정 교회들이 모여 하나의 지역 교회를 이루었다. 여기서 브리스가와 아굴라의 가정 교회로 로마의 전체 교회에 포함된 하나의 교회에 불과하다.
성경에 나오는 초대 교회에서 대표적인 가정 교회는 마가의 다락방, 빌립보에 있는 루디아의 집, 골로새에 있는 빌레몬의 집 , 라오디게아에 있는 눔바의 집등이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를 중심한 신앙과 참된 형제애로 이루어진 가정 교회는 초대 교회의 신앙과 생활상을 알려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가 된다.
에배네도 - 이것은 '칭찬을 받을 만한'이라는 뜻을 가진다. 그는 바울이 제3차 전도 여행 중 상업과 종교의 중심지인 에베소를 중심으로 아시아 지방에서 전도하는 과정에서 얻은 최초의 이방인 회심자로 여겨진다. 그는 브리스가와 아굴라와 함께 바울의 전도를 받아 회심한 자였다.그는 브리스가와 아굴라와 함께 바울의 전도를 받아 회심한 자였다..
후 자연스럽게 브리스가와 아굴라의 가정 교회에 속해 함께 일을 도우면서 에베소에서 로마까지 복음의 동역자로 함께 수고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에서...열매니라 - '에배네도'를 가리켜 '아시아에서 처음 익은 열매'(아파르케 테스 아시아스)라고 소개하고 있는 것은 뒤이어 많은 사람의 열매가 맺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암시한다.
또한 바울은 그를 가리켜 '사랑하는'아가페톤이라는 수식어를 쓰고 있는데 이것은 에배네도가 아시아의 첫 개종자로서 주의 사역에 대해 열심이 있었음으로 바울이 그에 대하여 특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준다.
[롬 16:7]
내 친척이요 나와 함께 갇혔던 안드로니고와 유니아에게 문안하라 저희는 사도에게 유명히 여김을 받고 또한 나보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라...."
내 친척이요 나와 함께 갇혔던 안드로니고와 유니아 - '친척'에 해당하는 헬라어 '슁게네이스'는 문자 그대로 친척을 의미하기보다는 9:3에서처럼 '골육'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동료 이스라엘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 같은 유대인이라도 누구에게든지 친척이라 부르지 않은 것을 보면 특별히 친척이라 호칭된 사람들은 바울과 보다 긴밀한 관련을 맺은 사람들이었음이 틀림없다..
또한 이들은 바울과 함께 옥에 갇힌 적도 있었다고 소개한다. 여기서 '함께 갇혔던'으로 번역된 헬라어 '쉬나이크말로투스'는 직역하면 '전쟁에서 함께 포로된 자'란 뜻이다. 그들이 바울과 함께 언제 감옥에 갇혔는지는 확실치 않다. 아마 그들은 바울이 당한 여러 번의 투옥 사건 중 한 사건에서 함께 감옥에 갇혔을 것이다.
브루스는 그곳이 에베소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사도에게 유명히 여김을 받고 - '사도에게'를 가리키는 헬라어 원문은 '엔 토이스 아포스톨로이스'로 복수 여격을 취하고 있다. 이 말의 일차적인 뜻은 그들이 사도들에게 잘 알려졌다는 의미도 있지만 넓은 의미로 보면 주님이 직접 세운 사도를 제외한 다른 사도들에게도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사도를 지칭하는 '아포스톨로스'는 일차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선택하셔서 세우신 열두 사도를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그리스도를 따르며 주님의 부활을 직접 목격한 사람으로 주님께서 직접 세우신 12제자 이외의 제자들도 포괄하여 의미하기 때문이다..
역시 여기서는 제자들의 개념을 확대 적용해서 사도들처럼 여러 곳에서 선교 사역을 감당하는 교회 지도자들을 일반적으로 가리키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유명히 여김'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피세모이'는 '에피 세마' 도장을 찍은')서 파생된 단어로 신약성경에서 본절과 마 27:16에서만 사용되었다.
본절에서는 좋은 의미로 '유명한', 혹은 '뛰어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마태복음에서는 나쁜 의미로 '소문난', '이름난'이라는 뜻을 가진다. 따라서 본 구절이 의미하는 바는 이 두사람안드로니고와 유니고이 그들의 믿음과 봉사로 인해서 바울을 비롯한 사도들의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복음으 사역을 돕는 사도들에게도 잘 알려졌을 정도로 특별히 다른 사람과 구별되었다는 것이다. 나보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라 - 두 사람이 사도들 가운데서 왜 높이 평가받고 있는지를 말해준다. 그들은 기독교 역사 초기에서부터 일찍 회심하였기에 지도자로서 알려질 시간상의 여유가 충분히 있었다.
그들은 유대인으로서 예루살렘이나 그 주변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알려졌으며 또한 사도들의 무리와도 쉽게 연합될 수 있었을 것이다.
[살전 5:26]...거룩하게 입맞춤으로 모든 형제에게 문안하라...." 거룩하게 입맞춤으로 모든 형제에게 문안하라 - '입맞춤'으로 인사하는 법은 고대 동방에서 유행하던 관습으로 신분이 같은 사람들끼리는 빰에 입맞추었고 신분이 높은 사람에게는 손이나 발, 혹은 무릎이나 가슴 등에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문화가 유대인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후 그리스도인 사회로 흘러들어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인사법이 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인사법은 2,3세기경까지 교회에서 통용되었으나 폐단이 많아 초대 기독교 총회에서 그것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만들었으며 후에는 폐지되었다. 초대 교회의 '거룩한 입맞춤'은 신앙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구실을 하였을 것이다 ..
한편 '입맞춤'으로 인사하라는 바울의 요구는 그의 다른 서신들에서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