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15/16 인도 식품가공업 동향 | |||||||||||||||||||||||||||||||||||||
---|---|---|---|---|---|---|---|---|---|---|---|---|---|---|---|---|---|---|---|---|---|---|---|---|---|---|---|---|---|---|---|---|---|---|---|---|---|---|
게시일 | 2016-04-11 | 국가 | 인도 | 작성자 | 김덕영(뉴델리무역관) | |||||||||||||||||||||||||||||||||
2015/16 인도 식품가공업 동향 - 경제성장과 함께 지속 성장 - - 인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식품가공업 성장에 큰 디딤돌이 될 전망 -
□ 인도 식품가공업 동향
○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인도 식품가공업 - 풍부한 농산물·육류·수산물 생산량과 가격경쟁력을 겸비한 인도는 식품가공업 허브국가로서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국가임. - 식품가공업은 인도의 주요 산업 중 하나임. 회계연도 2014/15년 기준 GDP 대비 식품가공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에 달함. - 인도 식품가공업 부서(Ministry of Food Processing Industries)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4/15년 인도의 식품가공업 매출액은 2580억 달러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추측됨.
○ 식품가공업은 크게 6개의 세부 부문으로 나눠짐.
자료원: 2016년 1월 IBEF 식품가공업 보고서
○ 소비트렌드와 함께 변화하는 인도 식품가공업 - 글로벌화와 더불어, 맥도날드, 버거킹, KFC, 피자헛, 도미노피자, 스타벅스와 같은 글로벌 외식업체들의 인도 시장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인도인의 입맛도 변화하고 있음. - 또한,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즉석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 건강식품(healthy food)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 - 최근 인도 내에서는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 - 이 시장은 ‘15년 Maggi 사태 이후, 2배 성장세를 기록하며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 - ITC사는 건강에 민감한 소비자를 겨냥해 탄수화물 함량이 낮은 식품,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은 식용오일, 트랜스 지방이 없는 스낵류, 저지방 우유 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ITC사의 멀티그레인 'Bingo' 브랜드는 스낵 부문에서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ITC사와 Pepsico사가 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인도 가공식품 수출동향 - 지리적 이점과 더불어 농산물·육류·수산물 생산이 증대되면서 인도는 다른 국가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 공급이 가능해짐. - 인도의 가공식품 수출량은 2011~2015년 동안 23.3% 성장함. · 중동에서 가까운 지리적 이점상, 인도의 주요 가공식품 수출대상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란, 쿠웨이트 등 중동 국가가 수출액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음. · Haldiram’s사와 Bikarnervala사와 같은 인도 기업들은 전 세계 70여 개국에서 인도 가공식품을 판매하고 있음.
○ 정책동향 - 모디 정부는 'Make In India' 정책과 함께 인도 식품가공업을 인도 주요 산업으로 선정하고 정책적 지원을 해오고 있음. - 모디 정부는 올해 연방예산안에서 2020년까지 농가 소득을 두 배로 향상시키고,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농수산품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발표함. - 인도 식품가공업부 Harsimrat Kaur Badal 장관은 인도 내에서 생산된 원재료로 생산된 가공식품을 판매하는 조건부로 Walmart사, Tesco사와 같은 멀티브랜드의 식품가공품 유통업에 대한 외국인투자를 전면 허용할 예정이라고 밝힘. - 이는 폐기되는 농수산물 감소, 농수산물 유통 다변화, 지역 농업 경제 부흥에 일조할 것이라고 언급함.
Make In India 식품가공업 로고 자료원: www.makeinindia.com
□ 시사점
○ 소비 트렌드 변화로 인도 내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할 전망 - 글로벌화,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데 이어, 경제 성장으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인도 내 가공식품 소비는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건강식품, 포장식품에 대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어, 이 시장에 대한 진출을 고려해볼 수 있음. · 인도 내에서 식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의 인증이 필요함.
○ 인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인도 식품가공업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2016/17년 연방예산안에 따르면, 모디 정부는 올해 농민 복지와 소득증진을 주요 쟁점으로 두고 있음. - 신규 제조기업에 대한 법인세 5% 인하, 노동력 창출 기업 중 특정조건에 한해 인건비에 대해 세금 감면하는 정책을 내놓은데 이어, 인도 내에서 생산된 원재료로 생산된 가공식품을 판매하는 조건부로 멀티브랜드 식품가공품 유통업에 대한 외국인투자를 전면 개방하는 등 인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식품가공업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 · 인도 식품가공업 부서(MOFPI)는 식품가공업을 농업부문의 노동력 집중현상을 제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미래산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2024년까지 인도 식품가공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약 9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식품가공업 유관기관 정보
① 농산물 가공
② 수산물 가공
첨부: 인도식품안전기준청(FSSAI) 수입통관절차
자료원: Times of India, Business Standard 등 현지 언론, IBEF 인도 식품가공업 보고서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
첨부파일 | 인도식품안전기준청(FSSAI)수입통관절차.pdf (699K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