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츠담선언[ Potsdam Declaration]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 26일 독일의 포츠담에서 열린 미국·영국·중국 3개국 수뇌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공동선언.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평화 회담
일본에 대해서 항복을 권고하고 제 2차세계대전 후의 대일처리방침을 표명한 것이다. 처음에는 미국 대통령 트루먼, 영국 총리 처칠, 중국 총통 장제스[蔣介石]가 회담에 참가하였으나, 얄타회담 때의 약속에 따라 소련이 대일선전포고를 하게 되어 소련공산당 서기장 스탈린도 8월 이 회담에 참가하고 이 선언문에 함께 서명하였다.
이 선언은 모두 13개 항목으로 되어 제1∼5항은 전문(前文)으로 일본의 무모한 군국주의자들이 세계인류와 일본국민에 지은 죄를 뉘우치고 이 선언을 즉각 수락할 것을 요구하였다.
제6항은 군국주의의 배제, 제7항은 일본영토의 보장점령, 제8항은 카이로선언의 실행과 일본영토의 한정, 제9항은 일본군대의 무장해제, 제10항은 전쟁범죄자의 처벌, 민주주의의 부활 강화, 언론·종교·사상의 자유 및 기본적 인권존중의 확립, 제11항은 군수산업의 금지와 평화산업유지의 허가, 제12항은 민주주의 정부수립과 동시에 점령군의 철수, 제13항은 일본군대의 무조건항복을 각각 규정하였다.
특히 제8항에서는 “카이로선언의 모든조항은 이행되어야 하며, 일본의 주권은 혼슈[本州]·홋카이도[北海道]·규슈[九州]·시코쿠[四國]와 연합국이 결정하는 작은 섬들에 국한될 것이다”라고 명시하여 카이로선언에서 결정한 한국의 독립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 선언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히로시마[廣島]와 나가사키[長崎]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고 소련도 8월 9일 참전하여, 10일 일본은 이 선언을 수락, 14일 제2차 세계대전은 완전히 끝났다.
포츠담 선언
나치 독일의 항복 이후에도 전쟁 수행 의지를 꺾지 않는 일본 제국의 무조건 항복을 촉구하면서 독일 포츠담에서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과 중화민국 주석 장제스가 1945년 7월 26일 포츠담 회담 도중 발표한 선언문이다.
이 최후통첩문에서 연합군은 일본 제국이 이 통첩의 수락을 거부했을 시 즉각적이면서도 완전한 파멸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고, 결과적으로 일본 제국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사건 이후인 8월 15일에 천황 히로히토가 연합국에 항복하며 포츠담 선언의 수용을 발표했다.
"우리는 결코 이 요구 조건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대안은 없다. 어떠한 지연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We will not deviate from them. There are no alternatives. We shall brook no delay.)"라는 단호한 문장으로 일본 제국의 무조건 항복에 대한 그들의 굳건한 의지를 표현하면서, 연합국은 그들의 조건을 세세히 설명 해주었다
덧붙여서 이러한 조건이 달성된다면 연합국의 점령군은 일본에서 곧 철수할 것임도 명확히 밝혔다.
일본의 반응
연합군도 당시 일본 국민들에게 천황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고 있었기에 그 존폐에 대해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았다.다만, 전범 재판의 당사자들인 핵심 지도층은 둘째치더라도 다른 일반인들에게도 이 선언이 '천황을 재판장으로 끌어내려는 연합국의 뜻'이란 식으로 해석될 여지는 충분히 있었고, 연합국도 천황제 존속을 인정한 것이지 기존의 천황인 히로히토를 처벌하지 않겠다고 명시하지는 않았다.[7] 결국 일본 정부는 이 포츠담 선언을 "묵살"한다고 밝혔으나, 미국은 몰락 작전으로부터 발생할 미군의 천문학적인 인명피해를 막고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원폭을 투하했다.
사실, 포츠담 선언의 내용은 애매한 선전포고로 선빵을 때린 일본 제국의 전적, 그리고 연합군과의 격차를 고려하면 매우 파격적인 조건이었다. 이후의 경제제재에 대한 논의도 없었고, 재무장 제한에 대한 이야기도 없었다. 이는 일본을 멸망시려는 의도가 아니라 일본을 점령하여 동아시아에서 장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미국의 의향이 있었고, 또한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게 아니라 중간에 끼어들었다고 간주되어 죄질이 상대적으로 가볍다고 평가됐기 때문이다. 특히나 이는 독일에 제시한 항복 조건과 비교했을 때 의도가 더욱 선명했다.
이후 SCAP의 행정,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 전후 처리까지 미국이 일본의 편의를 봐준 일화가 많다. 이 경우는 주변 강대국과 이해관계가 충돌한 독일과 달리, 일본은 그런 강대국이 없어서 미국이 독자적으로 일본을 쥐고 흔들었기 때문이다. 중국이 건재했다면 엄청난 반발에 부딪쳤겠지만, 국공내전 및 전후 혼란을 수습하느라 외교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