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목형밴드, 스마트워치는 소비자에게 뚜렷한 효용을 주지 못했으나, 애플의 에어팟이 등장하면서 무선이어폰의 시장은 2019~2022년까지 CAGR +80%의 시장 성장을 전망
* 에어팟 성공의 원인은 자동페어링,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및 사용시간 극대화, 노이즈캔슬링과 같은 우수한 기능 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늘리며 2019년 무선이어폰시장에서 53%의 점유율을 달성했으며 2020년에 도 공고한 시장 지위를 이어갈 것
* 무선이어폰 3가지 기술 특징 ①노이즈캔슬링, ②전력반도체 ③코인셀 배터리
스마트워치에서 무선이어폰으로 웨어러블 시장 성장 지속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 부착하여 정보를 입력, 출력, 처리하는 스마트 기기를 뜻하 며 그동안 손목형밴드와 워치형이 대세였으나 가격에 비해 뚜렷한 효용을 주지 못하는 점, 배 터리 수명의 한계가 지적되며 큰 성공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애플의 에어팟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하고 있는 중이며 2019년 글로벌 무선이어폰 시장규모는 1.2억대에서 2020년 은 2.14억대 규모로 확대되며 2022년까지 연평균 80%의 성장을 전망한다.
필수품이 된 콩나물, 애플이 쏘아올린 무선이어폰 경쟁
에어팟 성공의 원인은 우수한 성능으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것이다. 자 동 페어링이 되는 독자 무선기술, 배터리 충전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시간을 늘렸으며 노이즈 캔슬링 기술로 몰입감을 높여 2019년 전체 무선이어폰 시장에서 2위인 삼성전자의 6.1%의 점유율을 큰 폭으로 제치며 53%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향후 무선이어폰 시장의 성장에 애플 이 지속적으로 공고한 시장 지위를 가져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삼성전자, 화웨이, 구글, 아 마존 등 후발주자들이 가세하면서 기술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것으로 전망한다.
무선이어폰 3가지 기술특징 ① 노이즈캔슬링, ② 배터리, ③ 반도체
노이즈캔슬링 기술은 액티브형(ANC:Active Noise Cancelling)과 패시브형(PNC:Passive Noise Cancelling)으로 나뉜다. PNC는 물리적으로 귀를 막아 소음을 차단하는 방식이며, ANC는 외부마이크가 이어폰에 추가로 탑재되어 있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면 해당 소음의 파 형을 프로세서가 분석해 해당 소음과 반대되는 파형을 발생시켜 외부 소음을 상쇄한다. 에어팟 프로는 이어버드에 외향마이크, 내향 마이크 2개의 마이크를 내장하여 주변 소리를 감지해 소 음을 분석하고 애플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H1프로레서 칩셋이 소음신호를 초당 200회 가량 분석해 안티노이즈를 발생하여 소음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무선이어폰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재생시간을 길게 만들면서도 초소형, 초경량 조건을 맞추어 야 하는 기술장벽이 높은 제품이다. 애플은 에어팟 1.2세대에서 원통형 배터리를 채용했으나 에어팟프로에 코인셀 배터리를 채용하며 배터리 지형이 바뀌고 있다. 셋트업체의 코인셀 제조 업체의 벤더 다변화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아이팟 프로와 갤럭시 버즈에는 독일의 Varta 제품 을 사용했으나 갤럭시버즈플러스에서는 중국의 EVE energy의 제품이 사용되었다. 삼성SDI는 코인셀을 개발하여 주요 IT업체에 판매를 시작하여 신시장 진출로 인한 실적 확대를 기대한다.
PMIC(Power Management IC)의 진화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갤럭시버즈플러스 에 무선이어폰 전용 통합 전력관리 칩을 선보였는데 충전케이스용인 MUA01과 이어폰용 MUB01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와 무선충전수신칩, 배터리충전칩 등 5~10개의 칩을 하나로 통합하여 회로 기판의 크기를 절반이상으로 감소, 충전 효율 및 재료 원가 개선측 면에서 장점을 제공하며 향후 소형 웨어러블 기기 및 고객사를 확보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교보 최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