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도심의 꿀단지, 서촌(웃대) 나들이 ~~~
|
|
▲ 무궁화동산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 |
|
![]() |
![]() |
▲ 필운동 홍건익가옥 |
▲ 선희궁터 사우 |
보름달이 동그란 자태를 보이며 천하의 밤을 비추던 한가위(추석) 연휴에 나의 즐겨찾기 |
♠
천하에서 제일 컸다는 백송(白松), 하지만 지금은 한낱 전설이 되어 |
|
|
앙상하게 밑둥만 남아있지만 그 덩치가 나보다 몇 배 이상으로 크다. 밑둥이 저 정도니 그의 |
|
* 통의동 백송터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35-15 |
♠ 권력층의 비밀 공간인 안가에서 무궁화의 성지로 거듭난 |
|
청와대분수대 서북쪽이자 청와대 서쪽 길 건너편에 천하 무궁화의 성지(聖地)인 무궁화동산이 |
|
|
|
![]() |
![]() |
▲ 1999년에 김대중 대통령 내외가 |
▲ 무궁화가 아낌없이 휘날리는 |
|
|
김상헌은 병자호란(丙子胡亂) 시절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힘겹게 항전했을 때, 항복을 반대 |
|
|
|
무궁화동산 동북쪽인 창의문로 도보변에 크고 오래된 굴피나무가 있다. 이름 그대로 중원대륙 |
♠
경복고등학교에서 만난 조촐한 명소들 |
무궁화동산 후문에서
북쪽으로 아주 가까운 곳에 경복고등학교가 있다. 북악산(백악산) 그늘 |
|
운강대 바위글씨 옆에는 효자유지 비석이 있다. 효자골(효자동)의 유래를 머금은 작은 비석으 |
|
경복고 정문 옆에는 커다란 은행나무가 넓게 그늘을 베풀고 있다. 추정 나이는 약 250년(1981 |
|
경복고는 서울에 있는 학교 중 거의 유일하게 석조형(石槽形) 샘터를 가지고 있다. 이 샘터는 |
♠
선희궁(宣禧宮)터 주변 |
무궁화동산 정문에서 큰 길(효자로)을 따라 서쪽으로 가면 신교동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서 서 |
|
선희궁은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년)의 후궁인 영빈이씨(暎嬪李氏)를 봉안한
왕실의 사묘( |
|
선희궁터 사우까지 들어왔다면 여기서 길을 돌리지 말고 사우 뒷산을 주목하기 바란다. 연못 |
|
♠ 서촌의 새로운 꿀단지로 부상하고 있는 필운동 홍건익(洪建翊) 가옥 |
|
|
|
|
|
![]() |
안채는 방과 누마루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다. ◀ 안채 안쪽 |
![]() |
![]() |
▲ 불이 켜진 안채 |
▲ 새집처럼 손질된 안채 내부 |
|
|
사랑채와 안채 내부에 진열된 가구와 서적들은 홍건익 일가나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는 전혀 |
|
|
|
![]() |
◀ 무늬만 남은 우물 |
![]() |
◀ 홍건익가옥의 특별함, 별채 |
![]() |
![]() |
▲ 후원으로 인도하는 기와문(일각문) |
▲ 현대식으로 손질된 후원 |
가옥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조촐하게 후원이 닦여져 있다. 지금의 후원은 2015년 |
|
![]() |
◀ 후원 뒷쪽
문 (후문) |
* 홍건익가옥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88-1 (필운대로1길 14-4, ☎ 02-735-1374)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5년 1월 1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