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행블로거기자단
 
 
 
카페 게시글
경상도 추천여행지 스크랩 까치밥 홍시에 매료되고 대봉홍시 맛에 반한 함안 파수리 곶감마을 !
바람흔적 추천 0 조회 150 11.12.03 10:1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바람흔적의 고향도 시골이였습니다.

             시골 집앞 남새밭에는 감나무가 셋그루 있었는데

             모두 떫감나무라 홍시가 되기를 간절히 기다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떫감들은 서리가 내릴때가 되어야

              따서 곶감을 만들 던지 , 아니면 큰 항아리에 넣어

             홍시가 되기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감나무에 주렁주렁 달린 노오랗게 달려 있는 감들을

             수확하고 나면 감나무 제일끝가지에 몇개를 남겨 두는데 

             그것이 까치밥이라는 것입니다.

 

             까치밥이 나무에 매달린채 홍시가 되면

             우리는 긴장대에 끝을 두갈래로 쪼개어 틈을 만들고

            그 긴장대로 까치밥 홍시를 따 먹곤 했던 기억이 남아있습니다.      

 

     

       예전에는 집앞뜰이나

       남새밭에 유실수 두세 그루를 심어 가을에  시장에서 사먹지 않고

       과일도 자급자족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담넘어 이웃집  감나무에 주렁주렁 달린 감을  봐도 탐내지 않던 시절이 있었죠!

 

 

 

    가을 이맘때가 되면

    아버지 몰래 감나무에 올라가

    홍시가 되어가는 설익은 홍시를 따먹기 위해 위험을 무릅 쓴 일도많았답니다.

    그땐 원숭이 처럼 나무를 잘도 타고 다녔는데.......

 

    그러다가 나무위에서도 손이 닫치 않는곳엔 

    감따는 장대를 만들어 기어코 그 홍시를 따먹던 일이 생각납니다.

    요즘 애들은 그런일 않하겠죠?

 

 

                  마지막으로 남겨둔 까치밥입니다.

                  까치도 홍시가 되어야 맛을 보러 옵니다.

                  그땐 까치와 애들간에 누가 먼저 따먹나 내기를 하기도 했습니다.

 

                  어른들은 우리가 까치밥을 따먹으면 크게 야단을 치곤 했답니다.

                   까치밥은 까치가 먹어야 내년에도 감이 많이 달린다고 하며....

 

                  그래서 , 까치밥은 감나무의 제일 끝부분에 달린것을 놓아 두기 때문

                   대부분 까치들 몫이 되기 일수였습니다.

 

                  

                                                      남겨둔 홍시는 까치들의 몫이 되고 .....

 

 

                   가을을 대표하는 과일이 감 아닐까요?

                   단감, 반시,홍시, 곶감 이런것들이 감으로

                   만들어 지는 자연산 간식 아닐까요 ?

 

                   단감하면 창원단감  !

                   반시와홍시는 청도 아닐까요?

                   그리고 곶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북 상주를 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산,창원인근  

                   함안의 함안곶감도 있습니다.

                    

                   

 

                          감나무에서 수확한 감들은

                          껍질을 벗겨 내어 건조를 시켜야 곶감이 됩니다.

                          설명할 필요도  없는 말이죠?

 

 

                                               말갛게 익어가는  곶감입니다.

                                      올해는 이상기후라 건조하는데  애로가 많다고 하네요.

                                      함안 파수리 곶감농가에서 맛을 본 반시는 그맛을 형언하기 어러울만큼 좋았습니다.

                                      위 사진을 보싶시요? 얼마나 맛 있겠는지를.............   

 

 

                      홍시와 곶감을 공짜로 맛보았기에

                      함안 곶감에 대해  홍보를 좀해야 겠습니다.


                      생산되는 곶감의 연간 생산량은 180톤 (180,000상자)정도 된다고 합니다.

 

                     우리는 상주 곶감만 알았는데

                     옛날부터 유명한 곶감으로 함안곶감으로 알려 져있었다네요!

                     조선 중엽부터 왕실에 진상품으로 바쳐지기도 했답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백년이 지난 오늘에 있었어도 그 맛이 그대로 이어오고 있다 합니다.

 

                     함안군 관내 여러 고을에서 생산되지만 그 중에서 함안면 파수리의 곶감이 유명하다.
                     감은 씨가없고 사람의 손으로 정성스레 만들어진 이곶감은 완제품이 된후에도 말랑말랑하여

                  더운물에 넣어 져으면  꿀처럼 풀리는 특징을 갖고 있어

                  한방약의 재료로 널리 소문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각 가정에서 경사때나 명절에 만드는 수정과에 넣어면 일품요리가 된다나요.

                     지금 만드는 곶감은 약50일의 기간이 소요되며,   곶감판매 시기는 12월 하순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

 

                  

                       생감을 깍는 기계는 나와있지만

                       깍은 감을 건조 시키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합니다.

                       곶감농사는 수확철이 제일 일손이 필요한 시키라고 합니다.

                       그래서 연로하신 할머님의 정성이 곶감줄에 영글어 갈것 입니다.. 

 

 

        

              곶감 건조장내에 건조되고 있는 곶감들이 

              아름다운 장식품들 처럼 보입니다.

 

 

 

 

              

                      파수리 미산곶감마을에 도착하여 차를 주차하고 내리자

                      지나시는 마을분이 홍시를 먹으라 하셔 대봉홍시를 맛보게 되었다.

 

                     사진을 촬영하며 이집저집을 들릴때마다 홍시를 맛보라고 권해

                      대봉홍시을 배가 부르게 먹게 되었다.

                     세상에  가지고 가라고 줄수는 없어도 먹고 가라는 인심 좋은 곶감마을을 다녀왔습니다.

 

 

 

 

         파수미산곶감집에서는  반건시 곶감을 맛보고

         조금 사가지고 온 집이였어요. 

         곶감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까 싶을 정도롤 맛 좋은 곶감이 익어가고 있었습니다.

 

         상주곶감단지는 감 클러스터 단지에서 지원받아 대규모 시설로 곶감을 생산하고 있지만

         함안파수리 곶감마을은 개인이 시설을 투자하고 가족단위로 곶감을 생산하고 있어

         상주보다 열악한 실정이지만, 수가공으로 곶감을 만들고 있으니 맛은 오히려 훨씬 좋은 느낌이였답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