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에 의존하는 생각을 버리고 자주 독립의 기초를 세운다
왕실의 사무와 국정의 사무를 나누어 혼동하지 않는다
납세는 법으로 정하고 함부로 세금을 징수하지 아니한다
조세의 징수와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의 관할에 속한다
1) 갑오개혁은 일본의 군사력에 의해서 추진된 타율적인 것이었지만, 초기에는 자율적인 면에서 출발하였다
2) 전제군주의 권한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정치개혁을 단행하여 근대국가를 지향하였다
3) 신식화폐조례로 일본 화폐가 국내에 유통되었다
4) 토지의 재분배로 농민층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답이 4번 인거 같은데..
3) 신식화폐조례로 일본 화폐가 국내에 유통되었다... 가 무슨말인가요?
첫댓글답은 4번이 확실하니 나머지는 맞는 답이겠군요. 이건 제 추측이라서 그냥 참고로 하세요. 1차 갑오개혁에 보면 은 본위 화폐 개혁이 있었는데요. 아마도 그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게 결국은 일본화폐를 모방했나봅니다. 토지의 재분배는 근현대사에서 동학운동말고는 전부다 반대했습니다. 전부다 지주제를 긍정했었죠. 동학에서만 주장했다고 보면 되구요. 그나마 토지의 분배가 있었다면, 이승만 시절에 유상매입,유상분배의 제도(1949-1951)가 아닐까요..?
신식화폐장정은 1894년 7월 일본의 화폐제도를 모방하여 은본위 화폐제도를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나 대한제국 광무5년에는 이를 폐지하고 신식화폐조례를 공포하여 금본위제 채택을 시도하였다. 실제 우리나라 금본위제 확립은 1905년 이후이다. 요번 재준샘 근현대사 문풀때 본 내용이라 적어드립니다~~^^..
첫댓글 답은 4번이 확실하니 나머지는 맞는 답이겠군요. 이건 제 추측이라서 그냥 참고로 하세요. 1차 갑오개혁에 보면 은 본위 화폐 개혁이 있었는데요. 아마도 그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게 결국은 일본화폐를 모방했나봅니다. 토지의 재분배는 근현대사에서 동학운동말고는 전부다 반대했습니다. 전부다 지주제를 긍정했었죠. 동학에서만 주장했다고 보면 되구요. 그나마 토지의 분배가 있었다면, 이승만 시절에 유상매입,유상분배의 제도(1949-1951)가 아닐까요..?
윗분 말씀처럼 동학운동에서 토지의 재분배를 주장하긴 했었죠 당연히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구요
신식화폐장정은 1894년 7월 일본의 화폐제도를 모방하여 은본위 화폐제도를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나 대한제국 광무5년에는 이를 폐지하고 신식화폐조례를 공포하여 금본위제 채택을 시도하였다. 실제 우리나라 금본위제 확립은 1905년 이후이다. 요번 재준샘 근현대사 문풀때 본 내용이라 적어드립니다~~^^..
처음에 제가 잘못 적었네요;; 신식화폐조례를 공포하여 금본위제 채택을 실시하였다.라고;; 갑오개혁때는 은본위제의 화폐제도이고, 금본위제 채택을 시도한것이며 실제 금본위제 확립은 1905년 이후라고 하네요.. 헷갈리는 분 없으시길...
오호~ 새로운 정보 습득! 재 책은 왜 저렇게 없는지......... 10독은 한것 같은데.. 도저히 고종이 금본위제 채택했다는 말은 찾을수가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