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 자꾸.작구 : 지퍼. 글을 쓸 때에는 쪼로로기나 쪼르레기라고 쓰고 있으나 대화중에는 자꾸나 작구라는 말을 많이 쓴다. 자 대 미 : 겨드랑 자라이.자란이: 어른 //자란이들은 다 어디 갔니? 밭에 일할라 갔슴다.
자래우다 : 기르다 자부다.자부럽다.자불다 : 졸다 자부럼.좌부럼 : 졸음 자 호 감 :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기는 마음.
작 탄 :그 모양새가 깡통에 연필을 꽂아 놓은 것처럼 생긴 수류탄.(전에는 그렇지 않았으나,요즘 평양에서 만드는 사전에는 항일전쟁시기 김일성이 처음으로 생각해 만들어낸 수류탄으로서 위력이 대단하다고 선전함.)
작 풍 : 품성이나 태도. ** 누구를 가리켜 '정파답지 못하다'고 한다면 그 사람의 남녀관계가 깨끗하지 못하다거나 바람쟁이라는 뜻이다. 어느 사업일꾼한테 비리가 있거나 사업에 대한 태도가 올바르지 못할 때 '사업작풍이 나쁘다'도 한다. 작풍에 문제가 있다: 품행에 문제가 있다. 사업작풍이 좋다: 사업태도가 좋다.
잔치하다.잔치를 치르다 : 혼인하다. 결혼식을 치르다. 잔테미.잠태미 : 하루살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으나 하루살이와 생김새는 같으나 크기나 날개가 작다. 낮에는 풀숲에 숨어있다 밤에 나오는데 물리면 몹시 따갑고 무더운 날일수록 더욱 설친다. 깨알만큼 작다보니 모기장은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한다. 쑥 따위로 모깃불을 피워 쫓는 수밖에 없다.
잡 소 리 : 잠꼬대 장 : 된장. 장국.장물: 된장국 ** 장이라면 된장을 가리키나 때로는 고추장도 장이라고 할 때가 있다. 된장국을 장물이라고 하는데 무우국이나 감자국 따위도 장물이라고 하니 장물은 보통 국을 가르키는 말이기도 하다. 콩기름을 많이 먹는 이곳에서는 장물에도 콩기름을 넣는 사람이 많다.
장난쓰다 : 장난하다 재리우다 : (짐승 따위를) 기르다 재 비 로 : 스스로 //쩍하면 엄마만 찾지 말고 재비로 해라. 재재부레하다 : 자질구레하다
재 처 리 : 남비 쟁 개 비 : 무쇠나 양은으로 만든 작은 냄비. '성미가 딱딱하고 끓기 잘하고 식기도 잘하는 사람'을 비겨 이르는 말.
쟈죠우(家敎) : 가정교사. **대학 3,4학년쯤 되면 쟈죠우를 많이 한다. 하루 한 시간 정도 가르치고 7원쯤 받는다. 일자리를 구하려는 학생에 비해 아이들에게 가정교사를 붙여 줄 여유가 없는 사람이 더 많다. 연길에서는 일자리를 구하는 학생들이 띠쌰 위 공터에 나와 가교(家敎)라고 팻말 삼아 쓴 종이를 펼쳐놓고 앉아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적을 두다 : 자기가 근무하던 사업단위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나가서 다른 사업에 종사하면서 후에 다시 원 사업단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수속을 이르는 말. 단위에 적을 두고 다른 회사에 근무하면 한달에 일정한 금액을 원 단위에 바쳐야 한다. 그리고 합동한 기한을 지나서도 돌아가지 않으면 그 사업단위에서 적을 취소 당한다. //연길시 모 단위에 적을 두고서리 북경에 있는 한국 기업에 쌍발하고 있슴다.
절 기 : 절구 절 무 이 : 젊은이 절 주 : 가락. 소리의 길이와 높낮이의 어울림. 춤이나 몸짓의 율동. 점적주사 : 한족말로는 땐디(点滴)라고 한다. 포도당 따위의 정맥주사를 말하는데 주사액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때문에 얻은 이름이다.
접어들다 : (누구에게) 함부로 대들다. 또는 (무슨 일에) 기세좋게 나서다. 접 우 티 : 겹옷 정 통 편 : 진통제. **정통편만 먹으면 감기몸살도 뚝 떨어진다고 믿었던 때도 있었다.
정슴.정심 : 점심 정파답다 : 작풍이 좋고 품행이 방정하다. 젖먹이.젖멕이 : 막내 제구.제우 : 겨우 제 네 니 : 우정(일부러)
제 까 닥 : 얼른 제깍하문 : 걸핏하면 제 사 -- : 제가 --. //제사 난시다: 제가 오히려 큰소리치고 야단이다. 제삼자(第三者) : 주로,삼각관계에 있어서 정부를 가리킨다. 제 악 : 저녁
제 1 부인 : 으뜸 가는 부인. (세상에서)첫째 가는 부인 //우리 제1부인을 소개하겠슴다. **나이든 사람들이 더러 쓰는 말이다. 물론,부인이 여러 명 있다는 소리는 아니다. 조 교 : 중국에 와서 사는 북조선 사람. 족대기다 : 족치다
죄 리 : 조리 ** 연변에서는 나물이나 국수 따위를 건지거나 할 때에만 조리를 쓴다. 밥짓는 쌀을 일 때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주룩살.주룸살 : 주름살 주먼지.주머이: 주머니
주위.주당위 : (연변조선족)자치주 공산당위원회 주 정 부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부 줴 일 : 종일 줏 싸 리 : 꼬락서니
지껄이다 : 간섭하다. 귀찮게 굴다. //가만히 있는 사람을 자꾸 지껄여가지고 싸울게 뭐라니? //지나가는 사람을 섣불리 지껄였다가 죽게 맞아댔다. 지 낙 : 저녁 지 내 : 너무 //지내 배고파서 감자를 구워 먹었소.
지 네 : 지렁이 **지네는 오공(蜈蚣)이라고 한다. 지 늑 : 진흙 지달구다 : 기다리다 지들구다 : 눌러놓다 //장독 뚜껑을 돌로 지들궈 놔라.
지 슴 : 김 지슴매다: 김매다 지 정 배 : 주정뱅이 지 치 다 : 남기다 //혼자 다 먹지 말고 지쳤다가 동생도 좀 줘라. 진 갑 : 칠순
질 구 다 : (콩나물 따위를 ) 기르다 질 그 배 : 아가위 질 금 : 엿기름. 또는 콩나물 //질금을 질구다. 짐 표 : 짐삯 **버스나 기차를 탈 때 부피가 큰 보따리나 가방은 짐삯을 내야 한다.
집새하다 : 여물썰다 집어매다 : 꿰매다 집어떼다 : 꼬집다 집 오 래 : 집 근처
짚 타 래 : 담을 쌓을 때 돌을 넣지 않고 맨흙으로만 쌓으면 견디는 힘이 없어 무너지기 쉽다. 기둥을 세우고 나무를 가로지른 다음 삼대나 나뭇조각으로 갈비를 엮어 틀을 만들고,갈비에 흙을 붙여 바람벽을 만드는 것이 보통이겠으나 연변은 날씨가 몹시 추운 곳이다. 영하 20도를 밑도는 것은 흔한 일이고 거의 날마다 바람도 몹시 세게 불어대니 바람벽 두께가 아무리 적어도 두 자는 넘는다.
갈비에 흙반죽을 붙이는 정도로는 그렇게 두꺼운 벽을 만들 수가 없다. 거의 1메터나 되게 두꺼운 벽을 쌓으려면 돌을 넣고 돌담을 쌓아야겠으나 돌은 구하거나 쌓기도 어렵고 따뜻하지도 않다. 돌 대신 짚을 주먹만큼씩 뭉쳐 둥글게 타래쳐서 속에다 넣고 흙반죽으로 덮어가며 벽을 쌓는다. 짚타래로 바람벽을 쌓으면 일하기도 매우 쉽고 따뜻하기도 하다.
짜 갈 : 자갈 짜개바지 : (어린아이들이 입는) 밑터진 바지 짜개바지동미: 어려서 함께 자란 동무
짜 그 배 : 혼혈아 **중국에는 늘 가지고 다니는 신분증에도 그 사람의 민족이 기록되어 있다. 서로 다른 민족,예를 들어 한족과 조선족이 혼인해서 태어나는 아이는 부모의 뜻에 따라 한족이 될 수도 있고 조선족이 될 수도 있다. 짜이젠(再見) : 헤어질 때 흔히 쓰는 인사말로 꼭 '다시 만나자'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짠 지 : 짜게 절인 김치. 또는 김치같은 반찬을 두루 이르는 말. ** 안쪽이나 남방에 가서 짠지장사로 돈을 버는 조선족이 많다. 짼 내 비 : 원숭이
짼빙가마(煎餠---) : 쟁반처럼 생긴 무쇠 불판. 가마목의 한 가운데 센 불길이 직접 닿는 곳에 짼빙가마가 있고 양쪽으로 가마솥이 걸려있다. 두 개의 가마솥 중 하나는 밥가마로 쓰고 다른 하나는 보통 더운물을 끓여 쓴다. 짼빙가마는 벌겋게 달아오를만큼 뜨거우므로 프라이팬 따위를 올려놓고 여러 가지 요리를 한다. 찌개나 국 따위도 작은 냄비를 짼빙가마에 얹어놓고 끓이기 마련이다.
쯤 : 틈 쯧 다 : 찢다 찌그리다.찌글띠리다 : 찡그리다 찌부리다 : 기울이다 찌끄레기 : 찌꺼기 찍 게 : 집게
찍찍개.찍찍이 : 미꾸라지 ** 미끄러운 미꾸라지가 손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꽉 쥐면 찍찍 소리를 내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찔 룩 개 : 메뚜기 ** 메뚜기를 먹지 않는다. 찔룩개 잡으러 가자고 했다가는 '머이? 벌거지를 먹겠다고?' 하고 놀라는 소리를 듣기 마련이다.
ㅊ 차닙쌀.차입쌀 : 찹쌀 차례지다 : (누구의)몫으로 되다. //논이 인구당 한 무씩 차례졌다. 채깝수건 : 머리수건 **처녑을 채깝 또는 쇠채깝이라고 한다. 수건의 보풀이 채깝처럼 생겼다해서 채깝수건이라고 한다.
책 떠 깨 : 책뚜껑 천도깨비 : 서울에서 김가를 김도깨비라고 하듯 천씨를 흔히 천도깨비라고 부른다. 천 반 : 천정
천 지 꽃 : 진달래 철 : 징 //신바닥에 철을 박다 철 밥 통 : 고정직업. 정년 퇴직 때까지 쫓겨날 걱정이 없는 일자리. 첫 감 에 : 처음에
청가(請暇) : 필요에 따라 얻는 말미 ** 청가 문화가 잘 발달되어 있어 대수롭지 않은 일에도 쉽게 청가를 맡는다. 청춘 뽀드라지 : 여드름 체연하다 : 멀쩡하다
초 담 배 : (본디 잎담배를 말하나, 여기서는 여과담배의 반대말로) 잎담배를 부스러 뜨린 것. 시장에서는 보기 좋게 썰어놓은 담배를 근으로 판다. 보통 농민들은 여과담배는 출입용이고 동네에서는 담배쌈지를 가지고 다닌다. 집 안에서는 낡은 됫박이나 도끼목수 솜씨로 만든 작은 나무함에 잎담배를 부스러뜨려놓고 종이에 말아 피우므로 먼지가 많이 난다. 입심 센 안까이나 버릇없는 딸자식이라도 있으면 독한 담배연기뿐 아니라 구들이 자꾸 어질러진다고 싸우기 일쑤다.
초 신 : 짚신. 짚세기 초채(炒菜): 볶음채 초채쓰푸(炒菜師傅): 요리사 촨슈(串休) : 휴일인 토.일요일에 근무하기로 하고 연휴를 갖는 것. 추석은 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촨슈를 해서 쉬는 일이 많다.
추주(出租) : 택시를 가리키는데 연길에만 2,200여 대라고 한다(70%가 한족이 운영). 북경이나 다른 큰 도시가 기본 요금이 10원인데 이곳은 5원이나 툭하면 바가지를 씌우려 든다. 많은 사람들의 꿈이 추주를 갖는데 있었으므로 추주가 부쩍 늘어나서 요즘에는 전처럼 횡포를 부리지 못하고 있다.
치보주임 : 치안주임을 보좌하는 사람. 파출소의 하급 조직으로 동네에 낯선 사람이 들어와 살거나 하면 자기 장부에 등기를 하고 파출소에도 보고한다. 치 비 : 추위 치새하다 : 칭찬하다
치유츠리(豈有此理)! : 어디 이런 법이 있느냐! 어찌 나에게 이런 일이! ** 불합리한 일에 대하여 반대이거나 분개를 표시할 때. //그게 바로 치요츠리란 게다! //나는 너를 생각해서 그렇게 했는데 너는 도리어 그런 말을 하다니,정말 이런 법이 어디 있느냐?
치팬(欺騙)하다 : 기편하다. 사기치다. 칠성고기 : 뱀장어 칭커(請客) : 손님을 청해서 먹고 마시다. ** 칭커문화가 매우 발달되어 있다. 사람들은 칭커하라느니 칭커하겠다느니 하는 소리를 잘 한다.
ㅋ 칼 국 : 칼국수 켕 하 다 : 멍청하다 //너 거기 켕하니 서서 뭘 하는 게야? 코 구 얘 : 콧구멍 코 뚤 게 : 코뚜레
코밑 치성 : 코밑에 있는 것은 입이다. 입은 무엇인가를 먹기 위한 것이니 코밑에 드리는 치성은 뇌물을 뜻한다. 콧 말 기 : 콧마루
콩 기 름 : 연변에서는 콩기름을 많이 먹는다. 웬만한 볶음채에는 물론이고 된장국이나 미역국에도 콩기름을 넣어 먹는 사람이 많다. 며칠동안 콩기름을 먹지 않으면 뱃속에서 풀(또는 털)이 난다는 우스개도 곧잘 듣는다. 정제가 덜 된 탓인지 냄새가 독하지만 그 냄새를 맡아야 식욕이 돋는다는 사람도 많다. 정제가 잘 된 식용유는 값이 비싼 탓도 있지만 냄새가 적기 때문에도 인기가 별로 없다.
콩 파 치 : 콩팥 쿠 리 다 : 구리다 쿠린내: 구린내
크 라 배 : 할아버지 큰 아 매 : 할머니 큰아바이.클아바이 : 할아버지
ㅌ 타이추.타이출(臺求) : 당구. 포켓볼 ** 포켓볼이 매우 유행이다. 기차역이나 버스 배차장에도 타이출이 있고 웬만한 골목에도 타이출 없는 곳이 없다.
탄 재 : 담요 태 판 : 탯줄 터 불 : 터울 터지우다.터치다 : 터뜨리다
토 방 법 : 민간에서 오랫동안 내려 오면서 쓰이는 방법. 주로 현대적인 방법에 상대하여 재래적인 방법, 공업적인 방법에 상대하여 경험적인 방법을 말한다. //토방법으로 병을 치료하다.
토 비 : (어느 한 곳을 중심으로) 떼지어 다니면서 살인과 약탈을 일삼는 도적. 통낭기.통냉기 : 통나무 툭 찍어놓고 말해서 : 까놓고 말해서. 솔직하게 말해서. 퉁 재 : 물통. 물초롱
퉐라지(拖拉機) : 뜨락또르. 써푸퉐라지(手扶拖拉機): 손잡이뜨락또르. 경운기. **여기서 말하는 퉐라지는 뜨락또르를 개조해서 만든 작은 세바퀴자동차다. 뒤쪽 짐칸에도 창문을 달고 의자를 놓아 사람을 실어나른다. 운전칸에 2명,짐칸에는 4-6명이 탈 수 있다.
틀어쥐다 : 틀어잡다. (무슨 생각을) 굳게 다져 먹다. (무슨 일을 힘껏) 다그치다. 특 무 : 자기의 정체를 숨기고 첩보,파괴,암살 등을 일삼는 자로서 적국이 보내거나 심어놓는다.(드물게는 제 나라의 특수기관을 뜻하기도 한다.)
팅부둥(聽不 ) : 알아듣지 못하다.
ㅍ 파번지다 : 파서 번지다. (땅을) 파서 뒤집다. 파이.파에 : 파 ** 양념으로 쓰지만 통째로 손에 들고 간장이나 된장에 찍어서 우적우적 먹는 일도 흔하다. 판 공 실 : 사무실의 한자어.
팔 굽 : 팔꿈치 패기.팩기 : 딸꾹질 패 풍 : 헤살 퍁끼고물 : 팥고물
퍼 떡 :얼른 펄라리(破爛) : 낡은 것. 누더기. 표양하다 : 표창하다. 표양신: 표창장 풀 깍 : 플라스틱. 플라스틱 제품.
피 뜩 : 언뜻. 어떤 물체가 갑자기 나타났다가 빠르게 없어지는 모양. 갑자기 눈길을 돌려 잠깐 바라보는 모양. 피발(批發) : 도매 **시장에 가면 거의 모든 상점에 피발 값으로 준다는 광고가 붙어 있다.
피 줄 : 핏줄. 연변에서도 평양처럼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발음을 할 때에는 핏줄이지만 쓸 때에는 반드시 피줄이라고 쓴다.
피 지 다 : 핏발이 서다. 눈에 피지다: 눈에 핏발이 서다. 피진 눈: 핏발선 눈 피 탈 : 핑계 피케서다 : 비껴서다
ㅎ 하깝다.해깝다 : 가볍다 하늘바지 : 입천장 하 내 비 : 할아버지 하 리 똥 : 화로
하 부 옷 : 홑옷 하분자.호분자.호분차: 혼자 하붓거.호붓거.호빗거 : 홑것
하야하얗다 : 아주 하얗다.(같은 소리를 반복함으로써 가진 뜻을 강조함.) 하품소리 : 하품하는 소리처럼 귀담아 들을 값어치가 없는 싱거운 소리. 한주(漢族) : 한족. 한족말 : 한어(漢語) ** 중국에서는 한위(漢語)라고 하지 중국말이라고 하지 않는다.
한판손가락 : 가운데손가락 할 날 : 하루 해나.해여나 : 행여나 해 나 무 : 홰나무
해 뜩 : 발딱 //해뜩 뒤집다 해미.햄.햄채 : 반찬 //햄이 맛같지 않아서 밥을 먹지 못하겠다.
해방전쟁.조국해방전쟁 :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고 물러간 뒤에도 팔로군,즉 모택동이 이끄는 해방군은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와 싸웠는데 서기1949년 장개석 정부가 대만으로 물러감으로써 해방전쟁이 끝났다.
해 불 : 횃불 해 자 불 : 해바라기 행방이 없다 : (간 곳 또는 일정한 방향이 없으니 하는 짓을) 종잡을 수 없다. 행지.생지: 행주
향 정 부 : 중국의 성(省)은 우리의 도에 해당되고 현(縣)은 군에 진(鎭)이나 향(鄕)은 면 단위 쯤으로 볼 수 있다. 진은 향보다 더 크다. 허 더 깐 : 헛간
허 망 : 1.바깥 허망에 나앉다: 모든 것을 다 잃었을 때를 이르는 말. //그는 도박빚으로 집까지 잃고 허망에 나앉았다. 2.말짱. 터무니없이. 허망소리: 헛소리 즉 터무니없는 사실무근의 소리 //허망소리를 줴치지 마시오.
허 양 : 쉽게 허 재 비 : 허수아비 헌거치.헝거치 : 헝겊 헌투럭.헌투레기 : 누더기
헐망하다 : 1.허름하다. 2.느슨하다. 헐 하 다 : 쉽다. 헐하지 않다: 쉽지않다. 어렵다. 헤가루.헷갈기 : 횟가루 헤 다 : 세다 //헴을 헤다
헤 우 다 : 헹구다 헴 : 셈 //헴을 헤다 헴 없 다 : 철없다 헵 뜨 다 : 잠꼬대하다 헷소리 : 잠꼬대
협가학생 : 가격을 협상한 학생(協價學生). ** 고중(고등학교)에서는 입학 점수가 모자라는 학생한테 돈을 받고 입학시킨다. 점수가 조금 모자라는 학생한테서 학교에 따라 만원에서 만5천원까지도 받는다. 고의로 자기 학교 입학 점수를 높이 정하고 입학 학생의 30%이상을 협가학생으로 채우기도 한다. 전국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별 말썽이 없다.
호구(戶口) : 호구는 농민과 비농민으로 나뉘는데 호구제도가 법으로 정해져 있다. 부부 사이에도 농민 비농민으로 호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아이들은 반드시 어머니의 호구를 따른다. (중국 주재 한국 대사관 직원들도 호구 제도를 제대로 알지 못해 '어째서 부부의 호구가 서로 다르냐? 부부 사이라는 것을 믿을 수가 없다!'고 하며 비자를 내주지 않은 일이 많았다.)
사람들은 제 살고 싶은 곳에 가서 살 수는 있으나 그곳 호구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호구가 없으면 아이들 학교를 보낼 때 학비가 많이 들고 사업을 하는데에도 불이익을 당하기 쉽다. 신깁쟁이 중에는 절강성에서 온 사람이 많은데 연길 사람이라면 월 세금이 15원 정도이지만 절강성에서 온 사람은 연길 호구가 없으니 2백원을 더 낸다고 한다.
호도거리.도거리: 농민이 제 앞으로 분배된 논이나 밭을 제 마음대로 가꾼 뒤에 일정량을 국가에 바치고 나면 나머지는 모두 개인의 소유로 된다. 서기1983년을 전후로 15년 호도거리가 실시되었다. 서기1998년을 전후해서 실시되는 호도거리는 30년이다.
호도거리하는 날을 기준으로 한 사람 앞에 얼마씩 땅을 나누기 때문에,심한 경우 땅을 나눈 다음 날 태어나는 아이는 앞으로 30년간 제 땅을 가질 수가 없다. 그 대신,병석에 누워 오늘내일하는 늙은이도 한 사람 몫의 땅을 나누어 받으며 자식에게 넘겨 줄 수 있다. 나눠 받은 땅은 사고 파는 것이 가능하나 따져보면 땅에 대한 소유권이 아니라 단지 경작권이라고 보아야 한다.
호 리 : 앓는 사람을 보살피고 간호하는 것. //누나는 병원으로 할머니 호리하러 갔슴다. 호박을 쓰고 도투굴로 들어가다 : 호박을 머리에 쓰고 돼지굴에 들어가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이라는 뜻. 호불애비 : 홀아비 호불에미 : 과부
홀락대다 : (안정을 찾지 못하여 가슴이 자꾸) 홀딱홀딱 뛰다. (사람이) 가볍고 방정맞게 행동하다. //넌 왜 그렇게 홀락대냐? 남자라면 좀 듬직해야지. 홀락쟁이 : 행동이 좀스럽고 가벼우며 방정맞은 사람. 믿음성이 없게 입이 싸거나 철없이 노는 사람.
화리.화리또이 : 화로 화식원.화식모 : (식당 같은 데서) 밥하는 사람. 황 가 리 : 족제비
황토를 불다 : 허풍떨다. 크게 과장해서 말하다. 황통쟁이 : 말이 많고 과장이 심한 사람. 황통쟁이라면 주로 황씨 성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황통쟁이가 황토를 분다.
획분되다 : 나뉘다. (성분이) 나뉘다. //그 때,우리는 상중농으로 획분되었지만 그 녀자네는 부농으로 획분되었으므로 우리는 서로 맺어질 수가 없었다.
훌 다 : 굽다. 휘다 훙 개 : 구덩이 훠처(火車) : 기차를 가리키는 한족말. **치처(汽車)라고 하면 뻐스같은 자동차를 가리킨다.
휭해났다 : (몽둥이따위로 머리를 얻어맞은 것처럼)정신을 차리기가 어렵게 띵해졌다. (갑자기 소중한 것을 잃어 가슴이 텅 빈 것처럼)정신이 없고 아찔해졌다. 흐니.흐이 : 흔히
흙매질.매질.매흙질 : 벽이나 방바닥 따위에 흙을 바른 뒤에 보기 좋도록 다시 매흙으로 매끈하게 바르는 일. 매흙: 흙벽,흙담 같은 것의 겉면을 곱게 바르는데 쓰는 찰기가 적은 보드라운 흙. 물매질: 묽게 하는 매흙질.
흰 술 : 무색투명한 술(백주白酒). 우리의 소주보다 훨씬 독하다. 연변에서는 보통 4-50도 이상인데 흑룡강성이나 내몽고에서는 60도 이상 되는 술이 많다. 병에 넣은 고급술도 많지만 저소득층은 저울에 달아서 파는 근술을 즐겨 마신다. 한어로 흰술은 빠이주(白酒)라고 하며 맥주는 피주(啤酒)라고 한다.
첫댓글 아름다운 자료 얻어갑니다재중동포들의 말솜씨 가운데 한어를 그대로 옮긴 것도 있지만, 그야말로 재중동포만의 슬기로움이 배어있는 말도 있네요 그것을 찾아서 가꾸어야겠어요
위에 말 다 그런거 아닌데 잘못된것 수정 바람
좋은 글입니다 감사
좋은자료 상세히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하지 않고선 전혀 대화가 안될것 같은 느낌,,^^
상세한자료감사함니다 참고할께요
재밋네요...감사르.........
좋은 글이네요. 어떤 말들은 이미 잊은지 오랜 말이라 다시 보니 고향 맛이 듬뿍 풍기네요. 퍼 가도 되나 모르겟네요?
남겨두고 보려고 퍼갈려고 했더니 안되네요. 퍼 갈 수 없어요?
자료 감사..
자주 이용함이 옳은 듯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어릴적에 많이사용했던 사투리 ...지금은 가물가물 잊혀지는데 오늘 다시 보니까 옛 생각나고 잼있네요


감사감사^^
좋은 글이네요 ~ 무료가입 무료 라이브 게임을 하실분들은 non07.ah.to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
근데...사투리 넘 많다...연변노인들 사투리를 연변말이라고 그대로 옮기면 어떡해요..ㅡㅡ
ㅋㅋㅋ 잼나넹
한참 읽어봤는데 60%는 모르는 말이 너무 많음....그래도 우리 말이라고 재미있게 읽어봤읍니다..
넘 재밋어요^^
연변여행 가보려고 생각중 가입했는데 넘 좋은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것같네요~
잊어져가는 말들을 글로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허망 사투리 잼있어요 ...요런 공부르 좀 하고 픈데 풀어 주시문 아이 댐까? .......버드낭기님 수고 많심다
헤뜨는 소리




웃겼슴다 





양이 장난 아니네요.
퍼오신 건지 아니면 지기님이 정리하신 건지...
몰랐던 글 진짜 많으네요.
무튼 잘 보고 가요...
재미있네요 '홀락대다' 는 '촐삭대다'라는 말과 비슷하네요 많이 배워 갑니다.
조선말이 풍부하단걸 다시한번 느낌니다~~
이 많은글 올리시느라 로고 많으셧네요~~
신비스럽슴다
지금보니 어릴때에는 그렇게 말하면서 놀아던거 갚아요 ㅋㅋㅋ
우에글이 많이 틀렸네요 대부분을 수정해야 하겠어요.
친정 시집 모두가 북쪽에서 오신 분들이라 몇몇 낱말들을 들은 기억이 나고 아이들때 쓰던 낱말들도 있네요
옛생각 나서 좋았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