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어원(ㅁ자 어원)
맨손의 어원
우리는 맨손으로 일어섰고 맨발로 뛰었다...
과연 <맨손>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와 한자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ena는 비다 (to break, spill, be empty)의 뜻이며, 과거형은 mennye이다.
한국어 <맨>은 르완다어 mena (to be empty)의 과거형 menn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비어 있는 것을 뜻하니, 맨손 맨주먹 맨발 등은 아무런 도구나 무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빈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손의 어원을 보자.
르완다어 songera는 후원하다, 보조하다 (to second a motion, reinforce, support)의 뜻이며, 과거형은 songeye이다.
르완다어 songera는 그 어원을 분석하면 <so + n + gera>로서 so는 얼굴, 표면 (surface)의 뜻이고, n은 더불어 (and, with)의 뜻이며, gera는 이르다, 도달하다 (to reach)의 뜻이므로, 얼굴에 더불어 이르다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르완다어 songera의 원뜻은 얼굴에 같이 도달하다, 즉 얼굴을 씻거나 건드릴 수 있는 신체의 부분인 손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 발의 어원을 알아 보자.
한국어의 조상어 중에 단군조선과 관련된 언어로서 줄루어가 있다.
줄루어 bhala는 손수레 (barrow)의 뜻이다.
한국어 <발>은 줄루어 bhala (barrow, wheel-barrow)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바퀴가 1~2개 달린 손수래의 뜻이므로 신체를 이동하는 수단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맨손>은 르완다어 <mennye + songe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비어 있는 보조 수단 즉, <빈손>을 의미하는 것이다.
모래의 어원
바닷가의 모래알처럼...
과연 <모래(sand)>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의 하나인 북소토어를 참조하자.
<모래>의 15세기 고어는 <몰애>이다.
북소토어 moela는 흐름 (current, stream)의 뜻이며, ae 는 거절 (no, disapproval)의 뜻이다.
북소토어 moela (current, stream)는 한국어 <물>의 어원이며, ae (no, disapproval)는 한국어 애를 먹인다의 <애>의 어원이다.
한국어 <모래>는 북소토어 <moela (stream) + ae (disapproval)>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작은 알갱이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을의 어원
건너 마을에 가다...
과연 <마을>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osehlo는 단편, 조각 (segment)의 뜻이며, moseho는 절개 (incision)의 뜻이다.
<마을>의 15세기 고어는 <
한국어 <마을>은 세소토어 mosehlo (segmen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사람들이 흩어져서 조각 조각 단편적으로 모여사는 곳>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마을>은 도시처럼 큰 주거지가 아니라, 산이나 강물로 막히어 <조각 조각 소규모 단위로 몇가구씩 분리되어 사는 곳>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운적으로 보면, 세소토어 mosehlo (segment)은 한국어에서 <모서흘 -
마치의 어원
마치 아무일도 없던 것처럼...
과연 <마치>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atshwao는 상징, 표식 (mark, symbol, icon)의 뜻이다.
한국어 <마치>는 세소토어 matshwao (mark)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표식> 즉, <보이는 겉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치 아무일도 없던 것처럼>은 무슨 일이 있었던 표식이 전햐 없고 겉모습이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마중의 어원
님을 마중하러 나가다...
과연 <마중>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amaza는 다가옴 (coming)의 뜻이며, unga는 가담하다, 연결하다 (to join, connect, reconcile, mediate)의 뜻이다.
한국어 <마중>은 르완다어 <amaza + ung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다가옴에 대하여 같이 가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중>은 다가오는 것을 가담하고 연결하기 위하여 <나가서 맞이하는 것>이다.
<님 마중 가는 것>은 님과 함께 하려고 나가서 맞이하는 것이다.
뭍의 어원
하나님 가라사대 뭍이 드러나라 하시매...
과연 <뭍>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umuka는 마르게 하다 (to dry)의 뜻으로 과거형은 umutse이며, umutsa는 탈수하다 (to dehydrate)의 뜻이다.
한국어 <뭍>은 르완다어 umuka (to dry)의 과거형 umuts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이 마른 곳>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을 입증하는 단어는 <우뭇가사리>로서 <뭍의 가장자리에 사는 것>이란 뜻이니, <뭍>의 어원이 <우뭋>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구약성서 창세기의 천지공사는 BC 12,000년경의 서해바다를 뭍으로 만들고 마고 나라의 탄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하나님 가라사대 천하의 물이 한 곳에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매 그대로 되니라...>
이것은 빙하기의 바닷물이 육지의 빙하로 쌓여서 바닷물의 수위가 낮아지자, 서해바다가 뭍으로 변하였는데, 그러한 물이 뭍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니, 성경 창세기의 무대는 한반도의 서해바다인 것이다.
서해바다가 뭍으로 변한 한반도 서남단의 마고는 바로 그리스 신화의 아틀란티스이고, 성경의 에덴동산과 아마겟돈인 것이다.
무게의 어원
무게가 무겁다...
과연 <무게>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ugara는 불가능하게 하다, 불구로 만들다 (to be crippled, disabled, handicapped)의 뜻이며, 과거형은 mugaye이다.
한국어 <무게>는 르완다어 mugara (to be handicapped)의 과거형 muga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능력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로, <무겁다>는 르완다어 <muga (cripple, handicapped) + va (to come from)>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능력 저하가 수반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va (to come from)는 한국어 형용사 어미 <~브다>의 어원이다.
물의 어원
물 위에 떠있는...
과연 <물(water)>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 및 북소토어를 참조하자.
북소토어 moela는 냇물 (watercourse, stream)의 뜻이다.
한국어 <물>은 북소토어 moela (stream)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고인 물이 아니라 흐르는 냇물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그런데, 15세기 고어는 믈이고, 신라어는 勿(물)이다.
또한 , 만주어는 muke이고, 퉁구스어는 mu, 몽골어는 moren(강), mosun, 고구려어는 매(買), 일본어는 miz 및 moreru이다.
르완다어 murika는 빛나다 (to shine, show)의 뜻이다.
한국어 <무지개>는 르완다어 murika (to shin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빛의 프리즘 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무지개도 <물 + 지게>로서 물의 지게 모양의 아치로 해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물이란 murika (to shine)이니 홍예 즉, 빛나는 5색 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면 신라어 勿(물)에 주목해 보자.
한자 물(勿)은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보름달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라어 勿(물)은 보름달처럼 밝은 것을 뜻하므로, 르완다어 murika (to shine)에서 유래한 것이며, 고인 물이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만주어 muke, 퉁구스어 mu 등은 르완다어 murika (to shine)에서 유래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동북아시아의 물(water)의 기원은 북소토어 moela (stream)와 르완다어 murika (to shine)의 2가지이며, 이것들의 하나 또는 2가지가 이중적으로 어원이 된 것이며, 이렇게 현대어는 다중적인 어원을 갖는다.
그것은 원시어가 하나가 아니고 여러개의 언어가 현대어에서 복합되었기 때문이며, 일물일어설은 틀린 것이다.
결국, 한국어 <물>은 북소토어 moela (watercourse, stream)와 르완다어 murika (to shine, show) 의 이중적인 어원을 가진 것으로서, <흐르는 물과 고인 물>의 의미를 가진 것이다.
못의 어원
못 생겨서 죄송합니다...
과연 <못>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oso는 왼팔, 왼발 (left arm, left foot)의 뜻이다.
한국어 <못>은 르완다어 moso (left arm, left foot)애서 유래한 것으로서, 잘 안쓰는 수족 즉, <서투른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못 생긴 것은 서투르게 생긴 것이므로 부모가 죄송한 것이다.
멎다의 어원
숨이 멎다...
과연 <멎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era는 그대로 있다 (to feel, be in a state of)의 뜻이며, 과거형은 meze이다.
한국어 <멎다>는 르완다어 mera (to feel, be in a state of)의 과거형 mez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그대로 멈춘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icunda(이춘다)는 흔들다 (to swing, be swinging)의 뜻이다.
한국어 <추다>는 르완다어 icunda (to swing, be swinging)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흔드는 것>을 의미한다.
몰다의 어원
외제차를 몰다...
과연 <몰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yora는 몰아내다 (to exterminate)의 뜻이다.
한국어 <몰다>는 르완다어 myora (to exterminat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밖으로 내쫓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ruha는 소진하다 (to be tired, exhausted)의 뜻으로서, 과거형은 rushye이다.
참고로, <모르다>는 르완다어 <myora + ruh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밖으로 내쫓겨서 없어진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르쇠>는 르완다어 <myora + rushye>로서, 내 쫓겨서 없었으므로 <전혀 관계없다>는 의미인 것이다.
만지다의 어원
만지지 마세요...
과연 <만지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anzi는 표피 파헤치기 (scarification)의 뜻이다.
한국어 <만지다>는 르완다어 manzi (scarificatio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표면을 다루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만지지 마라는 것>은 표면을 건드리지 말라는 의미인 것이다.
마지막 잎새가 떨어지다...
과연 <마지막>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amaza는 다가오는 것 (coming)의 뜻이며, umwaka는 추수, 수확 (harvest)의 뜻이다.
한국어 <마지막>은 르완다어 <amaza + umwak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다가오는 추수나 수확을 대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마지막>은 막바지의 의미로서 <결말이 임박하였음>을 뜻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baza는 (집이나 도구를) 만들다 (to make something out of wood)의 뜻으로서, 과거형은 baje이며, baji는 목수 (carpenter)의 뜻이다.
<막바지>는 르완다어 <umwaka + baje>로서, <추수나 수확을 준비하는 것>이다.
망나니의 어원
망나니가 칼을 휘두르다...
과연 <망나니>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umwaka 는 추수, 수확 (havest)의 뜻이며, nanura 는 가볍게 하다, 나누다 (to lose weight, make thin)의 뜻으로서 과거형은 nanuye이다.
한국어 <망나니>는 르완다어 <umwaka + nanu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수확하여 가볍게 하는 것>을 뜻하므로, 곡식을 자르듯이 <사람을 난도질하여 죽이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다.
<망나니>는 옛부터 사형수에게 사형을 집행하는 칼을 난도질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지만, 원래는 추수할 곡식을 작두질하는 산업 역군이었던 것이다.
마시다의 어원
마시자 한잔의 추억... 마셔버리자...
과연 <마시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amazi는 물 (water)의 뜻이다.
한국어 <마시다>는 르완다어 amazi (water)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을 먹다>는 의미인 것이다.
참고로, <버리다>는 르완다어 burira (to lose something a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장소에 무엇을 잃다>는 뜻이므로, <그 장소에 유기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또한, <부리다>는 르완다어 burira (to warn, aler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무엇을 지도 감독하다는 의미인 것이며, <버리다>와 발음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것이었다.
결국, <마셔버리다>는 르완다어 <amazi + burir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을 먹어서 뱃속에 유기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무엇의 어원
그 무엇도 소용없다...
과연 <무엇>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we는 어떤 것 (some, one, of you)의 뜻이며, se는 모두 (all of)의 뜻이고, mwese는 너희들 모두 (all of you)의 뜻이다.
한국어 <무엇>은 르완다어 <mwe + s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모든 것 (중에서 어떤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무어>, <뭐>는 르완다어 mwe (some, on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어떤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무얼 그리 하니?>는 무어를 또는 무엇을 그렇게 하느냐는 말이니, <무엇>은 무어에 se (all of)를 붙여서, <무어를 강조하는 말>인 것이다.
<그 무엇도 소용 없다>는 그 어떤 것도 소용없다는 말이니, 무엇은 영어 any of you, all of you의 뜻인 것이다.
몇의 어원
이거 모두 몇개에요...
우리말 <몇>은 무슨 뜻이고, 그 어원은 무엇일가?
그러면, 한국어의 2대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보자.
세소토어 metso는 뿌리, 단위 (root, unit)의 뜻이다.
한국어 <몇>은 세소토어 metso (root, uni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한 뿌리를 뜻하므로, 지칭한 한 단위(뿌리)의 내부 조각의 갯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면 몇개의 <개>의 어원을 보자.
르완다어 ke는 몇개 (few)의 뜻이다.
한국어 몇개의 <개>는 르완다어 ke (few)에서 유래한 것이니, <개>는 원래 1개의 뜻이 아니라 개별적인 수개(few)의 뜻이었던 것이다.
한국어 <몇개>는 <세소토어 metso (root, unit) + 르완다어 ke (few)>로서 한 뿌리의 여러 갯수를 말하는 것이었다. 즉, 한 다발 (unit)의 개별 수량 (few)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거 모두 몇개인가? 모두 몇명이 왔나?
그러면 모두의 어원을 보자.
세소토어 module 는 화분, 꽃가루 (pollen)의 뜻이다.
한국어 <모두>는 세소토어 module (polle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하나의 꽃씨방의 꽃가루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며, 영어 modul의 어원이다.
<모두 몇개>는 한 집합의 총수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며느리의 어원
우리집 며느리들은 음식을 잘 만든다...
과연, 한국어 <며느리>는 도대체 어디에서 온 말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찾아보자.
르완다어 menyera 는 친숙하다 (to be familiar with, accustomed to)의 뜻이다.
한국어 <며느리>는 르완다어 menyera (to be accustomed to)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본래는 타인이지만 시집와서 살며 <친숙해진 아들의 여자>를 의미하는 것이다.
미역의 어원
미역을 감으리까 소라를 달까...
한국어 <미역>의 뜻과 그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mirwa는 수중에 있다 (to be underwater)의 뜻이며, yaka는 빼앗다 (to deprive oneself of)의 뜻이다.
한국어 <미역>은 르완다어 <mirwa + yaka>에서 유래한 것이며, 해중에서 채취하는 식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누라의 어원
막걸리가 좋으냐 마누라가 좋으냐...
과연 <마누라>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antle는 배설물 (feces, excreta)의 뜻이며, ha는 존칭 (if)의 뜻이다.
마누라의 16세기 고어는 <마노라 (계축일기)>이다.
한국어 <마누라>는 세소토어 mantle (feces)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배설물을 받아주는 사람> 즉, <동거하는 여성 파트너>를 의미하는 것이다.
음운적으로 보면, 세소토어 <-tle, -tla>는 한국어에서 t음이 탈락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세소토어 mantle (feces)은 한국어에서 <만틀 -마늘(+하; 존칭)-마느라-마누라>로 변화된 것이다.
참고로, <마누라>의 15세기 고어는 <마노라 (상전)>이며, 고려시대 몽골지배하에서 몽골어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이민족 지배층이 쓰는 비속한 말도 피지배층의 언어에는 극존칭으로 전이되는 것이일반적이므로, 마노라 (마누라)도 고려 말기에 왕실에서 극존칭으로 쓰이다가 조선 말기에 비칭으로 전락한 것이다.
머슴아의 어원
우리집 머슴아가 장가를 안가네...
한국어 <머슴아>의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musambanyi는 사통자, 잡혼자 (adulterer, promiscuous person)의 뜻이다.
한국어 <머슴아>는 르완다어 musambanyi (adulterer, promiscuous perso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성인이 되어 결혼하지 못하거나, 애인이 없는 남자로서 여기 저기 한눈파는 남자를 의미하는 것이다.
메아리의 어원
메아리가 울려 퍼지다...
한국어 <메아리>의 뜻과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해 보자.
세소토어 moepa는 가파르다 (steep)의 뜻이며, sedi는 경보하다 (to alert)의 뜻이다.
한국어 <뫼>는 세소토어 moepa (steep)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험한 지역>을 의미하며, <뫼>의 원형은 <멧돼지>에서 보이듯이 <묍>인 것이다.
한국어 <메아리>는 세소토어 <moepa + sedi>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산의 경보> 즉 <산울림>을 의미한다.
메아리의 15세기 고어는 <뫼사리 (석보상절)> 이다.
묵찌빠의 어원
묵찌빠...가위 바위 보...
요새는 <가위 바위 보>하지만 옛날에는 <묵찌빠>라고 하였다.
이렇게 바뀐 것은 왜색 용어라는 것인데 그것은 일본어도 아니다.
과연, 한국어 <묵찌빠>는 무엇이고 그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 중의 하나인 로지어를 살펴보자.
로지어 mukata는 생가죽 (pelt, hide)의 뜻이고, tipa는 단도 (pocket knife)의 뜻이며, mpama는 찰싹 때리다 (slap, spank)의 뜻이다.
한국어 <묵찌빠>는 로지어 <mukata + tipa + mpam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가죽으로 덮고 (묵), 칼로 찌르고 (찌), 손으로 때린다 (빠)는 의미인 것이다.
묵(가죽)은 바위에 해당하고, 찌(단도)는 가위에 해당하며 (아주 옛날에는 가위가 없었다), 빠(손바닥)는 보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프리카 로지어는 슬라브어의 조상어이며, 한국어에는 신라어 계통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모닥불의 어원
모닥불 피워 놓고 마주 앉아서...
과연, 한국어 <모닥불>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 및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ollo는 불 (fire)의 뜻이며, 르완다어 aka는 불타다 (to be burning)의 뜻이다.
한국어 <모락>은 <세소토어 mollo (fire) + 르완다어 aka (to be burning)>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불이 활활 타는 것> 즉, <연기를 내고 불꽃을 이글거리며 활활 타는 불>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기가 모락 모락 나는 것>은 불이 붙어서 그을음이 나는 것이니, <모락불>은 연기와 불꽃이 모락 모락 나는 불로서, <모닥불>의 원형인 것이다.
르완다어 vu는 재 (ash)의 뜻이며, riro는 불 (fire)의 뜻이다.
한국어 <불>은 르완다어 <vu (ash) + riro (fir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숯불을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로, 아이누어의 불은 vriro (fire)로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르완다어 <vu (ash) + riro (fire)>에서 유래하였지만, 그 흔적이 명확한 것이며, 르완다어와 한국어의 중간단계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만년전 북아프리카의 사하라 부근에서 르완다어의 직계어인 한국어와 방계언어인 아이누어 (원 일본어)가 분리한 것이다.
결국, <모닥불>은 <세소토어 mollo (fire) + 르완다어 aka (to be burning) + vu (ash) + riro (fir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연기가 나고 불꽃이 이글거리며 초벌로 타는 불>을 의미하는 것이다. (숯불이나 화톳불은 재벌로 타는 불이다)
먹다의 어원
밥 묵으라...
한국어 <먹다(eat)>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오나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bavu는 갈비 (rib)의 뜻이며, muga는 조각난 단지 (broken pot)의 뜻이고, mugara는 불구가 되다, 부상하다 (to be crippled, disabled)의 뜻이다.
한국어 밥(boiled rice)은 르완다어 bavu (rib)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원래는 소갈비나 돼지갈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들소나 멧돼지를 보면, 저건 내 밥이야...라고 말했을 것이지만, 농경사회가 되면서 곡식을 주식으로 하면서, 쌀이 갈비 만큼 귀하므로 쌀밥이 된 것이다.
그러면, <밥 묵으라...>는 쌀밥을 먹으라는 것일까 아니면 소갈비를 먹으라는 것일까?
한국어 <먹다>는 르완다어 muga (broken pot), mugara (to be crippled, disabled)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소나 돼지 고기를 뜯어 드시라는 의미인 것이다.
즉, <먹다>는 부수고 조각낸다는 의미인 것이니, 원래는 먹어 들다 (부셔서 넣다)의 형태였을 것이다.
한국어 <묵>은 곡식 등을 부수어 조각내고 가루로 만든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먹>은 검은 먹돌을 갈아서 물과 섞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한국어 <먹다>는 르완다어 muga (broken po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소갈비 같은 딱딱한 음식을 조각내어서 들이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모르다의 어원
나는 몰라요...
과연 <모르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orao는 뒤, 후면 (back, rear)의 뜻이다.
한국어 <모르다>는 세소토어 morao (rear)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뒤에 있는 것> 즉, <보이지 않는 후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몰라요>는 내가 후면에 있어서, 앞에서 벌어진 일을 보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미친년의 어원
그 년이 미쳤어...
과연, 한국어 <미친년>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 및 치체와어를 참조하자.
치체와어 mitsidwa는 꺼지다 (to extinguish)의 뜻이다.
한국어 <미치다>는 치체와어 mitsidwa (to extinguish)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정신이 나간 것> 즉, 혼줄을 놓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nenga는 비판하다, 명예훼손하다 (to criticise, denigrate,blame)의 뜻이다.
한국어 <년>은 르완다어 nenga (to criticise)의 과거형 nenz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나를 <모독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년>은 여자 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었지만, 녀(女)와 혼동되어 <녀+는>으로 인식하여 여자에만 사용하는 것이고, 남자는 이<놈> 또는 이<눔>을 사용한다.
<놈>의 어원은 르완다어 rume (male)로서 남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말의 어원
지난 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
한국어 <말>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atla는 힘세다, 강하다 <power(ful),strength, strong)의 뜻이다.
한국어 <말(horse)>은 세소토어 matla (strong)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강력한 동물> 즉, <힘이 세며 빠른 속도로 위협적으로 내달리는 동물>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음운적으로, matla (strong)가 한국어에서 <말 (horse)>로 발음되는 것은, betla (chisel)이 <별(star)>로 발음되는 것과 같이 L음 앞의 T음이 탈락한 것이다.
참고로, 한국어 <말(language)>의 어원을 알아보자.
세소토어 maleme는 말 (language, tongues)의 뜻이다.
한국어 <말(language)>은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 maleme (language)에서 유래한 것이다.
많다의 어원
수 많은 사연을 안고 가다...
한국어 <많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 및 북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a mangata는 많다 (many)의 뜻이며, 북소토어 mangata는 짚단 (sheaves, bundles)의 뜻이다.
한국어 <많다>는 세소토어 및 북소토어 mangata (many, bundles)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들판의 추수한 짚단들처럼 많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자 만(萬)의 상형을 보면, <艸 + 禺>로서, 추수한 볏짚(艸)들이 원숭이(禺) 처럼 동여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자어 <만(萬)>과 한국어 <많다>는 북소토어 mangata (sheaves)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원숭이 모형처럼 동여진 짚의 묶음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레방아의 어원
돌고 도는 물레방아 인생...
과연 한국어 <물레방아>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 및 북소토어를 참조하자.
북소토어 moela는 유수 (current, watercourse)의 뜻이며, 한국어 <물(water)>의 어원이다.
르완다어 nya는 ~의 (of)의 뜻이며, 한국어 소유격 <~의>어원이다. (nya에서 n은 두음법칙으로 탈락하고, a도 동사 나열형과 혼동으로 탈락하여 y만 남은 것으로 추정)
르완다어 vanga는 움직이다 (to mix, stir)의 뜻이다.
<물레방아>는 북소토어 및 르완다어 <moela + y + vang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의 흐름으로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연자방아>는 르완다어 yenza (to be provocative, tease)에서 유래한 것이니, 소나 말 같은 동물을 괴롭혀서 <동물의 힘으로 돌리는 방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