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세계적인 대문호 톨스토이의 핵심 사상을 읽는 시간!
『톨스토이 인생론』은 톨스토이가 젊은 날, 자신의 인생에 고민하였던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가 말년에 쓴 작품으로 인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죽음에 대한 공포가 없는, 고통이 없는 삶으로 인도하는 글을 담고 있다. 참된 인간의 생활, 이성적인 삶, 존재와 죽음에 대한 공포, 사랑의 활동 등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인생이란 무엇이고, 사람은 왜 고통스러워하는가에 대한 답을 대리고 있다. 인간, 인생, 죽음에 대한 공포, 이 모든 문제를 하나의 해답을 바탕으로 하여 일관성 있는 어조로 풀어 나가며 사는 즐거움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자소개
러시아의 소설가ㆍ사상가.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와 더불어 ‘러시아 3대 문호’로 일컬어지고 있다. 1828년 남러시아 툴라 근처에 있는 영지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명문 백작가의 4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모을 후견인으로 성장했다. 카잔대학에 입학했으나 중도에 자퇴했다. 1847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농장일에 전념했으나 실패하고 1851년에 카프카즈의 군대에 들어갔다. 1852년 처녀작 『유년시대』를 발표하여 투르게니에프로부터 문학성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그 후 러시아 농민의 비참한 현실에 눈을 뜬 그는 농민계몽을 위해 야스나야 폴랴나 학교를 세우고 농노해방운동에도 활발히 참여하였다. 그후 1869년에 완성한 『전쟁과 평화』로 세계적인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었으며, 러시아의 현실과 고통받는 러시아 민중의 삶을 여러 각도에서 포착하여 생동감 있게 그려내 오늘날까지도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 문호로 인정받고 있다. 1870년대 후반기에 수많은 정신적 갈등과 고뇌를 겪고 난 뒤 홀연히 농부로 변신하였으며 1885년에는 뽀스레드니끄(중개인이라는 뜻) 출판사를 만들어 러시아 민화와 복음서의 진리를 대중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민 책들을 펴내기 시작했다.
1870년대 후반 『안나 카레리나』의 마지막 몇 장을 쓸 무렵 그는 모든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죽음에의 공포에 사로잡혀 인생의 의미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게 된다. 결국 삶의 의의는 과학이나 철학도 설명할 수 없고, 이성의 힘에 의지해서도 해결되지 않으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민중의 태도에서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녀의 비극은 사회 가치에 대한 대안을 추구하는 레빈의 행위와 평행을 이루는데, 레빈은 자신의 영지에 있는 농부들 사이에서 해답을 찾는다. 『안나 카레리나』에서 정신적 위기와 극복이 이른바 톨스토이의 회심(回心)이며 『참회록』 속에 서술된 고백의 내용이다. 여기서부터 톨스토이는 현대의 타락한 그리스도를 배제하고 원시 그리스도에 복귀하여 근로, 채식, 금주, 금연의 생활을 영위했다. 원시 기독교의 소박성을 지닌 포괄적인 비전에 부합된 삶을 살려고 노력함으로써 예언적인 현자가 되었다. 톨스토이는 그렇지 않으면 뒤얽혀버렸을 인생에서 자기 책의 핵심을 형성해 주는 인생의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했다. 도덕적 필연성과 합리적 기독교 윤리에 ...(하략)
저자의 다른 책
- 더클래식 세계문학 컬
렉션 80권+영문... - 2015.12
- 더클래식 세계문학 컬
렉션 1~50권 세... - 2015.12
- 지금, 여기, 당신
- 2015.12
- 인생에서 공부가 필요
한 순간 (톨스토... - 2015.10
목차
옮긴이의 말
제1장 인생의 교훈
인간 생활의 근본 모순│43
먼 옛날부터 인생의 모순은 인류에 의해서 의식되어 왔다.│50
학자들의 과오│57
학자들은 인간의 생명이라는 관념을│61
바리새인들과 학자들의 거짓된 가르침은 참된 생활의 의미도, 생활의 지침도 보여 주지는 못한다│66
현대인의 의식 분열│76
의식의 분열은 인간 생활과 동물 생활을 혼동하는 데서 일어난다│82
분열과 모순은 없다. 그와 같은 것은 잘못된 가르침에 사로잡혀 있을 때만 나타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88
인간 속에 숨겨져 있는 참된 생명의 탄생│93
이성이란 인간들에 의해 인정받고 있는 법칙으로, 인생은 그것 위에서 완성되어야 한다│98
지식의 잘못된 방향│102
제2장 마음의 교훈
잘못된 지식의 원인은 잘못된 원근법으로 사물을 보는 데 있다│113
우리가 여러 가지 사물을 무엇인지 인식할 수 있는 것은│120
참된 인간 생활은 공간이나 시간 속에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129
동물적인 자아의 행복에 대한 부정이야말로 인간 생활의 법칙이다│137
동물적인 자아는 인생의 도구다│143
영靈의 탄생│149
이성의 의식은 무엇을 요구하는가│152
이성의 의식의 요구는 전부 올바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159
자아의 요구와 이성의 의식의 요구는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167
요구되는 것은 자아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이성의 의식에 종속시키는 것이다│173
사랑의 감정은 이성의 의식에 따르는 자아의 활동의 발현이다│181
제3장 진리의 교훈
인생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사랑의 감정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191
참된 사랑은 개인적인 행복을 부정하고 버린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205
사랑은 진실한 생명으로 넘쳐 나는 유일한 활동이다│213
보다 좋은 생활을 바란다며│219
죽음에 대한 공포라는 것│225
육체의 죽음은 틀림없이 공간에 얽매인다│234
죽음의 공포는│246
생명의 본질은 이 세계에 대한 관계다│252
죽은 사람들의 생명은 이 세상에서 사라져 버리는 것이 아니다│258
죽음에 대한 미신은 사람이 세계에 대한 그 다양한 관계를 혼동하는 데서 일어난다│269
우리 눈에 보이는 이 인생은, 생명의 무한한 운동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278
지상의 생활에서 맛보는 고통의│288
육체의 고통은 사람들의 생활과 행복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하나의 조건이다│304
맺음말
부록
출판사 서평
톨스토이, 인생의 길을 묻다!
‘사랑은 참된 생명으로 넘치는 하나의 활동이다.’
‘죽은 사람들의 생명은 결코 이 세상에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톨스토이가 만년에 깨달은 인생관, 세계관은 비통한 심정의 외침이다.
참된 인간생활, 이성적인 삶의 방식, 존재와 죽음에 대한 공포, 그리고 종교란 무엇인가...... 하나하나 마음속 깊이 성찰하여 ‘인생이란 무엇인가?’, ‘왜 인간은 고통스러워하는가?’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접근한, 영혼의 방황을 전하는 책.
톨스토이는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의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이자 전 인류의 지성이었다. 그가 세계 문학사나 인류의 사상사에 남긴 족적은 아직도 선명하고 뚜렷하게 각인되어 있으며 사후 1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살아 움직이며 세계의 무수한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대작이라 불리는 그의 장편소설들은 물론, 러시아의 민요를 채집 · 재구성하여 그 속에 자신의 사상을 읽기 쉽게 담은 단편소설들, 그리고 자신의 사상을 직접적으로 논한 여러 편의 글에 이르기까지 그는 참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그러한 대문호이자 대사상가인 그의 작품 전편에 흐르고 있는 사상은 무엇일까? 많은 학자들과 평론가들이 그의 사상에 대해서 자신들의 숫자보다 더 많은 글을 썼지만 그런 그의 인생에 대한 사상을 요약하여 작가 스스로가 집필한 작품이 바로 이 책이다. 톨스토이가 고민하고 탐구했던 것이 인생이라는 것으로 수렴된다고 한다면 그의 모든 사상이 이 한 권의 책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만큼 이 책은 그의 사상을 알기 쉽게, 또 집약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톨스토이의 사상은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 인생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끊임없이 탐구한 화두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였으며, 인생의 근본 목적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었다.
러시아의 부유한 귀족의 집안에서 태어나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톨스토이는 젊은 시절부터 삶에 대한 문제로 고민을 했다. 그리고 자신이 소유한 토지를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기도 하고 학교를 세워 아이들을 가르치는 등 자신의 사상을 직접 실천하기도 했다. 그런 그가 자기 인생의 말년에 쓴 작품이 바로『인생론』이다. 따라서『인생론』은 톨스토이 자신이 살아온 인생의 집대성이자 자기 사상에 대한 요약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톨스토이는 자신이 젊은 날에 고민했던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 인생, 죽음에 대한 공포, 이 모든 문제를 하나의 해답을 바탕으로 하여 일관성 있는 어조로 풀어 나가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톨스토이의 사상을 흡수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사상 또한 한층 더 성숙한 단계로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책속으로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쾌적함을 위해,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만 살고 있다.
그런데 자신이 행복을 손에 넣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에 인간은 그 행복이 다른 존재에 의해 좌우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런 다른 존재를 관찰하고 검토하는 사이에 자신과 완전히 똑같은 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 모든 존재들이 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생명과 자신의 행복만을 느끼고, 자신의 생명만이 중요한 진정한 것이라고 여기면서 다른 모든 존재의 생명을 자기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만 치부하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 세상의 수없이 많은 존재들은 결국 각자 자신의 목적 위해 스스로의 행복을 말살할 수도 있다. 그렇게 인간이 오래 살면 살수록 이 판단은 경험을 통해 더욱 더 명백해져 간다. 그 뿐만이 아니다. 쾌락을 추구하여 동반되는 고뇌도 증대되어 체력이 쇄약해지다가 결국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설령 인간이 자신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을 위해 싸울 수 있는 유리한 조건에 놓여 있더라도 결국은 얼마 못가서 자기 개인의 쾌락이라는 형태로 생명을 대가로 쟁취한 행복으로 보이는 것조차도 실제로는 행복이 아니라 마치 항상 쾌락과 이어져 있는 고뇌를 한층 더 절감하기 위해 주어진 행복의 그림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성과 경험이 가르쳐 준다.
자신의 생명이 자신과 싸우고 있는 다른 존재에 의해 멸하고 있다는 수천에 달하는 기회와 점점 커져가기만 하는 고뇌 등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 이외에 그 본질적인 것을 따지더라도,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자신의 행복에 대한 모든 가능성이 자신의 생명과 함께 확실하게 시들어버린 상태, 즉 죽음을 향해 끊임없이 접근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문제는 여기서 부터이다. ‘자신의 생명을 소중히 지키려 한 자는 그것을 잃고, 나를 위해 목숨을 잃은 자는 그것을 소중히 지켜나갈 것이다.’라고 한 예수의 말을 인용하면서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더라도 행복은 쟁취할 수 없다. 인간은 개인의 행복을 포기하고 주변 사람들의 행복을 바라는 사랑의 마음으로 삶으로써 반대로 깊은 행복감을 음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의 결론이 옳은지 그른지는 별개로 관리인의 인생경험 등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거인의 풍부한 경험에서 나온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이 행복해지지 않는다.’는 모순의 지적에는 박력이 넘친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