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말 386 간첩단 사건을 수사하다 도중에 사퇴한 김승규 전 국정원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사퇴압력를 받았다는 미국 외교전문이 공개돼 파문이 일고 있다. 최근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외교전문에 따르면 버시바우 당시 주한 미국대사는 2006년 11월 1일 '한국의 새 국정원장'이라는 제목의 전문을 보냈다. 버시바우 대사는 신임 김 원장의 프로필을 자세하게 소개하는 한편 '새 원장 선임을 둘러싼 의혹들'이라는 단락에서 구체적인 사퇴정황을 기술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노무현 대통령은 전쟁터에서 말을 갈아타지 않는다지만 10월 25일 (청와대) 내부회의에서 노 대통령은 김승규 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일부 정보원들이 말했다고 썼다. 날짜까지 적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틀 뒤인 27일 김 원장은 사의를 표했다. 이런 사실을 블로그를 통해 알린 재미언론인 안치용씨는 "버시바우 대사가 정보원의 말을 인용하는 식으로 보고했지만 노 전 대통령이 김 원장에게 사퇴를 요구한 날짜까지 정확히 보고돼 있어 소문으로 나돌던 노 대통령의 사퇴압력설이 실제 발생했음을 암시한다"고 말했다. 386간첩단 사건(일심회 사건)은 민주노동당 간부와 노무현 정부 당시 고위공무원 등이 북한공작원을 접촉한 사실을 포착하는 등 2006년 최대의 공안사건이었다. 수사 진행 도중 김승규 전 원장이 사퇴하자 사퇴과정에 청와대의 압력 논란이 야당을 중심으로 일었었다. 김승규 원장과 당시 김만복 차장은 386 간첩단 사건 수사를 두고 서로 대립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이와 관련 김만복 차장을 승진시킨 것은 노무현 대통령이 정권 말기 국정원을 다잡을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청와대가 386 간첩단 사건을 은폐하려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일부의 시각도 전문에 담았다. http://news.nate.com/view/20110905n08612 |
첫댓글 간첩을 수사 못하게......... 그때 김승규 원장님 사태 할때 엄청 맘졸여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