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중생들이 이와 같은 4구게
의 말씀을 듣고 실지로 믿으오리까?"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런 말하지 말아라. 내가 육신의 몸을
버리고 진리의 세계로 든 뒤 이천오백년후
에라도 수계하고 복을 닦는 자가 있으면 능
히 이 4구게에 신심을 내어 이를 진실한 것
으로 여기리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이나 셋, 넷, 다섯 부처님에게서만
선근을 심은 것이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부처님께 여러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4구게
를 듣고 한 생각에 깨끗한 믿음을 내느니
라.
수보리야, 여리는 중생들이 깨끗한 믿음
을 내는 무량공덕을 얻는 줄을 다 알고 다
보느니라. 왜냐하면 깨끗한 믿음을 낸 중생
들은 다시는 자기가 제일이라는 모습(아상)
이 없으며 나와 남을 나누어 보는 모습 (인
상)이 없으며, 재미있고 호감가는 것만을
본능적으로 뒤하는 모습(중생상)이 없으며
영원한 수명을 누려아지 하는 모습(수자상)
이 없기 때문이니라. 또한 이들에게는 객관
의 대상 (법상)도 없으며 대상아닌 모습(비
법상)도 없느니라. 왜냐하면 만일 중생들의
마음에 생각을 가지면 곧 아상, 인상, 중생
상, 수자상을 가짐이 되며 만약 법상을 취
하더라도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가지게 되느니라. 법 아닌 상을 취하더라도
이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가지
게 되는 셈인데 하물며 법상이랴!
그러므로, 마땅히 객관의 대상에도 매이
지 말며 대상 아닌 모습에도 매이지 말지니
라. 이런 이유로 내가 항상 이르되 나의 설
법을 뗏목에 비유하였느니라.
법도 버려야 하는데 하물며 비빕에 매여
서 되겠느 냐.
첫댓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