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술년 1월 (1598년 1월)
맨위로
2
1월 초1일 (정해) 맑다. [양력 2월 5일]
3
저녁나절에 비기 잠깐 내렸다. 경상수사 ∙ 조방장 및 여러 장수들이 다와서 모였다.
4
1월 초2일 (무자) 맑다. [양력 2월 6일]
5
나라제삿날(明宗 仁順王后 沈氏 祭日)이라 공무를 보지 않았다.
6
새로 만든 배의 진수식을 했다. 해남현감(류형)이 와서 보고 돌아갔다.
7
송대립(宋大立) ∙ 송득운(宋得運) ∙ 김붕만(金鵬萬)이 각 고을로 나갔다.
8
진도군수(선의경)가 와서 보고 돌아갔다.
9
1월 3일 (기축) 맑다. [양력 2월 7일]
10
이언량(李彦良) ∙ 송응기(宋應璣) 등이 산□□□ (□□□은 떨어져서 알아볼 수 없음)
11
1월 4일 (경인) 맑다. [양력 2월 8일]
12
무안현감(南彦祥)에게 곤장을 쳤다. □수사에게 □□했더니, 우수사가 □□□ 왔다.(□□□은 떨어져서 알아볼 수 없음.)
13
(**날짜 없음)
14
명나라 계(季金) 유격장(遊擊將)에게서 받은 물건은 4월 26일인데, 청운비단(靑雲絹) 1단, 남운비단(藍雲絹) 1단, 비단버선(綾襪) 1쌍, 구름무늬 신(雲履) 1쌍, 향기(香棋) 1부, 향패(香牌) 1부, 절명(浙茗) 二근(36냥쭝), 향춘(香椿) 2근(36냥쭝), 사청차(四靑茶) 사발 10개, 산닭(生鷄) 4마리이고,
15
강인약(江鱗躍) 천총(千摠)에게서 받은 물건은 춘명(椿茗) 1봉, 화합(花盒) 1개, 등부채(藤扇) 1 발, 복리(服履) 1쌍이고,
16
주천총(朱千摠)에게서 받은 것은 술잔(酒盞) 6개, 주사잔( 箋) 2장, 소합(小盒) 1개, 찻잎(茶葉) 1봉, 신선로(神仙爐) 1, 응애(鷹埃) 2이고,
17
정문린(丁文麟) 천총(千摠)에게서 받은 것은 여름양말(暑襪) 1켤레, 영견(領絹) 1모, 양차(兩茶) 1봉, 호추(胡椒) 1봉이며,
18
진자수(陳子秀) 파총(把摠)에게서 받은 것은 수보(繡補) 1부 등받이이다, 시쓴 부채(詩扇) 1발, 향선(香線) 10가닥이며,
19
육경(陸卿)에게서 받은 것은 꽃수건(花 ) 1조,
20
허(許) 파총(把總)에게서 받은 것은 청포와 홍포(靑布紅布) 각 1, 금부채(金扇) 2, 꽃수건(花 ) 2이다.
21
10월 4일에는 복일승(福日升) 유격(遊擊)에게서 받은 것은 청포(靑布) 1단, 남포(藍布) 1단, 금부채(金扇) 4자루, 젓가락(杭 ) 2모, 산닭(生鷄) 2마리, 양(鹹羊) 1마리,
22
왕원주(王元周) 유격(遊擊)에게서 받은 것은 금띠(金帶) 1, 양감도서갑( 嵌圖書匣) 1, 향합(香盒) 1, 경대(鏡架) 1, 금부채(金扇) 2, 비단실(絲線) 1봉, 찻항아리(茶壺) 1, 빗(蘇梳) 2개,
23
오유림(吳惟林) 천총(千總)에게서 받은 것은 양대( 帶) 1개, 배첩(拜帖) 20장이며,
24
진국경(陳國敬) 파총(把總)에게서 받은 것은 꽃차(花茶) 1봉, 꽃무늬술잔(花酒盃) 1대, 구리찻숟갈(銅茶匙) 2부, 찻숟갈(細茶匙) 1부, 홍례(紅禮帖) 1개, 전간첩(全柬帖) 5장, 서간첩(書柬帖) 10장, 길절간(吉折柬) 8장, 붉은주사 젓가락(紅 ) 10쌍이며,
25
계영천(季永 )에게서 받은 것은 금부채(眞金扇) 1발, 땀수건(汗巾) 1모, 부들채(蒲扇) 1자루, 수건(粗 ) 2장,
26
왕명(王明) 기패(旗牌)에게서 받은 것은 남포(藍布) 1단, 베개(枕頭花) 1 부, 푸른비단실(靑絹線) 약간,
27
공진( 璡) 파총(把總)에게서 받은 것은 붉은 종이(紅紙) 1부, 절차(浙茶) 1봉, 차숟갈(茶匙) 6개, 바늘(蘇針) 1포,
28
왕계자(王啓子) 중군(中軍)에게서 받은 것은 남띠(藍帶) 1개, 빗(梳帶細) 2개이다.
2. 2월 기록에 없음
맨위로
3. 3월 기록에 없음
맨위로
4. 4월 기록에 없음
맨위로
5. 5월 기록에 없음
맨위로
6. 6월 기록에